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디지털 진화의 과도기적 성장통이라고 표현되기도 하는 DMB와 와이브로의 시작과 몰락을 살펴본 뒤에는 현재 디지털 미디어의 상황 및 시사점을 알아보자.

*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7.01.13
최종 저작일
2017.01
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디지털 진화의 과도기적 성장통이라고 표현되기도 하는 DMB와 와이브로의 시작과 몰락을 살펴본 뒤에는 현재 디지털 미디어의 상황 및 시사점을 알아본 A+ 학점을 받은 소중한 레포트자료입니다. 좋은 Sample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디지털 미디어의 도입과 그 배경
2.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
3. 디지털 미디어의 경쟁상황
4. 디지털 미디어의 향후 전망 및 과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국의 문명 평론가인 앨빈 토플러가 ‘제 3의 물결’을 제시하며 정보화 사회의 도래를 설명한 것이 벌써 20년이 흘렀다.
교통 및 통신수단의 발달과 인터넷의 확산, 모바일 시장의 확대 등을 통해 현대의 사회는 과거에 예측했던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더 이상 ‘컴맹’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대의 기술은 그 기술 하나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사회의 다른 분야와 결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미디어와 디지털의 결합은 그야말로 폭발적이었다.
미디어(Media)의 사전적 의미는 ‘정보를 전송하는 매체’를 뜻한다. 미디어라고 하면 보통 신문, TV 등이 떠오르지만 현대의 미디어는 범위가 훨씬 넓어졌다.
디지털 미디어는 인터넷의 발달과 떼어놓고 볼 수 없다.
인터넷의 발전에 따른 미디어의 발달과 도입을 알아볼 것이다.
컴퓨터, 핸드폰 등 하드웨어가 발달하며 디지털 미디어는 더욱 대중의 삶으로 파고든다. 디지털 진화의 과도기적 성장통이라고 표현되기도 하는 DMB와 와이브로의 시작과 몰락을 살펴본 뒤에는 현재 디지털 미디어의 상황 및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중략>

현대에 들어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의미의 디지털 미디어는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와 같은 대중적 디지털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그 개념이 대중들에게 인식되게 되었다.
디지털 미디어는 멀티미디어, 뉴미디어 등의 용어와 정의가 뚜렷이 구분되는 것은 아니나 시기적으로 1990년대 이후에 등장한 미디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왜냐하면 1980년대 이후에 등장한 미디어는 디지털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상당부분 아날로그 미디어들이 혼재된 양상을 보이고 있고, 기능적인 부분에서 미흡하여 디지털 압축 기술의 상업적 활용이 수월치 않았기 때문이다.
1980년대의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 전통 미디어들은 컴퓨터 반도체기술과 원거리전송기술, 즉 텔레커뮤니케이션의 혁신적인 발전이 중요한 기반이기는 하더라도 많은 부분이 아날로그 방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참고 자료

김영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3
김영석 외 15명 공저, 『스마트 미디어』, 나눔출판, 2015
송민정, 권호영, 한광접 공저, 『디지털 미디어 경영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한국통신멀티미디어연구소, 『디지털 멀티미디어개론』, 교보문고, 2002,
아이티투데이, 정일주 기자, 「재난매체로 생명 연장 DMB, 회생은 '글쎄...'」, 2015-08-24, http://www.i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010
한국콘텐츠진흥원, 김태완 교수, 「DMB의 지속성장을 위한 조건」, 2009-11-10, http://www.kocca.kr/gallery/column/1216132_3653.html#sub_title
파이낸셜뉴스, 이설영 기자, 「지상파DMB 업계 4G시대 살길 찾는다」, 2011-12-12, http://www.fnnews.com/news/*************12653?t=y
파이낸셜뉴스, 허준 기자, 「찾는 이 없는 와이브로 '출구전략' 없나」, 2016-04-03, http://www.fnnews.com/news/20*************578
아주경제, 정등용 기자, 「인터넷 뉴스 영향력 높아졌다…신문·라디오 방송은 하락세」, 2016-01-21, http://www.ajunews.com/view/*************7647
YTN Science, “스마트 미디어 어디까지 왔나?”, 2016-05-11, 동영상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191&s_hcd=&key=*************63310
*인*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디지털 진화의 과도기적 성장통이라고 표현되기도 하는 DMB와 와이브로의 시작과 몰락을 살펴본 뒤에는 현재 디지털 미디어의 상황 및 시사점을 알아보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