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서울의 산과 하천(서울의 山水)

*소*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6.07.24
최종 저작일
2016.07
89페이지/파워포인트파일 MS 파워포인트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예로부터 청계천은 한양의 풍수지리에서 중요한 천이었다. 득수법으로 보면 청계천은 한양이라는 명당을 흐르는 주수가 되고 한강이 객수가 되어 흐르는 형태로 해석되어지기 때문에 청계천은 한강과 더불어 서울의 중요한 천이다.

목차

1. 거시적관점의 서울(간룡법)
2. 내외4산
3. 위치
4. 북한산
5. 도봉산
6. 수락산
7. 불암산
8. 용마산
9. 아차산
10. 우면산
11. 서달산
12. 관악산
13. 신정산
14. 개화산
15. 덕양산
16. 사신수(四神獸)
17. 4대문 4소문
18. 북악산
19. 남산
20. 매봉산
21. 응봉산
22. 낙산
23. 인왕산
24. 안산
25. 백련산
26. 청계천
27. 한강
28. 탄천
29. 안양천
30. 중랑천

본문내용

풍수지리 간룡법(看龍法)은 ‘용을 보는 방법’이다. 풍수에서는 평지보다 한 치만 높아도 산이라 부르며 그것을 곧잘 ‘용(龍)’이라는 말로 바꾸어 사용한다. 따라서 ‘용’은 산이나 산맥을 이르는 말이며 정기가 흘러내리는 길을 나타내는데, 그 길의 좋고 나쁨을 가려내는 데 필요한 법칙이 곧 간룡법인 것이다.
통일 신라 때의 도선 국사는 한반도 풍수지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는데, 그는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마치니 그 세는 수(水)를 근본으로 하고 목(木)을 줄기로 하는 땅이다.” 라고 하여 일찍이 백두대간을 국토의 뼈대로 파악하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서울은 간룡법으로 봤을 때 백두산에서 시작해서 백두대간의 줄기인 한북정맥과 지리산에서 시작해서 백두대간의 줄기인 한남정맥의 종점이 서로 만나는 지점으로 예로부터 대한민국 국토에서 풍수지리적으로 가장 좋은 곳 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다.

서울의 산 - 서울 내외 4산
외사산
북한산 (외현무)
서울특별시 도봉구·강북구·종로구·은평구와 경기도 고양시·양주시·의정부시에 걸쳐 있는 산이다. 높이 837m이고, 전체 면적 중 서울은 약 39㎢, 경기도는 약 41㎢를 점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
*소*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고양시 삼송지구 분석 10페이지
    자연환경 활용한 친환경 도시 조성 주변 천혜의 자연환경을 최대한 살려 산수화(山水花 ... 이를 기본으로 풍부한 자연경관과 소하천을 이용한 자연감성(Green Touch ... ) 풍경이 흐르는 친환경도시 '삼송'을 개발 콘셉트로 북한산을 이웃한 풍부한
  • 파워포인트파일 풍수지리(A+레포트) 13페이지
    수세(水勢)=혈 주위를 둘러싼 하천의 형기. ... 대한 체계적 지식으로서 전통과학의 가장 중요한 부분 지형에 따라 산수(山水 ... (得水法) 정혈법 (定血法) 좌향론 (坐向論) 형국론 (形局論) ◈ ◎서울의
  • 한글파일 이중환의 택리지를 읽고 5페이지
    하천을 중심으로 국토를 파악하고 있다. ... (卜居總論) 복거총론은 지리(地理), 생리(生理), 인심(人心), 산수(山水 ... 조선시대에도 서울로의 집중화된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
  • 한글파일 강북정수처리장을 다녀와서(현장답사보고서) 12페이지
    인류는 처음에는 생활에 필요한 물을 지하수 및 하천에서 얻었다. ... B.C 312년~B.C 305년에 로마에서는 산수(山水)를 연장 578km의 ... 서울시의 예를 들면, 1999년 말 하루 급수량은 436만 톤으로 만약 이러한
  • 한글파일 도심 및 강북 재개발 추진 전략 15페이지
    둘째, 북악산, 남산 등 내사산(內四山)과 청계천 및 그 지류들의 산수(山水 ... 지형순응형 밀도배분 강북지역은 서울의 내사산(內四山)과 외사산(外四山)의 ...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청계천과 주변 하천들을 따라 이동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서울의 산과 하천(서울의 山水)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