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유기 태양전지 효율 향상 방안 (무기 태양전지 비교 및 hybrid 구조 제시)

*성*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9.11
최종 저작일
2012.09
10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유기 태양전지 원리 및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 하였습니다.

초보적인 내용은 다 안다고 가정하에 보고서가 써졌습니다. 밴드갭, exciton, HOMO, LUMO 에 대한 기본적 단어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았습니다. 반도체 용어에 대한 지식이 있으신 분들이 보시길 바랍니다.

유기태양전지의 작동 방식, 각 과정마다 원리 및 효율 향상 방안을 제시 하였습니다.

무기 태양전지와의 과정을 비교하여 효율이 차이나는 이유를 기술 하였고, 유 무기 물질을 혼합하여 효율이 향상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였습니다.

보고서내에 빨간색 글씨는 개인 아이디어 입니다. 이론 및 제시한 내용이 틀릴수 있으니 보고 쓸 수 없겠다 싶으면 그 내용은 빼시면 됩니다.

목차

1.solar cell 원리
2.organic solar cell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3.hybrid solar cell 구조

본문내용

Polymer를 donor 물질로 사용하는 organic solar cell의 경우 낮은 유전 상수로 인하여 광 여기 시 Frenkel exciton을 생성하게 되고 정공 쌍의 결합에너지(>100meV)가 커서 상온 열에너지(~25meV)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쉽게 recombination을 일으켜 life time, diffusion length가 매우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Exciton을 정공 쌍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donor와 acceptor 물질의 lumo, homo 에너지 차이를 이용하여 계면에서 exciton을 분리시킬 수 있지만, exciton의 diffusion length가 매우 짧기 때문에 광전자 변환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온 구조가 donor와 acceptor가 nano-micro size로 혼합되어 있는 bulk heterojunction구조 이다. Bulk heterojunction구조를 사용한 polymer-fullerene구조의 경우 광전자 변환효율이 높아 태양전지 효율을 8.13%까지 개선 할 수 있지만 내부의 random한 혼합상 때문에 carrier 수송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inorganic nanostructure를 사용한 Inorganic/organic hybrid 구조의 경우 현재 태양전지 효율이 3%로 polymer-fullerene에 비해 구현된 태양전지의 효율이 낮지만, 광전효율의 상승과 one-dimensional transport를 형성하여 수송효율 또한 상승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hybrid structure의 재료와 구조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효율을 상승 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 뒤 hybrid organic solar cell의 가능성을 논의해 볼 것이다.

참고 자료

Pope M and Swenberg C E 1999 Electronic Processes in Organic Crystals and Polymers 2nd edn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Hertel D and Baessler H 2008 Photoconduction in amorphous organic solids ChemPhysChem 9 666
Sariciftci N S, Smilowitz L, Heeger A J and Wudl F 1992 Photoinduced electron-transfer from a conducting polymer to buckminsterfullerenes Science 258 1474
Yu G, Gao J, Hummelen J C, Wudl F and Heeger A J 1995Polymer photovoltaic cells: enhanced efficiencies via a network of internal donor–acceptor heterojunctions
Science 270 1789
Bulk-heterojunction hybrid solar cells based on colloidal nanocrystals and conjugated polymers Zhou, Yunfei; Eck, Michael; Krueger, Michael, ENERGY & ENVIRONMENTAL CIENCE Volume: 3 Issue: 12 Pages: 1851-1864
J. Boucl_e, S. Chyla, M. S. P. Shaffer, J. R. Durrant, D. D. C. Bradley and J. Nelson, Adv. Funct. Mater., 2008, 18, 622–633.
J. Boucl_e, P. Ravirajan and J. Nelson, J. Mater. Chem., 2007, 17, 3141–3153.
A. L. Briseno, T. W. Holcombe, A. I. Boukai, E. C. Garnett, S. W. Shelton, J. J. M. Fre_cchet and P. Yang, Nano Lett., 2010,10, 334–340.
K. Takanezawa, K. Tajima and K. Hashimoto, Appl. Phys. Lett.,2008, 93, 063308–063303.
S.-C. Shiu, J.-J. Chao, S.-C. Hung, C.-L. Yeh and C.-F. Lin, Chem. Mater., 2010, 22, 3108–3113
*성*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유기 태양전지 효율 향상 방안 (무기 태양전지 비교 및 hybrid 구조 제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