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강간통념과 사회문제, 해결방안에 대해서

*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9.22
최종 저작일
2013.05
1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1.강간통념의 정의
2.강간통념의 역사

Ⅱ. 본론
1.강간통념의 실태
1)통계조사
2)사회적원인
3)피해 및 이차적피해
2.개선(치료)방안
1)현존하는 예방프로그램
2)가해자치료
3)언론과정부정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부록

본문내용

Ⅰ. 서론
들어가면서
‘성폭행 피해를 당하지 않으려면 매춘부 같은 옷을 입지 말아야 한다.’는 캐나다 경찰관의 발언에 대한 반발로 시작된 ‘슬럿워크(Slut walk)’가 지난 2011년 7월, 우리나라에서도 열리게 되었다. 여성들은 저마다 자유로운 차림으로‘어떤 옷차림을 입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육체적 관계의 동의는 아니다.’등의 피켓을 들고 도심을 행진했다. 그러나 이를 두고 일부 네티즌들은‘여성의 지나친 노출 복장은 남자들에게 자신이 쉬운 여자라고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노출을 한 여성에게도 1차적 책임이 있다.’등의 반박으로 시위대를 비난했다.
성매매집결지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이 있었던 지난 2011년, ‘생존권’을 주장하며 성매매 여성들이 대대적인 시위에 나섰다. 시위 이후 일반 대중 사이에서도‘성매매 합법화’에 대한 논란이 대두되며 그에 대한 찬, 반 입장이 팽팽히 갈렸다. 그 중 성매매 합법화를 주장하는 찬성측은 ‘성매매 합법화를 할 경우 성범죄가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의 근거를 들었다.

1.강간통념 정의
강간 통념이란 강간 범죄와 그 피해자 및 가해자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는 편향되고 고정관념적인 신념이나 태도를 일컫는다. 이러한 왜곡된 강간 통념에는 ‘피해 여성들이 처음부터 강간을 원했다’, ‘강간은 여성이 원하지 않으면 일어날 수 없다’ 등과 같은 강간 신화적 요소와 더불어 여자보다 ‘남자는 성충동이 일어나면 이를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해소하여야 한다’등 강간의 원인을 폭력이 아닌 성적 충동으로 인한 우발적 범죄로 돌리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강간 통념은 범죄의 책임을 가해자에서 피해자에게로 돌려, 강간 사건의 범죄 성립을 부정하거나 가해자가 억울한 누명을 썼다는 등 가해자에 대한 옹호와 동정을 불러일으켜 강간 가해자가 입는 타격을 최소화한다. 또한 피해자를 강간의 원인으로 취급하여 그가 겪는 고통이나 후유증을 과장이나 거짓된 것으로 폄하해 심각한 2차 피해를 주기도 한다.
슬럿워크 시위와 사태에 대해 범죄심리학 박사 이수정 교수는‘야한 옷차림이 성범죄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못된 이야기이며, 야한 옷차림을 보고 성욕이 생길 수 있지만,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억제력에 달린 문제이다.’라며 잘못된 강간 통념을 꼬집었다.

참고 자료

김선영 (1989). 강간에 대한 통념의 수용의 관한 연구: 경찰, 의사, 교사, 법조인, 상담원, 언론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재엽(2010). 성인 남성의 음란물 집착, 강간통념 수용과 성폭력 가해의 관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박상진, 신준섭(2005),외국의 성폭력 가해자 치료프로그램 연구
박지선, 범죄심리학-범죄자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책, 그린, 2012.08.14
박지선 외, 사람들이 생각하는 강간범죄자의 표상 : 실제 국내 강간범죄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11,여성가족부 작성, 성폭력실태조사 : 성통념(2010)
성교육, 외국에서는 어떻게 가르칠까?“, 레이디경향, 2009년8월호,http://lady.khan.co.kr/khlady.html?mode=view&code=10&artid=200908141101071
“’슬럿워크 코리아’가 던진 메시지”, 일다, 2011.07.22, http://www.ildaro.com/sub_read.html?uid=5768§ion=sc1, 2013.05.31.
여성가족부(2010),성폭력 가해자 교정 치료프로그램 매뉴얼
“영등포 집장촌 여성들, 성매매 단속 반대 속옷 시위”, 아주경제, 2011.04.15 http://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10415000398, 2013.05.31.
오숙희 외,남녀 대학생의 강간통념수용도,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2010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조선시대 성범죄, 어떤 처벌 받았나 경향신문. 2012. 10. 17.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0171026551&code=960201
이석재·최상진 (2001). 강간통념수용도에 따를 성행동·성폭력 사건지각.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지, 15(1), 97-116.
이지영(1999). 강간 예방 프로그램이 강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장미정 (2004). 성폭력 피해자 조사 시 2차 피해 유발질문의 사용과 수사관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강간통념과의 관계. 한림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학위논문.
조르쥬 비가렐로 (2002). 강간의 역사(Histoire du viol). 당대출판.
최인섭 외, 강간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2
표갑수*엄정옥(2012), 성폭력가해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한국교정학회
한국성폭력상담소 (2003b). 법조인의 성의식과 양성평등 교육실태 및 대안모색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한국성폭력상담소 (2003a). 형사사법절차상 성폭력 피해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대학원, 고정관념 및 강간통념과의 관계, 문학석사학위논문.
Martha R. Burt(1980). Cultural Myth and Supports for Ra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ape Myth Acceptance In College Students: A Literature Review. Rosemary Iconis, Queensborough Community Colleg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귀*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강간통념과 사회문제, 해결방안에 대해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