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신문방송학개론]세월호 사건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방송사, 신문사를 중심으로)

*민*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5.12.10
최종 저작일
2014.06
1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신문방송학에서 수강한 신문방송학개론 전공수업 과제입니다.
세월호 사건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은 어떤 모습인가에 대해 조사한 보고서 입니다.

★ 이런분들에게 추천 합니다.
- 세월호 사건에 대한 자료 및 보고서가 필요하다.
- 세월호 사건 당시 언론의 프레임(태도)에 대한 보고서가 필요하다.
- 나름의 개인적인 시각 및 깊은 고찰이 가미된 자료가 필요하다.
- 신문방송학 개론 관련 수업의 레포트 자료가 필요하다.

목차

1. 세월호 사고란?

2. 과제방향

3. 방송사의 프레임
3-1 SBS의 사례와 프레임
3-2 KBS의 사례와 프레임
3-3 MBC의 사례와 프레임
3-4 jTBC의 사례와 프레임

4. 신문사의 프레임
4-1 조선·중앙·동아일보
4-2 한겨레신문·연합뉴스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세월호 사고란?
2014년 4월 16일 오전 8시 48분경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부근 황해에서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침수가 발생하고 나서 선장과 선원들은 배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그 상황을 알리면 사태가 악화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배에 가만히 있으라는 안내방송을 하였다. 승객들은 스마트폰 검색으로 자신들이 탄 배가 침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렸고, 세월호 침몰의 최초 신고자는 대리 이준석 선장이 아닌 안산 단원고 학생의 한 학부모였다. 세월호에는 단원고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25명과 선원 30명 등 총 476명이 탑승하였다. 6월 1일 15시경까지 구조자 172명, 사망자 288명, 실종자는 16명이다.

2. 과제방향
세월호 침몰은 언론 침몰이라고도 비유된다. 세월호 사고를 보도하는 언론의 모습에서 그간 묵혀져 왔던 언론의 문제들이 여과없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는 보도준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언론들은 속보경쟁에만 매달려 잦은 오보를 내보내는가 하면 기자들은 피해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취재원들의 취재 태도가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각자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다른 프레임에 초점을 맞춘 언론들의 보도는 국민들이 세월호 사건의 각기 다른 모습을 보게 만들었다. 보수성향의 언론은 정부를 옹호하는 태도를 보이며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를 다른 방향으로 돌리고자 애썼고, 진보성향의 언론은 정부심판을 기조로 한 보도를 했다.
이 리포트는 세월호 사건에 대해 각 언론사들이 어떠한 프레임을 내걸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언론사들이 일관되게 특정 프레임만을 고수했다고 일반화하기에는 살펴보는 사례가 많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선별한 사례들은 각 언론사들이 가지고 있는 특정 프레임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선별한 사례들이 어떠한 프레임을 가지고 보도가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 될 것이다.
크게 매체별로는 방송국과 언론사로 나누고, 그 안에서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조수경, 또 MBC만 세월호 유족 ‘눈물’과 ‘김기춘’ 외면, 미디어 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907, 2014.5.29.
이니지오의 기억노트, SBS가 청와대 앞 세월호 유족들을 보도하는 방법, http://inizios.blog.me/200000440887, 2015.5.14.
씨투데이, 세월호 관련 보도 경향으로 본 언론외교 http://du-ctoday.com/283, 2014.5.7.
흥흥의 블로그, KBS의 참단한 현실. 개병신 소리도 들었다 http://blog.naver.com/dudgh2019?Redirect=Log&logNo=209627854, 2014.5.10.
김혜원, 김한길 “한국 언론자유지수 68위, 언론 자유국 아니다”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50909393388337, 2014.5.9.
Stranger on Earth, kbs노조-세월호 덮기 위해 지하철 사고를 키워서 보도하라고 지시?<JTBC뉴스> http://blog.naver.com/sy5246?Redirect=Log&logNo=220013787403, 2014.5.28.
lynyrd64, KBS방송의 세월호 보도행태, http://blog.naver.com/lynyrd64?Redirect=Log&logNo=80212159457, 2014.5.1.
바람의 이야기, 세우러호 KBS 세월호 보도 기사들, http://yellowpebble.tistory.com/317, 2014.5.7.
돌인 듯 바람인 듯, [세월호 침몰] <한겨레신문>모니터링, http://blog.naver.com/yuri98th?Redirect=Log&logNo=30189411879, 2014.4.24.
김희영, 청와대, 한겨레에 8,000마누언 손해배상 소송,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View.html?idxno=33756, 2014.6.4.
파란집, 한겨레, 세월호 사고 아이까지 이용한 박근혜 대통령 흠집내기, http://blog.naver.com/al_avalanche?Redirect=Log&logNo=20209026668, 2014.4.17.
한겨레 온라인 뉴스팀, ‘쇼크상태’였던 아이가 왜 박 대통령 현장 방문에?,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33382.html, 2014.4.17.
“철학이 있는 정치경제연구소”, 세월호와 조중동의 저널리즘, http://blog.naver.com/cannyhawk?Redirect=Log&logNo=80212250015, 2014.5.2.
양성희, [분수대]아, 세월호...잊지 않아야 바뀐다,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4769239&cloc=olink|article|default, 2014.5.24.
김용석,유재동,황수현, “세월호 참사 여파 식당매출 36%나 줄었어요”, http://news.donga.com/3/all/20140527/63813193/1, 2014.5.28.
조선닷컴, 세월호 참사에 내수 경기 ‘냉랭’... 소상공인 78% “경영에 큰 타격”,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5/25/2014052501629.html, 2014.5.25.
중앙일보, [사설]이젠 일상으로 돌아갈 때다,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4778920&cloc=olink|article|default, 2014.5.26.
박상후 부장, [함께생각해봅시다]분노와 슬픔을 넘어서, http://imnews.imbc.com/replay/2014/nwdesk/article/3459340_13490.html, 2014.5.7.
선대식, “KBS윗선, ‘서울지하철 사고 키워서 보도’지시”,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92172, 2014.5.16.
이영준, “양보했다” 민간 잠수사 추가증언 인터뷰, JTBC 손석희 언딘 보도 진실은?, http://wowstar.wowtv.co.kr/news/view.asp?newsid=27234, 2014.4.30.
저격수, JTBC/세월호 참사 첫 브리핑 언딘, 언딘의 거짓말 폭로, http://blog.daum.net/choeahri/8647795, 2014.5.31.
홍창진, ‘물살 거세지기 전에...’ 사상 최대 규모 수색 총력,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878416, 2014.4.24.
*민*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신문방송학개론]세월호 사건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방송사, 신문사를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