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근세사] 정인보의 역사관에 대해

*희*
최초 등록일
2003.06.09
최종 저작일
2003.06
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양적인 면으로는 좀 부족한 면이 있지만, 질적인 면으로만 살펴보면 어디에 내놔도 부족하지 않을 것임을 자부합니다. 서론과 결론을 좀더 보강만 한다면 양적인 면으로도 부족함이 없을꺼에여... 마니 받으시고 조은 점수 받으세여.....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생 애

위당(爲堂) 정인보는 1893년 5월 6일에 외가인 서울 종현(鐘峴)에서 태어났다. 자는 경업(經業)이고 호는 수파(守坡)·미소산인(薇蘇山人)·담원( 園) 등이 있었는데 아호가 위당이었다. 조선 명종대의 대제학 정유길(鄭惟吉)의 후손으로, 철종대의 영의정 정원용(鄭元容)의 증손이 되며 아버지인 정은조(鄭誾朝)는 호조참판을 지냈다. 그러나 한말 격변기의 시대상황에서 가세가 크게 기울어졌고 위당은 안정된 생활여건 속에서 성장하지 못했다. 위당은 소년시절부터 한학에 몰두하였는데 1910년에 양명학의 대가인 난곡(蘭谷) 이건방(李建芳)의 제자가 되어 학문영역을 더욱 확장시키고 훗날 구경(九經)·십통(十通)에 통달하게 되는 학문적 기초를 이루게 된다. 위당은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긴 직후 중국상해와 만주 서간도를 오가면서 국제정세를 살폈고, 상해에서 신채호, 박은식, 신규식, 김규식 등과 함께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하여 동포들에 대한 정치·문화적 계몽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이후 위당은 1923년 이래 연희전문에서 전임으로 재직하면서 한문학, 국사학, 국문학 등 국학 전반에 걸친 강의를 담당하였고 본격적인 저술활동과 함께 동아일보와 시대일보의 논설위원으로 활약한다. 해방 후 1948년 국학대학의 학장에 취임하였고, 1948년에 대한민국이 수립되자 관기(官紀)와 사정(司正)의 중책을 지닌 초대 감찰위원장이 되었다. 그는 1950년 7월 말경 서울에서 납북되었다.

2. 역사학의 체계와 역사인식

(1) 역사학의 체계

위당의 한국사연구의 계기와 지향점은 일제 식민사관에 대한 철저한 대응과 일제의 논리에 부응해간 일부 실증주의 사관의 시정 및 민족주의 사관의 계승에 있었다. 이의 연장으로 위당은“사람의 고도리는 얼이다. 얼이 빠져버렸을진대 그 사람은 꺼풀 사람이다.”라고 하여 정신사관으로서의‘얼’을 강조하였다.

참고 자료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인식
민족문화대백과

자료후기(1)

*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한국역사학과 민족사학의 논고 - 일제강점기의 역사학과 한국사 연구를 중심으로 - 12페이지
    정인보역사학 연구는 대체적으로 조선 후기를 중심으로 하는 근세학술사와 ... 한국역사학과 민족사학의 논고 - 일제강점기의 역사학과 한국사 연구를 중심으로 ... 한말의 역사학 1. 일본의 조선 침략과 한국사 연구 2.
  • 한글파일 위당 정인보 선생의 한국고대사 인식 7페이지
    위당의 역사관으로 회자되는 ‘얼’사관은 민족정신인 ‘얼’을 중심으로 그 외적 ... 역사학의 발달”『한국역사인식』下 1985 심경호 “강화학과 담원 정인보 ... 위당 정인보 선생의 한국고대사 인식 목 차 Ⅰ. 서 론 Ⅱ.
  • 한글파일 백남운을 통해 본 한국 사회 경제사 11페이지
    硏究 論文 조동걸,「연보를 통해본 정인보와 백남운」,『한국독립운동사연구』5 ... 한국사 인식에 대해 검토해 본 후 그의 한국사 구성 체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백남운의 일제하 역사인식과 한국사인식 Ⅳ.
  • 한글파일 실증사학- 이병도(李丙燾)를 중심으로 8페이지
    그는 한국 근세사의 성격을 당쟁사로 이해하고, 당쟁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 이병도의 역사관 Ⅳ. 실증사학의 사학사적의의 Ⅴ. 맺음말 Ⅰ. ... 그리고 실증사학의 대표적인 인물인 이병도의 생애와 역사관을 알아보고, 실증사학이
  • 워드파일 목민심서 5페이지
    뒷날 위당 정인보는 "다산 선생 한 사람에 대한 연구는 곧 조선사의 연구요 ... 다산이 말하는 ‘목민관’은 옛날의 제후요, 근세의 수령(守令)이요, 오늘날의 ... 이에 이십삼 사(史)와 우리나라의 모든 역사와 옛 성현들의 모든 저서에서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근세사] 정인보의 역사관에 대해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