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과 중국의 교육 비교

*성*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7.06.07
최종 저작일
2016.10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한국의 교육
1. 개념
2. 역사
1) 근대시기(1876~1905)
2) 일제강점기(1906~1949)
3) 광복이후(1950~현재)
3. 교육제도

Ⅱ. 중국의 교육
1. 개념
2. 역사
1) 사회주의 교육체계의 탐색기(1949~1957)
2) 사회주의 교육체계의 건설기(1958~1966)
3) 무산계급 문화대혁명과 교육수난기(1966~1976)
4) 4개 현대화와 교육수습기(1976~현재)
3. 교육제도
4. 교육현황

Ⅲ. 마무리 - 한국현대교육사연대표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한국의 교육
개념
교육의 교(敎)는 본받음[效]·가르침[訓]·알림[告]·훈계(訓戒)·학문[學]·도덕(道德)·종교(宗敎) 등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는 한자로서, ‘방향을 제시하고 그 곳으로 이끈다.’는 뜻과 ‘모범을 보이고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육(育)은 기름[養]·낳음[生]·자람[成] 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육성한다.’·‘올바르게 자라남.’ 등을 의미한다.
이것은 인간이 내면적으로 지니고 있는 천성, 곧 타고난 소질과 성품을 보호, 육성하는 과정을 뜻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교육을 받는 자리에 있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성장하는 힘’·‘발육하는 힘’을 전제로 하여, 그 자발성과 창조성을 충분히 조장시켜 자립을 키워주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
근대
신교육사조의 발흥(勃興)은 임오군란(壬午軍亂)·갑신정변(甲申政變)을 거치는 동안 외국의 침입이 빈번하여 국권의 침식(侵蝕)이 크게 드러나게 되자, 교육개화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된 데서 그 시원(始原)을 찾게 된다. 그리하여 정부는 해외 유학생의 증가와 신기구의 증설로써 이에 대응하였고, 뜻있는 선각자들은 재래 조선사회의 교육철학과 교육내용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비판을 가해, 신세계에 적응할 새로운 교육체제의 설립과 사민평등(四民平等)에 입각한 의무교육의 필요성과 아울러, 조선의 역사·지리·조선어 등의 교과를 내용으로 하는 민족교육의 필요성을 주창하게 되었다.'교육에 의한 국가의 근대화' '근대 교육사조에 입각한 신교육의 전개', 이것이 당시 교육 선각자들만이 아니라 정부 당국자의 요구였으며, 따라서 정부는 해외 유학생의 파견과 동문학교(同文學校), 육영공원(育英公院) 등의 학교를 세워 근대교육을 위한 노력의 일면을 보였다. 또한 서양 선교계(宣敎系)학교에서도 근대교육을 실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1894년 갑오개혁을 기점(起點)으로 교육전반에 대한 혁신이 일어났다. 즉 신학제의 반포와 구교육을 탈피한 근대교육이 조선사회의 새로운 교육전통으로 나타나게 되어 근대교육이 수용되었다.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yejehaksa?Redirect=Log&logNo=100054889644http://cafe.daum.net/dawonhome/SDSI/3?docid=1FVTL|SDSI|3|20080929140615&q=%C1%DF%B1%B9%C0%C7%20%C7%D0%C1%A6&srchid=CCB1FVTL|SDSI|3|20080929140615
http://blog.naver.com/h2480963?Redirect=Log&logNo=70037150824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arming_088&logNo=80114196287
야후 블로그 http://kr.blog.yahoo.com/jhkey03/234
네이버 뉴스
서울 신문
차이나 뉴스 http://www.cnews365.com/bbs/board.php?bo_table=news16&wr_id=74
미시간 한인포털 교차로
위키 백과사전 – 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 교육, 한국 교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지원 교육학 참고 http://blog.naver.com/eunb718/30029761043
두산백과
중국의 현대 교육사 조명 : 중국 현대 교육사의 분기와 내용 구조
(전인영, 한국교육사학 제12집(1990년 10월) pp.44-62, 86-88 1225-1461)
*성*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과 중국의 교육 비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