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사회심리학] 집단크기에 따른 동조효과 차이 - Milgram 하늘 바라보기 실험 반복연구

싱크마스터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6.10.04
최종 저작일
2008.12
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Milgram의 하늘바라보기 실험을 반복연구하여 논문 작성법에 따라 작성한 글로 학부수준의 논문입니다. 실제로 실험을 수행하고 통계분석 후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와 한계점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방법 - 참가자, 도구, 절차
3. 결과
4. 논의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타인에 의하여 자신의 의견과는 다른 방향으로 행동과 신념을 바꾸는 것을 종종 경험한다. Sherif는 불빛이 움직인 거리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지침이 없이, 그 거리를 추정하기 애매한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이동거리를 추정하는 과제를 주고 행동을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거리추정 과정에서 사람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이러한 과정에서 암묵적 합의를 통하여 추정치간의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다(Sherif, 1936). 이러한 현상은 기준이나 지침이 명확하게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나타난다. Asch의 선분지각 실험에서 보면 답이 명백한 상황에서 개인은 자신의 견해와 다른 집단압력이 주어지면 집단의 판단이 오답임을 알면서도 집단의 판단에 따르게 된다. 이것은 명백한 상황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다수의 의견에 좇아가는 것을 보여준다(Asch, 1955). 두 연구에서 보듯 명백하든 명백하지 않은 것이든 사람들이 다수의 의견을 좇아가는 이러한 행동을 동조라고 하는데 Kiesler 그리고 Kielser는 동조를 실제 또는 가상의 집단 압력의 결과로 인한 행동이나 신념의 변화로 정의하였다(Kiesler & Kielser, 1969). 즉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속담처럼 타인들과 동일한 행위를 자의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동조라고 한다(한덕웅, 2005).
이러한 동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집단의 크기, 집단의 만장일치, 응집력, 지위, 문화 등 여러 요인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많은 요인 중 집단의 크기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은 집단의 크기요인 영향에 대하여 천정효과와 정적효과로 설명하고 있다.
천정효과란 Asch가 제안한 것으로 Asch는 집단크기의 변화에 따른 동조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명에서 16명까지 집단성원을 바꿔가며 연구를 하였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집단성원 수가 3~4명일 때가 가장 큰 동조를 일으키기 위한 최적의 집단규모이며 이후에는 집단의 규모를 증가 시켜도 동조 확률은 이전과 비슷해지는 효과가 나타나며 이것을 천정효과라고 지칭하였다(Asch, 1952,1955).

참고 자료

한규석(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421-427
홍대식(2001). 사회심리학. 박영사(양영각). 564-566
Asch, S. E.(1952). Soci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Prentics-Hall
Asch, S. E.(1955). Opinions and social pressures. Scientific American, 193(5), 31-35
Buby, C. M., & Penner, L. A. (1974). Conformity as a function of response position. Psychological Reports, 34, 938
Donelson R. Forsyth(1996). 집단심리학. 서울대학교 사회심리학 연구실 역. 학지사. 164-174
Gerard, H. B., Wilhelmy, R. A., & Conolley, E. S. (1968). Conformity and group siz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 79-82
Kiesler, C. A., & Kiesler, S. B. (1969) Conformity. Reading, Mass: addison Wesley.
Mann, L. (1977). The effect of stimulus queues on queuejoining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437-442
Milgram, S., Bickman, L., & Berkowitz, L.(1969). Note on the drawing power of crowds of different siz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3, 79-82
Nordholm, L. A. (1975). Effects of group size and stimulus ambiguity on conformity.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97, 123-130
Reis, H. T., Earing, B., Ent, A., & Nezlek, J. (1976). The tyranny of numbers: Does group size affect petition signing?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6, 228-234
Sherif, M. The psychology of social norms. New York:Harper & Row. 1936
Stang, D. J. (1976). Register of corporations, directors, and executies. New York: Stanton & Poors.
Tanford, S., & Penrod, S. (1983). Social influence model: A formal integration of research on majority and minority influence processes. Psychological Bulletin, 95, 189-225
싱크마스터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사회심리학] 집단크기에 따른 동조효과 차이 - Milgram 하늘 바라보기 실험 반복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