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평가 루브릭 개발(요약)

유익에듀TV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6.12.24
최종 저작일
2015.08
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국외 CT능력 평가방안 연구
2. 연구결과

본문내용

□ 수록 :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8권 제1호, 2014.04, pp. 57-64
□ 주요 내용 정리
1. 국외 CT능력 평가방안 연구
1) PECT(Progression of Early Computational Thinking) 모형
- Seiter와 Foreman이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통한 초등학생의 CT능력 평가를 위해 제안
- 증거 변수(Evidence Variable)와 설계 패턴 변수(Design Pattern Variable)를 포함
- 증거 변수(Evidence Variable) : 스크래치로 작성된 프로그램의 특성들(Looks, Sound, Motion, Variables, Sequence & Looping, Boolean Expressions, Operators, Conditionals, Coordination, User Interface Event, Parallelization, Initialize Location, Initialize Looks)
- 설계 패턴 변수(Design Pattern Variable) : 스크래치 프로그램의 맥락적 능숙도(contextual proficiencies)에 기초한 변수들(Animate looks, Animate Motion, Conversate, Colide, Maintain Score, User Interaction)
- 학생들의 완성 프로그램을 두 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로 배치하여 학생의 수준을 3단계(기초, 발전, 능숙)로 평가
- CSTA에서 개발한 각 CT개념(Procedure and Algorithms, Problem Decomposition, Paralelization and Synchronization, Abstraction, Data Representation)에 대해 설계 패턴 변수를 매칭하고 3단계 수준에서 증거로 삼을 수 있는 지표 제안
2) CT 평가 프레임워크
- Brennan와 Resnick이 CT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

참고 자료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8권 제1호, 2014.04, pp. 57-64
Bae, H. J., Lee, E. K., & Lee, Y. J. (2008). A Problem 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2-3, 11-22.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Cho, S. H., Song, J. B., Kim, S. S., & Baek, S. H. (2008). The Effect of a Programming Class Using Scratc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4, 375-384.
Cho, S. H., Song, J. B., Kim, S. S., & Lee, K. H. (2008). The Effect of CPS-based Scratch EPL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rogramming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1, 77-88.
Choi, H. S. (2013). Study on Approaches of Teaching and Measuring Computational Thinking.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4-1, 283-288.
Kim, S. H., & Han, S. K.(2012). Design-Based Learning for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3, 319-326.
Lee, E. K. (2013).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 Creative Programming Learning with Scratch for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6-1, 1-9.
Meerbaum-Salant, O., Armoni, M., & Ben-Ari, M.(2010). Learning computer science concepts with Scratch. ICER 2010. August 9-10, Arhus, Denmark. 69~76.
Seiter, L., & Foreman, B. (2013). Modeling the learning progressions of computational thinking of primary grade students. ICER'13.
Song, J. B., Cho, S. H., & Lee, T. W. (2008). The Effect of Learning Scratch Programming on Students'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3, 323-332.
유익에듀TV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소개
유익에듀TV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모두에게 유익한 ICT 기술과 함께 통합적인 정보와 지식을 교육하고 배우는 학습의 장을 열어갑니다.
전문분야
시험자료, 공학/기술, 교육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졸업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평가 루브릭 개발(요약)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