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친환경 접착제와 점착제 및 그 응용

*기*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5.12.13
최종 저작일
2013.04
3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접착제 및 점착제의 소개
1. 접착제와 점착제
2. 접착제의 구분과 활용범위

2. 접착 메커니즘
1. 기계적 맞물림
2. 확산 이론
3. 흡착이론
4. 화학결합

3. 친환경 접착제
1. 친환경 접착제의 사용배경
2. 천연계 접착제의 특성과 분류

4. 탄닌을 이용한 목재 접착제
1. 탄닌이란?
2. 축합형 탄닌인 pine 탄닌과 wattle 탄닌의 비교
3. 탄닌의 추출과 접착제의 제조
4. 탄닌 접착제 제조에 사용하는 경화제
5. 탄닌접착제 특징
6. 저 유리포름알데리드 방산의 탄닌접착제
7. 탄닌접착제의 응용

5. 포장산업에서의 친환경 접착제
1. 생산방법에 따른 포장용 접착제의 분류
2. 용도에 따른 포장용 접착제
3. 친환경 포장용 접착제의 최근 동향

6. 친환경 접착제의 대두
1. 대두 단백질
2. 대두 접착제
3. 실제 사용되고 있는 대두 접착제 예

7. 결론

본문내용

1. 접착제 및 점착제의 소개
1. 접착제와 점착제
우선, 접착제와 점착제가 무엇인지 그 차이에 대해 알아보면, 접착제란 접착 후(완전 경화 후) 떼어내면 고체상태로 접착력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하며, 점착제란 접착 후 떼어낸 후에도 다시 접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간단히 정리해 보면 접착 후 접착력이 완전히 사라진 것이 접착제이고 접착 후 접착력이 있는 것이 점착제이다. 접착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본드 등이 있고, 점착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테이프, 포스트잇 등이 있다. 그러나 점착제도 접착제의 한 종류로서, 이하 접착제는 점착제를 포함하여 통칭하기로 한다.

2. 접착제의 구분과 활용범위
접착(adhesion)이란 동종 또는 이종의 피착제(adherend)를 일체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접착은 볼트, 너트, 리벳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결합과 열융착, 접착제, 점착제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접착으로 나누어진다. 최근 이러한 접착기술은 적용제품의 기능의 복잡화, 외형의 감성화 그리고 무게의 경량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접착제는 생성상태에 따라 천연/합성 고분자로 구별이 되고 열역학적 성질에 따라서 열경화성/열가소성 수지, 성능적 성질에 따라 구조용/비구조용으로 접착제의 형태에 따라 용제형, 핫멜트형, 광경화형 접착제 그리고 점착제 등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접착제는 건축, 생활용품, 의료용품 등의 주거 및 생활용품용 접착소재부터 자동차, 선박, 기계, 전기·전자분야 등의 산업용 접착소재 그리고 바이오 및 차세대 로봇기술 등에 응용되는 미래 선도산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중에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건축-토목산업에서는 건축구조용, 건축 내-외장용, 기능성 점착시트 등이 활용되며 이들은 건물 외장의 실란트, 가구용 접착 및 마루바닥재 접착, 철근콘크리트 접착 및 실내온도 조절용 기능성 필름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기·전자산업에서는 슬림화, 경량화, 미적 감성화 그리고 기능의 복합화에 따라 접착제의 활용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현재 디스플레이, 모바일, 반도체 그리고 백색 가전류 까지 전 산업의 영역에 걸쳐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참고 자료

(a) K. Cho. and E. Cho, J. Adhesion Sci. Technol, 14. 1333 (2000) : (b) K. Cho, E. Cho. C. E. Park ; (c) D. J. Arrowsmith, Trans. Inst. Metal Finish, 48, 88 (1969), J. Adhesion Sci, Technol., 15. 439 (2001).
E. Eelfand and Y. Tagami, J. Chem. Phys., 56, 3592 (1972).
R. P. Wool, J. Polym. Sci. Polym. Letters, 20, 1 (1982).
H. F. Brown. Macromolecules, 24, 2752 (1991)
W. G. Potter, Epoxide Fesins, Iliffe, London (1970).
K. Autumn, Y. A. Liang, S. T. Hsieh, W. Zesch, W. P. Chan, T. W. Kenny, R. Fearing and R. J. Full, Nature, 405, 681 (2000)
L. Pauling, The Nature of the chemical bond, Cornell University Press, NewYork (1960).
R. N. O'Brian and K. Hartman, J. Polym. Sci, C34, 293 (1971).
I. E. Klein, J. Sharon, A. E. Yaniv, H. Dodiuk and D. Katz, Int. J Adhesion Adhesives. 3, 159 (1983).
박영준, 주효숙, 김현중, 접착 및 계면(한국접착및 계면학회), 5(4), 34 (2004).
엄영근, 목재접착⋅도장론 및 실험, 국민대학교 임산공학과.
이상민, 목재용 접착제 연구 동행, 산림, 7월호, 2012년 http://www.sanrimji.com/
오진경,임동혁,김소연,김현중, 천연 재료를 이용한 친환경 접착제, 접착 및 계면, 제9권 제3호, 2008년, 39p
임덩혁,김수민,도현성,박영준,주효숙,김현중, 친환경 고기능성 접착제와 점착제의 연구동향, Trends in Agriculture & Life Sciences vol3, 2005년, 32p
오진경,임동혁,김소연,김현중, 천연 재료를 이용한 친환경 접착제, 접착 및 계면, 제9권 제3호, 2008년, 40p
도현성,박영준,김수민,임동혁,김현중, 환경친화적 접착,접착제의 기술동향, 공업화학 전방, 제7권 제4호, 2004, 27p
친환경 파티클 보드 제조방법 (09-6월-2011), http://ip.com/pat/WO2011068286A1
한국산업규격 KS T 1001.
김청, 포장이야기, 포장산업, 서울 (1999).
한국포장산업연구소, 일본의 포장산업동향 : 용기⋅포장 재료와 제품별 시장 동향, 포장산업, 서울 (2009).Japan Packaging Institute.
K. S. Marsh and A. L. Brody, The Wiley Encyclopedia of Packaging Technology, 2nd ed. Wiley, New York(1997).
B.-J. Kim, S. Kim, S.-E. Kim, H.-J. Kim, and S. D. Kim, Viscoelastic Properties and Peel Strength of Water-borne Acrylic PSAs for Labels, Journal of Adhesion Science and Technology, 21, 109 (2007).
K. S. Marsh and A. L. Brody, The Wiley Encyclopedia of Packaging Technology, 2nd ed. Wiley, New York(1997).
김현중, 김대준, 조길원, 접착⋅점착의 화학과 응용,한국접착 및 계면학회, 부산 (2002).
Y.-J. Park, H.-S. Joo, H.-S. Do, and H.-J. Kim, Viscoelastic and Adhesion Properties of EVA/Tackifier/Wax Ternary Blend Systems as Hot-melt Adhesives, Journal of Adhesion Science and Technology, 20, 1561 (2006).
도현성, 김현중, 핫멜트 접착제에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기능성 고분자첨가제, 접착 및 계면, 5, 44 (2004).
Y.-J. Park, H.-S. Joo, H.-S. Do, and H.-J. Kim, Viscoelastic and Adhesion Properties of EVA/Tackifier/Wax Ternary Blend Systems as Hot-melt Adhesives, Journal of Adhesion Science and Technology, 20, 1561 (2006).
도현성, 김현중, 핫멜트 접착제에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기능성 고분자첨가제, 접착 및 계면, 5, 44 (2004). N. J. Earhart, UV Protection of Hot Melt Adhesives Used in Packaging Applications, 2000 Hot Melt Symposium, TAPPI (2000).
도현성, 김대준, 김현중, UV 경화형 소재의 응용, 접착 및 계면, 4, 41 (2003).
*기*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8주차 고분자 표면개질(UV & Plasma) 접촉각(예비) 12페이지
    표면활성 에너지가 낮은 재료의 접착력 향상 친환경적 공정 표면손상의 최소화 ... , 점착성, 오염되지 않는 방오성, 물방울이 붙지 않는 방담성 등의 특성은 ... 등이 생성되므로 이 때문에 표면은 극성이 높아지고 극성이 높은 도료, 착색제,
  • 파워포인트파일 고분자 (CFRP) 탄소섬유 19페이지
    섬유를 채 썰듯이 잘라 다시 재활용까지 하면서 제작비를 아낄 뿐 아니라 친환경 ... Surface treatment : 카본표면에 화학적 접착력을 만들어주기 ... Sizing : 이후 섬유 가공과정에서 섬유를 보호하거나 복합재 레진점착력을
  • 파워포인트파일 접착제, 게켈 20페이지
    접착친환경접착제 생체모방공학 홍합접착응용 – 게켈 게켈의 문제점 ... 게켈(Geckel) 홍합접착응용 생체모방공학을 이용한 친환경 접착제 Content ... 친환경 접착제 ◆ 우리 주변의 접착제가 인체에 유해한 이유?
  • 한글파일 도금 39페이지
    도금15 (11) 전착 코팅15 (12) 물리 증착16 (13) 기타 친환경도금16 ... 유용한 점착도(1~6㎏/㎝)가 얻어지지만 금속-금속의 도금과 비교할 만한 ... 대한 저항성) 부여 - 고온에서 사용하는 금속을 보호 - 밀착성(또는 접착
  • 한글파일 건축 신소재에 관한 Report 21페이지
    접착제(중부하 아교) - 벽돌/화강암 갈바룸 안벽 판넬 사이의 아교/ ... 기준에 적합한 친환경 건축자재입니다. 3)경제성 : 기존 원목마루에 비해 ... 부착하면 기포가 발생하여 필름부착을 거의 하지 못하였으나, 폴리카보네이트용 점착제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친환경 접착제와 점착제 및 그 응용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