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구자료10 (잔류의약물의 전기화학적 환경복원)13720

*오*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7.25
최종 저작일
2012.12
1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서론
2. 전기화학 분리기술
3. 전기화학적 산화
4. 펜톤 전기화학기술
5. 광전기촉매
6. 비열 플라즈마
7. 결과 및 고찰
8. 결론
9. 출처

본문내용

전기화학적 분해 처리기술은 일정한 제거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타 분해 처리기술 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시켜야 한다. 동시에 대규모의 슬러지 처리나 후-처리가 필요한 농축물을 생성하게 된다. 전기응집법은 가장 간단하고 저렴한 공정으로 많은 양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 적합하다. 반면 광전기적 촉매 처리기술과 비열 플라스마 기술은 매우 복잡하고 값 비싼 부대용품이 필요하다. 전기화학적 산화법과 펜톤 산화법은 중간 정도에 위치하는 처리기술이다. 우리나라의 의약공업 폐수나 잔류의의약물 함유 폐수는 일반적으로 한외여과막법이나 역삼막분리법 등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전기화학적 고도산화법으로 처리하는 경우는 대부분이 파이롯플랜트 연구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에너지-원이 태부족인

< 중 략 >

분열되지 않은 Pt/GDE와 BDD/GDE 셀을 갖는 clofibric acid, salicylic acid, 비(非)-스테로이드 소염제 ibuprofen 등의 의약물이 전기펜톤으로 처리되었다. 이러한 모든 경우에서 BDD가 Pt에 비하여 우세한 양극을 나타내었다. 양극의 매우 높은 BDD(·OH) 생성과 벌크 내 매우 높은 ·OH 생성으로 증가된 전류 밀도로 인하여 높은 제거율이 얻어졌다. 예를 들어 clofibric acid는 유사 일차 반응에서 분해되었고 오염원들에 대한 거의 모든 무기질화가 생성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Pt과 함께 이루어질 수 없다. Salicylic acid의 경우 안정한 Fe(III)-살리실산염 복합물을 생성하였고 이는 천천히 제거되었다.
·OH를 갖는 최종 Fe(III)-수산염은 산화가 어렵기 때문에 Pt/GDE 셀에서 무기질화 비율이 부실하게 이루어진다. 높은 전류에서 BDD/GDE 셀을 사용하면 이러한 혼합물은 완벽하게

< 중 략 >

여러 가지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고도산화공정)를 사용한 의약물 잔류물질의 처리는 그들의 효능과 효율성으로 인하여 계속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EAOP (electrochemical advanced oxidation process/전기화학적 산화공정) 법은 특히 EF (electro Fenton/전자펜톤), PEF(광전기펜톤/photo-electric Fenton), SPEF (solar photo electro Fenton/태양광전기펜톤) 공정과 같이 전기화학적 공정으로서 펜톤 시약을 사용하고 의약물 잔여물을 함유하는 합성 수용액을 처리하기 위하여

참고 자료

Ignasi Sires, Enric Brillas, "Remediation of water pollution caused by pharmaceutical residues based on electrochemical separation and degradation technologies: A review",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40, 2012, pp.212~229
Boroski M, Rodrigues AC, Garcia JC, Sampaio LC, Nozaki J, Hioka N., “Combined electrocoagulation and TiO2 photoassisted treatment applied to wastewater effluents from pharmaceutical and cosmetic industrie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162, 2009,pp.448~454.
Murugananthan M, Latha SS, Bhaskar Raju G, Yoshihara S., “Anodic oxidation of ketoprofen - an anti-inflammatory drug using boron doped diamond and platinum electrode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180, 2010, pp.753~758.
http://www.upaper.net/efictions
http://www.kosen21.org
http://www.reseat.re.kr
http://www.daum.net/enviromath
*오*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연구자료10 (잔류의약물의 전기화학적 환경복원)13720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