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부모가족의 유형과 현황·서비스 현황 조사와 한부모가족의 문제와 대책 연구 리포트A+

에이플리포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4.02.01
최종 저작일
2014.02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4,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가족복지학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목차

1. 한부모가족의 유형과 현황
1) 한부모가족의 정의
2) 한부모가족의 유형과 현황

2. 한부모가족의 문제
1) 모자가족의 문제
2) 부자가족의 문제

3.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현황
1) 공공부조
2) 사회보험
3) 한부모가족지원법
4) 사회복지 서비스

4. 한부모가족에 대한 대책
1) 정책적 대안
2) 실천적 대안

본문내용

1. 오늘날 현대사회에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존재한다. 이들 다양한 가족형태를 그 역할 및 구성과 관련하여 분류하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전통적 가족, 맞벌이가족, 계부모가족, 한부모가족 등이 그것이다. 전통적 가족은 부는 직업을 갖고 가정 밖에서 일하고 모는 집안일을 하면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을 말하고, 맞벌이가족은 부모 모두가 직업을 갖고 소득을 가지면서 자녀를 양육하는 가족형태를 말한다. 또한 계부모가족은 부모 중 한쪽이 계부나 계모로 구성된 가족을 말하고, 한부모가족이란 부모 중 한쪽으로만 구성된 가족을 말한다. 이와 같은 가족유형 중에서도 특히 한부모가족은 부모 중 한쪽이 부재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복합적인 문제에 처할 가능성이 높아 사회복지의 일차적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부모가족은 부나 모 중의 한 사람이 단독으로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족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한부모가족에 대한 정의는 이보다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학자에 따라 각기 다른 견해를 갖고 있어 하나의 합의된 정의를 이끌어 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예를 들어, Schlesinger는 “부모 중 한쪽과 18세 이하의 자녀가 함께 사는 부모-자녀 집단”으로 보았고, Orthner, Brown과 Ferguson은 자녀의 구체적인 연령을 지적하지 않은 채 “한 가정에서 사는 한쪽 부모와 요보호 아동으로 구성된 가족”으로 규정하였다. 한편, 한국여성개발원이 한부모가족에 대해 조사한 연구에서는 미국의 『사회복지대백과사전』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의 틀을 받아들여 “부모 중 한쪽의 사망, 이혼, 유기 별거로 인하여 편부 혹은 편모와 그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 으로 원인의 범위를 한정하여 한부모가족을 정의하고 있다. 이상에서처럼 한부모가족에 대한 정의는 부모의 한쪽과 자녀가 함께 살아야 한다는 점을 공통으로 언급하고 있다. 즉, 한부모와 그 부모의 보호를 요하는 자녀로 구성된 집단을 지칭함으로써, 자녀가 있더라도 그 자녀를 보호하고 있지 않은 부모는 혼자 사는 것으로 보아 가족이나 집단으로 보기 어렵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참고 자료

김경중(1982). 부친부재와 자녀의 인성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인숙(1984). 요보호모자가족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신영(1999). 저소득층 부자가족 복지서비스의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태룡(1993). 부자가정의 실태와 지원방안. 법정논총, 8, 227-245. 대구대학교 법정연구소.
보건복지부(2004). 보건복지백서.
송성자, 성규탁(1986). 빈곤가족과 사회사업: 프로그램 방향구상. 사회복지, 90, 7-24.
신건희(1995). 부자가정의 의미와 문제점 및 대응책. 사회과학논문집, 14(1), 63-95. 대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신수자(1995). 부자가정의 특성과 대책.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성부(2009). http://www.moge.go.kr
유수현(1991). 모자가정의 문제와 복지대책. 기독교 사회복지, 창간호.
장인협(1987). 사회복지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정복란(1983). 모자세대 복지에 관한 연구. 서울: 보건사회부 사회보장심의위원회.
정현숙, 서동현(1996). 편부모 가정의 자녀가 인지한 가족환경 및 사회 심리적 적응. 서울특별시 가정복지 세미나 자료집 ‘늘어나는 편부모가정’, 37-62.
조희선(1996). 편부모 가정복지의 실제와 향상방안. 늘어나는 편부모 가정, 69-113. 서울특별시 1996 가정복지 세미나.
최선애(1984). 부친부재가 자녀의 정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1995). 태화임상사회사업연구, 제2호.
통계청(1997, 2002, 2007).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통계청(2004). 2003 혼인·이혼 통계 결과.
통계청(2005).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보고서.
한국여성개발원(1984). 편부모가족의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1988). 저소득층 모자가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2001). 여성 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한국여성개발원(2000). 한부모를 위한 가이드. 서울: 한국여성민우회·가족과 성상담소.
Burden, D. (1980). Women as single parents: Alternative services for a neglected population. In N. Gottlieb (Ed.), Alternative social services for women (pp. 255-279). New York: Columvba University Press.
Mendes, H. A. (1979). Single-parent family: A typology of life style. Social Work, 24(3), 193-200.
Orthner, D. K., Brown, T., & Ferguson, D. (1976). Single-parent fatherhood: An emerging lifestyle. Family Coordinator, 25(4), 429-437.
Trost, J. (1980). The concept of one-parent family.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11(1), 13-16.
Zimmerman, S. L. (1983). The reconstructured welfare state and the fate of family policy. Social Casework, 64, 459-465.
에이플리포트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부모가족의 유형과 현황·서비스 현황 조사와 한부모가족의 문제와 대책 연구 리포트A+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