•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근현대사] 백범 김구의 생애와 사상

*치*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2.12.25
최종 저작일
2002.12
1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기(起) : 문제 의식과 구성

승(承) : 내용 요약
1. 가계와 청년기의 수학
2. 국내에서의 항일구국운동
3. 상해로의 망명과 초기 독립운동
4. 임시정부의 부흥과 후기 독립운동
5. 환국과 건국활동

전(轉) : 비평 & 김구의 사상 연구
1. 연구현황
2. 김구의 민족주의 사상의 형성 과정과 특징
3. 김구의 사상의 한계와 비판
4. 김구 암살의 역사적 의미

결(結) : 김구의 생애와 현대적 의의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백범이 과거에 낙방한 뒤 실의와 좌절 속에서 병서를 읽으며 마음의 울분을 달래고 있을 1893년 말 경 황해도 해주 일대에 널리 퍼진 동학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해 동학의 평등주의에 감화되어 입도한 뒤 포덕(布德)에 힘을 기울여 접주(接主)가 되었다. 1894년 황해도 도유(都儒)로 뽑혀 보은집회에 참가하였다. 여기서 손병희(孫秉熙)를 만났으며, 제2대 교주인 최시형(崔時亨)으로부터 팔봉도소접주(八峰都所接主)라는 첩지를 받는 등 북접계열로 동학교문활동을 했다. 1894년 갑오농민전쟁이 일어나자 친일정권은 일본군과 연합하여 농민군을 공격하는 한편, 동학교도 전체를 비적(匪賊)으로 몰아 탄압했다. 귀향길에 농민전쟁을 목도한 그는 그해 9월 삼남에서 올라온 경통(敬通)에 호응하여 해주 죽산장(竹山場)에서 척양척왜(斥洋斥倭)의 깃발 아래 선봉장으로 해주성을 습격했으나 실패하였다. 그뒤 배신한 우군(友軍) 이동엽(李東燁) 부대의 습격을 받아 대패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동학군 토벌에 나선 신천(信川) 진사 안태훈(安泰勳:安重根의 아버지)의 집에 은거했으며, 위정척사계열인 유인석(柳麟錫)과 동문인 고능선(高能善)의 문하생이 되었다. 그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춘추대의(春秋大義)에 입각한 명분론적인 세계관에 몰입하였다. 1895년에는 남만주로 건너가 김이언(金利彦)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일본군을 공격했으나 참패했다.

참고 자료

김구 『백범일지』 학원사, 1994
차동석 『김구』참한출판사, 1990
송건호 『김구』한길사, 1980
박태균 『현대사를 베고 쓰러진 거인들』지성사, 1994
강만길 『역사는 이상의 현실화 과정이다』창작과 비평사, 2002
이동현, 『이슈로 본 한국 현대사』민연, 2002
김경운 「백범 김구의 정치사상 연구」고려대학교, 1990
안병환 「김구의 민족주의적 정치사상」부산대학교, 1988
한국사학회 『한국현대인물론』을유문화사, 1987

자료후기(1)

*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백범일지 3페이지
    마지막으로, ‘백범일지’는 단순한 회고록을 넘어,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와 그 ... 이러한 그의 사상현대 대한민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한국 근대사의 중심에 서 있는 김구 선생의 자서전인 ‘백범일지’를 읽으며,
  • 워드파일 (한국사의 이해) 다음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서술해주세요 6페이지
    현대사를 살펴보다 보면 매우 많은 사건들이 일어났으며, 이러한 역사적 ... 민족주의적 기저에 그 상징으로 존재하는 인물인 백범 김구, 독립운동을 주도하며 ... 물론 민족주의적 이념을 제창하며 대한민국의 국부로 불렸고 여전히 한국인의
  • 워드파일 백범일지와 아리랑을 통해 본 김 구와 김 산, 두 인물의 독립운동 노선 비교 및 평가 10페이지
    2010 가을학기 한국근현대사 중간고사 대체 리포트 와 ... 근현대사 수업을 들으면서 분통 터지는 경우와 내자신의 한심함에 부끄러워 ... 비교3 김 구의 생애 3 김 산의 생애 4 두 인물의
  • 한글파일 [정치학]백범 김구의 민족, 독립, 통일관 8페이지
    Ⅰ서론 백범 김구의 일생은 한국근현대사를 대표한다. 19세기 후반, 격변의 ... 것이 아니고 대한민국 독자의 운동이므로 공산혁명 같은 제3자의 지시를 받는 ... 1 민주혁명 이후 독립운동의 새로운 장을 열기 위하여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 한글파일 독립운동가 조소앙에 대한 고찰 리포트 4페이지
    독립운동가 조소앙에 대한 고찰 리포트 고등학교 시절 한국현대사 수업시간에 ...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용 2) 삼균주의 [三均主義] (한국근현대사사전, ... 1934년 삼균주의를 국시로 한 ‘대한민국임시정부건국강령’을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근현대사] 백범 김구의 생애와 사상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