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방통대(대중문화)

*영*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7.26
최종 저작일
2012.10
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 과제는 방통대 2학기 대중문화 중간고사 과제로서 사회의 모든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주고 있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대중문화에 어떠한 변화를 갖고 오도록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1. 대중문화의 개요 및 인식
(1) 대중문화의 개요
(2) 대중문화의 인식
2. 대중문화 내용의 변화 및 수용방식 변화
(1) 대중문화 내용의 변화
(2) 대중문화 수용방식의 변화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21세기 전 세계의 지배적 문화형태는 대중매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대중문화이다. 텔레비전과 라디오· 인터넷· 미디어 등 전파매체의 대중적 보급은 오늘날 대중문화 형성에 있어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손바닥보다 작은 휴대폰의 보급은 음악을 듣고, 인터넷으로 정보를 찾으며, 사진은 물론 동영상까지 찍는다. 멀지 않아 맛을 보고 음식을 주문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모든 미디어는 인간이 지닌 재능의 심리적 또는 물리적 확장이”1)라는 말처럼 디지털 매체는 인간의 신체와 감각기관까지 확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는 기존의 귀족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고급문화를 밀어내게 되었고, 문화는 중산층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고급문화를 창조했던 예술가들이나 후원자들은 새로운 문화예술 고객을 중산층에서 찾게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대중을 위한 예술형태인 ‘대중문화’이다.

<중 략>

또 인터넷의 출현은 중문화환경을 예측 불가능한 즉 불확실성의 구조로 그 기본방향을 바꿔놓았고, 이는 더 이상 방송콘텐츠에 의존적이던 기존의 대중문화의 공급구조에서 대중 스스로가 탈(脫) 매스미디어를 선언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2002년 월드컵에서 대단히 중요한 사건을 만들어 냈는데, 단순히 거리에 응원 인파가 많이 나왔다는 통계적인 수치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러한 문화행동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PC통신의 동호회문화를 통해 얻어진 ‘온라인 문화공공성’6)과 인터넷의 강력한 네트워크가 대중에게 채화되었기 때문이며, 이는 다시 문화주체와 문화주체간의 자율적 문화의지가 통합되면서 예측할 수 없었던 문화행동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참고 자료

강명구(1993),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민음사.
김민(1998). 『90년대 대중문화에서 바라본 청소년정보문화의 이해』, 청소년문화의현실 진단과 대안 모색 주제발표, 한국청소년학회.
리차드 슈스터만, 김광명,김진엽 공역(2002), “프라그마티스트 미학”, 예전사.
마샬 맥루한/꽹땡 피오르, 김진홍 역(2002), “미디어는 맛사지다”, 커뮤니케이션 북스.
원용진, 한은경, 강준만(1993), “대중매체와 페미니즘”, 한나래.
윤선희(1997). 『포스트모던 영상미학의 아우라와 시뮬라시옹』, 한국언론학보 42-2호, 한국언론학회
이강수(1980), “미국대중문화의 전파와 수용에 관한 고찰”, 예술학계.
이엔앙(1998), “방송수용자의 이해”, 한나래.
*영*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방통대(대중문화)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