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기후변화와 교회] 기후변화의 원인, 현상, 기후변화의 문제점 및 기후변화에 대한 기독교, 교회의 책임과 방안

*창*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9.30
최종 저작일
2013.09
2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들어가는 말 : 문제제기

Ⅱ. 지구 환경 문제 : 기후변화의 현상들
1. 지구온난화
2. 엘니뇨 현상
3. 해수면 상승
4. 생물종 다양성 소멸 및 감소

Ⅲ. 기후변화의 원인
1. 온실가스의 증가에 의한 온실효과
2. 산업화에 따른 현대인의 소비문화
3. 사람들의 산업활동에 의한 변화

Ⅳ 환경 윤리에 대한 전통 윤리의 입장과 덕 윤리적 입장 비교
1. 생태계 위기의 사상적 요인
1)전통적 윤리 방법론에 따른 자연 이해
(1) 전통적 창조 신학
(2) 목적론적 전통
(3) 공리주의 전통
(4) 의무론적 전통
2) 덕윤리 방법론에 따른 자연 이해

Ⅴ. 생태신학자의 관점
1. 몰트만
2. 매튜 폭스 (Mattew Fox).
3. 샐리 멕페이그(Sallie McFague)
4. 맥킨 타이어
5. 폴 테일러 (Paul Taylor)
6. 토마스 힐

Ⅵ. 기후변화 시대에 있어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책임과 실천
1. 기후변화 시대에 있어 그리스도인의 생활 실천
2. 기후변화 시대에 있어 교회의 책임과 실천
1) 교회의 환경 교육
2) 친(親) 환경적 교회 생활
3) 교회의 사회적 과제

Ⅶ. 결론

참고문헌

[국문 자료]
[원서 자료]
[인터넷 자료]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 문제제기

지금 국제사회는 환경의 위기를 가장 긴박한 인류 생존의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환경문제는 그 원인과 결과에 있어서 세계적이며 전지구적이다. 오늘날 환경문제는 개인의 소비생활과 한 국가의 정치나 경제체제의 실패가 아니라, 지역과 국가를 초월하여 전 지구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것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에도 환경의 뚜렷한 변화와 함께 이상기후가 나타나고 있다. 그 이유는 전지구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이다. 지구는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때문에 어려움을 맞이하고 있다. 산업혁명 이래 더 많은 물질적 풍요와 편리를 지고의 가치로 추구해온 경제성장 전략은 이제 기후변화라는 엄청난 난제에 부딪치게 되었다.
기후는 지구에서 가장 넓고 깊고 복잡한 체계이다. 기후는 다른 모든 것, 곧 물, 토지, 태양, 식량을 통제한다. 기후변화라는 난제에 봉착한 현 시점에서 이 발제는, 기후변화의 현상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한 전통적 기독교 신학자들의 입장을 알아 본 후, 덕윤리(virtue ethics)의 관점에서 기독교 환경윤리의 해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 략>

교육은 말이나 특별한 프로그램으로만 하는 것은 아니다. 교회에서 생활하는 중에 저절로 교육이 되기 때문에 시설이나 생활을 조금씩 바꾸어서 모든 교인들의 생활에 자연스럽게 젖어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교회내에서는 일회용품이나 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가급적 무공해제품, 재활용품을 이용하도록 노력한다. 구체적으로 일회용 캔, 병에 든 음료수보다는 교회에서 손수 만든 음료수를 마시는 것까지 실천해 본다.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 문제는 지역차원의 문제, 범국가적 차원의문제이다. 지역 문제의 경우, 교단에 구애되지 아니하고 지역의 교회들이 연합하여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작은 일에서부터 교회안에서 실천을 하면 파급효과가 가정을 통해 그리고 이웃으로 전해지면서 아름다운 결실을 보게 될 것이다.

참고 자료

한면희『환경윤리: 자연의 가치와 인간의 의무』철학과현실사, 1997.
조형준, 홍성태 역 『우리 공동의 미래』 서울 : 새물결, 1994.
권성미 『땀흘리는 지구: 기후변화와 지구환경 이야기』 서울 : 삼성당, 2008.
조용훈, 『기독교환경윤리의 실천과제』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7.
조용훈, 『동서양의 자연관과 기독교 환경윤리』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2.
Jurgen,Moltmann, 김균진역, 『창조안에계신하느님』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7
구자건, 『생태계위기와한국의환경문제』서울: 도서출판따님, 1992.
기독교환경운동연대. 『기후변화에관한시대적,신학적성찰』.2008.
기독교환경운동연대. 『기후붕괴와신학적응답.2009』.
김균진. 『생태학의위기와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1.
박헌렬. 『지구온난화그영향과예방』서울: 우용출판사 ,2003.
엘고어. 이창주역, 『위기의지구』 서울: 삶과꿈 ,1995.
우자와히로후미. 김준호역, 『지구온난화를생각한다 』서울: 소화 ,1996.
이정배. 『생태학과신학서울종로서적』,1989.
Celia Deane-Drummond, Genetics and christian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2006.
David E. Cooper, Simon P. James, Buddhism, virtue and environment, Ashgate, 2005
David E. Cooper and Joy A. Palmer, Environment in question : ethics and global issues, Routledge, 1992
Jae Ho Cho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James M. Gustafson's theocentric perspective for the natural environment,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 2001.
James B. Martin-Schramm, Robert L. Stivers, Christian environmental ethics : a case method approach, Orbis Books, c2003.
Jamieson Dale. Ethics and the environment :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2008.
John Barry, Rethinking green politics : nature, virtue, and progress, Sage Pub, 1999.
Mcfague, Sallie. The Body of God : An Ecological Theology.
Michael Boylan, Environmental ethics, Prentice Hall, 2001
Michael S. Northcott, The environment and christian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Philip Cafaro and Ronald Sandler. Environmental virtue ethic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Philip Cafaro, Virtue ethics and the environment , Springer, 2010
Rebekah Humphreys and Sophie Vlacos, Creation, environment and ethic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0
Rebecca L Walker; P J Ivanhoe, Working virtue : virtue ethics and contemporary moral problems, Oxford University Press, c2007.
Robert Elliot, Environmental ethics, Oxford University Press, c1995.
Ronald L. Sandler, Character and environment : a virtue-oriented approach to environmental eth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 2007.
Sandler, Ronald, Cafaro, Philip. Environmental Virtue Ethic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8
Philip Cafaro, Ronald Sandler. Virtue Ethics and the Environment. Springer, 2010
Ronald L. Sandler. Character and Environment: A Virtue-Oriented Approach to Environmental Ethics (A Virtue-oriented Approach to Environmental Eth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Deane-Drummond, Cella. Genetics and christian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Louke van Wensveen. Dirty Virtues: The Emergence of Ecological Virtue Ethics. Humanity Books, 1999
Lisa H. Newton. Protection for the Biosphere: A Proposal for International Business Operations.: An article from: Global Virtue Ethics Review. 2005
Mcfague,Sallie.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 Fortress Press,1993.
www.climate.go.kr/index.html
www.co2diet.or.kr
www.ecoyellow.co.kr/
www.greenchrist.org/
www.pck.or.kr/
조용훈, 『기독교환경윤리의 실천과제』(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7), 191-196.
환경오염이란, 환경정책기본법의 정의에 따르면 인간의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대기오염, 수질 오염, 토양오염, 해양오염, 방사능오염, 그리고 소음, 진동, 악취 등으로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뜻한다. 조용훈, 『동서양의 자연관과 기독교 환경윤리』(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2), 20.
권성미 『땀흘리는 지구: 기후변화와 지구환경 이야기』 (서울 : 삼성당, 2008), 7.
조용훈, 『동서양의 자연관과 기독교 환경윤리』(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2), 32.
WCED, 조형준, 홍성태 역 『우리 공동의 미래』(서울 : 새물결, 1994), 165-166
http://www.climate.go.kr/index.html
조용훈, 『동서양의 자연관과 기독교 환경윤리』(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2), 36.
우자와히로우미, 김준호역, 『지구 온난화를 생각한다』 (서울 : 소화출판사, 1996), 18.
조용훈, 『동서양의 자연관과 기독교 환경윤리』(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2), 39.
조용훈, 『기독교환경윤리의 실천과제』(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7), 19.
『환경윤리: 자연의 가치와 인간의 의무』, 1997, (한면희, 철학과현실사). pp48-51.
Environmental ethics, , 2008/1/3, 여기에서는 ‘consequentialism(결과주의)로 표현한다.
『환경윤리: 자연의 가치와 인간의 의무』, pp54-55.
Environmental ethics,
『Character and Environment: A Virtue-Oriented Approach to Environmental Ethics』, 2007, (Ronald Sandler, Columbia University Press) p.34.
Jurgen,Moltmann, 김균진역, 『창조안에계신하느님』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7),
강남순, “통전적통전적생태신학을향하여 ” 『기독교사상』 (1994.2),95.
S. McFague,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 Nucleal Age
이정배“셀리맥페이그,” (인터넷자료:http://www.peacenet.or.kr).

자료후기(1)

*창*
판매자 유형Platinum개인인증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환경문제대한 목회적 해결방안 5페이지
    환경문제대한 목회적 해결방안 (환경문제대한 교회의 태도) 오늘날 인류는 ... 이러한 점에서 오늘날 교회가 가져야할 책임은 적지 않다. ... 이러한 환경오염과 공해현상원인은 18세기 영국의 산업혁명 이후 급격한
  • 한글파일 [환경윤리]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 13페이지
    이제 환경 문제에 있어서 교회기독교인의 인식이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다 ... 우리는 이러한 환경 문제를 극복하는 방안에 대해 몇 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해 ... 환경 문제대한 극복 방안 미래학자들은 21세기에 가장 심각한 인류의 공동의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기후변화와 교회] 기후변화의 원인, 현상, 기후변화의 문제점 및 기후변화에 대한 기독교, 교회의 책임과 방안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