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국내 앱북의 현황과 미래

*영*
최초 등록일
2014.09.28
최종 저작일
2013.04
1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서론
A. 연구 필요성과 목적
B. 연구 방법과 내용

2. 본론
A. 앱북의 개념
B. 국내 전자책 시장 현황 및 사업자 구도
C. 이슈 앱북 콘텐츠
1) 그림 동화 : ‘구름빵’
2) 만화 : ‘열혈강호’
3) 판타지 소설 : ‘에뜨랑제’
4) 연애 로맨스 소설 : ‘대학생’
D. 현재 앱북의 특성과 미래전망

3. 결론 : 연구의 함의

본문내용

1. 서론
A. 연구 필요성과 목적
2010년 애플의 아이패드가 국내에 출시되면서 시장에서 앱북의 인기가 높아졌다. 한국경제
(2011. 4. 13)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가 확산되자 출판계에서 차세대 e북이
라 불리는 앱북의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디지털 데일리(2011. 4. 15)에서도 앱북은 스마트 기기만 휴대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교육 출판 업체들이 플래시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가미된 앱북 출시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보도했다(이옥기, 2011).
이러한 앱북 콘텐츠와 시장은 2013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허정은(2012)은 앱
북은 앱스토어(App store)2)에서 쉽게 다운 받을 수 있으며, 종이책보다 다양한 콘텐츠 구성요소를 담을 수 있고, 상호작용성을 이용해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고 앱북의 인기 요인을 설명했다. 하지만 앱북의 인기에 비해서 앱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동안 대다수의 논문은 정종원(2005)에서와 같이 ‘전자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이옥기,2011). ‘앱북’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논문들이 2010년 이후 등장했지만 박미희(2013)나 박소영(2012)과 같이 유아용 앱북의 특성 연구나 변시우·방규선(2012)과 같이 앱북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기술 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중 략>

3. 결론 : 연구의 함의
연구 결과 어플리케이션 시장 뿐 아니라 앱북 시장을 포함한 국내 전자책 시장 역시 2006년 이후 2013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규모가 커지고 있다. 구름빵의 경우 과도한 상호작용 기능이 수용자의 몰입을 방해한다는 단점이 있고 대학생의 경우에도 모든 챕터마다 넣은 동영상이 원활하게 실행되지 않아서 수용자 측면에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 자료

문현숙(2013), 디지털 퍼블리싱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앱북 제작,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한국
디지털디자인협의회, PP. 442-449
박미희(2013), 아동용 앱북의 상호작용 양상 연구,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 학회, 통권 제
28호, PP. 167~188
박소영(2012), 어린이 앱북 인터페이스의 사용방식 유형 차이에 따른 선호도 비교 연구, 『디
지털디자인학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pp.599-608
변시우·방규션(2012), 스마트패드 기반 앱북의 설계 및 구현,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
계학술논문집 2부』, 한국산학기술학회
성영아(2008), 커뮤니케이션 확장을 위한 eBook의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 : "A. Travel
Story"와 "NEWWEBPICK"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영아(2007),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을 활용한 e-Book 콘텐츠 개발 연구』, 한국브랜드디자
인학회
이옥기(2011), 앱북에 대한 수용자의 재매개화와 사용용이성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
구』, 한국출판학회, 통권 제60호, P. 100
이용준·이중호·정세일·류영호(2013), 『스마트 융합시대 전자책산업 진흥을 위한 중장기 전략
과제 연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이용준·이선영·손애경·정광훈·김병희·정진한·조영신(2013), 『전자출판산업 활성화를 위한 토론
회』,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정일형(2005).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의 재매개화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정종원(2005), E-book 이용실태와 발전 전망, 『언론정보학보』, 한국언론정보학회, 통권 31호,
pp. 9-409.
허정은(2012), 팝업북과 앱북으로 만든 어린이그림책
Levinson, P. (2009). New new media. Boston: Allyn & Bacon.
http://news.devmento.co.kr/news/messageDetail.do?messageId=34870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apps/news?popup=0&nid=01&c1=1003&nkey
=2012110200883000221&mode=sub_view
아이티투데이, http://www.i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35
http://cafe.naver.com/etrangerapp.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13
&social=1
http://www.storyscoop.co.kr/index.html
https://itunes.apple.com/kr/app/daehagsaeng/id471181970?mt=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891&cid=3619&categoryId=3876
http://cafe.naver.com/etrangerapp/7
*영*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국내 앱북의 현황과 미래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