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구자료2 (나노물질의 환경동태 유해성)

*오*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7.25
최종 저작일
2012.05
1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서론
2. 나노물질의 환경 리스크
3. 나노가공재료의 종류와 형태
4. 나노입자의 정성적 분석
5. 나노입자의 환경 중의 생성과 거동 및 동태
6. 결론
7. 출처

본문내용

환경 중의 나노입자에 대한 신뢰성 높은 독성과 유해성(hazard) 및 위해성(risk) 평가의 기술개발도 필요하고, 인체에 폭로된 이후의 나노입자의 체내 거동과 동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나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 생물체의 섭취성과 활용성이 충분히 규명되어야 나노입자의 인체 독성과 위해성도 완전히 규명될 수 있지만, 현재로서도 나노입자에 폭로되는 인체의 독성과 위험성은 상당히 증명되어 있는 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체 위해성 데이터를 이용해, 인체보다 훨씬 복잡다단한 환경 중의 나노입자의 동태와 위해성을 평가할 정도에는 다다르지 못하고 있다. 더욱 연구해야 할 과학계의 과제가 되고 있다.

< 중 략 >

시료채취 방법에 따라 NPs의 분산상태가 달라지므로, 시료 내에 천연의 NPs와 유기물이 존재하거나 시료병에 유기성 및 무기성의 NPs가 흡착되어도, 새로운 분석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토양과 침전물 내에는 검지대상의 NPs와 유사한 구조의 천연 고형물이 많으므로, 계면 활성제 등의 분산제 및 초음파 분석법을 동시에 이용해야 한다. 원심분리법도 적용할 수 있지만, NPs의 새로운 집합체가 만들어질 우려가 생긴다. 또한 나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토양성분으로부터 나노입자의 분리도 어렵다. 일반적으로는 원심분리법이 권장되고 있긴 하지만, 집합체화(aggregation)을 유발할 우려도 있다.
나노물질의 환경 내 생성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는 크게 결핍되어 있다. 그 원인은 시료채취,전처리, 분리, 기기분석 중에 NPs의 상태가 흐트러지게 되므로, 데이터의 축적이 어려운 것이다.

< 중 략 >

나노가공재료에 대한 환경독성 시험이 보다 심도있게 진척되어야만, 인간 건강의 보전에 필요한 나노가공재료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수 있고 법규화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세계적으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공업기술이므로, 인간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및 악영향에 대한 관심이 크게 부상하고 있다. 현재에도 상당량의 나노입자 잔류물이 수역과 대기 및 토양 환경 중으로 유입되고 있다. 특히 수역 환경은 환경 오염물의 집결지가 되고 있어, 나노입자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의 초점이 되고 있다.

참고 자료

Marinella Farre, Josep Sanchis, Damia Barcelo,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occurrence, the fate and the behavior of nanomaterials in the environment",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30(3), 2011, pp.517~527
Andrea Kunzmann, Britta Andersson, Tina Thurnherr, Harald Krug, “Toxicology of engineered nanomaterials: Focus on biocompatibility, biodistribution and biodegradation”,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810, 2011, pp.361~373
Constantine P. Firme III, Prabhakar R. Bandaru, “Toxicity issues in the application of carbon nanotubes to biological systems”, NANOMEDICINE, 6. 2010, pp.245~256
Steve Hankin, Diana Borasch, Albert Boraschi, Albert Duschl, Claus-Michael Lehr, Hera Lichtenbeld, “Towards nanotechnology regulation &#8211; Publish the unpublishable”, NANOTODAY, 6, 2011, pp.228~231
Julia Fabrega, Samuel N. Luoma, Charles R. Tamara S. Galloway, Jamie R. Lead, “Silver naoparticles: Behaviour and effects in the aquatic environment”, ENVIRONMENT INTERNATIONAL, 37, 2011, pp.517~531
Xiaosheng Fang , Tianyou Zhai, Ujjal K. Gautam, Liang Lib, Limin Wua, Yoshio Bando, Dmitri Golberg, “ZnS nanostructures: From synthesis to applications”, PROGRESS IN MATERIAL SCIENCE, 56, 2011, pp.175~287
*오*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나노환경및에너지에 미치는 영향 5페이지
    폴리머 ㆍ무기물질, 폴리머의 나노입자를 이용한 내마모성, 친환경성 타이어 ... 제거용 나노구조 인식막의 개발 환경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는 흡착제를 ... 영향을 연구하는 적절한 방법 또한 자료가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연구자료2 (나노물질의 환경동태 유해성)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