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Patent ductus atreriosus PDA

BESTWAY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7.06.24
최종 저작일
2017.03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Patent ductus atreriosus PD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맥관 개존증 이란?
2. 동맥관 개존증의 의의
3. 동맥관 개존증의 병태생리
4. 동맥관 개존증의 영향
5. 동맥관 폐쇄의 빈도
6. 동맥관 폐쇄 유발 요인 및 촉진 인자
7. 미숙아 PDA의 임상 증상
8. 미숙아 PDA의 진단
9. 유증상 미숙아 PDA의 조기 진단
10. 미숙아 PDA의 치료와 간호
11. 미숙아 PDA의 적절한 치료 시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동맥관 개존증 이란?
단일 기형으로 선천성 심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기형중 하나이다. 이 기형은 태생기 때 대부분의 우심실 혈액이 기능이 없는 폐를 우회하도록 좌 폐동맥의 기시부와 대동맥을 연결하는 동맥관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이다. 즉 생후 1주일 이내에 닫혀야 하는 대동맥과 폐동맥을 이어주는 태아의 동맥인 동맥관(ductus arteriosus)의 폐쇄부전이다.
동맥관 개존증의 예후로 사망률은 매우 낮아 1% 미만이다.

2. 동맥관 개존증의 의의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 PDA)은 임상에서 호흡곤란증후군과 함께 미숙아를 치료하는 가장 많은 관심을 요구하는 질환이다.
동맥관은 태생기에 좌측 여섯 번째 동맥궁으로부터 유래한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에 연결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인데 출생시 동맥관은 평활근의 수축으로 폐쇄가 이루어지는데 개존되어 있으면 폐혈관 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대동맥 혈류가 폐동맥으로 유입되는 단락이 형성되어 심부전증, 폐부종 등 심각한 심폐혈관 합병증으로 성장이 지연될 수 있다.

3. 동맥관 개존증의 병태생리
태아순환에서 폐혈류는 심박출량의 10%정도를 차지하고, 90%의 혈류는 동맥관을 통해 하행대동맥으로 내려간다. 출생 후에는 산소 분압이 증가하고 폐가 확장되고 동맥관이 폐쇄됨에 따라 양심실 순환이 연속 순환으로 전환된다. 동맥관은 다른 혈관과 달리 내벽이 평활근으로 둘러싸여 있고 내부는 불규칙한 모양의 내막 쿠션(neointimalcushions)을 가지고 있다. 동맥관을 둘러싼 내벽의 평활근세포는 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칼슘 유입에 의해 수축을 일으킨다. 평활근 세포의 칼륨통로는 전압작동성 칼슘통로의 개방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산소는 혈관 수축인자인 endothelin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태내에서는 낮은 산소분압과 태반에 의해 풍부하게 생성되는 prostaglandin (PG) E2와 PGI2에 의해 동맥관이 유지되지만, 출생 직후에는 산소 분압이증가하고 PG의 생성이 감소하여 동맥관의 폐쇄를 유발하게 된다.

참고 자료

Siassi B, Emmanouilides GC, Cleveland RJ, Hirose F. Patent
ductus arteriosus complicating prolonged assisted ventilation
i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J Pediatr 1969;74:11-9.
유증상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진단 및 치료전략, 이정하, 대한주산의학회잡지 24권 2호(2013) 72-81p
네이버 지식인 ‘동맥관개존증’ 동영상 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803&cid=51004&categoryId=51004
동맥관 개존증 폐쇄수술을 받은 극소 저출생 체중 미숙아의 임상상태 및 마취관리, 이유미(Yu Mee Lee),허인영(In Young Huh),조명원(Myung Won Cho),정성량(Sung Lyang Chung),이청(Cheong Lee)
대한마취통증의학회(구 대한마취과학회),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구 대한마취과학회지)> 36권1호 (1999), pp.75-81
임상화보 : 혈관 내 초음파를 이용한 경피적 동맥관열림증 폐쇄, 윤승배 ( Seung Bae Yoon ) , 유기동 ( Ki Dong Yoo ) , 김지훈 ( Ji Hoon Kim ) , 임은주 ( Eun Joo Im ) , 이정우 ( Jeong Woo Lee ) , 문건웅 ( Keon Woong Moon ) , 김철민 ( Chul Min Kim )
대한내과학회,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77권2호 (2009), pp.181-183
동영상 자료 ( https://www.youtube.com/watch?v=g_zQEQBLv_g ) - pda op
동영상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8ALuJFI3iH4&index=1&list=PLfViR2aEWBDTmKT0rx6m_pW9R5EyZI0kt ) echo
신생아 진료지침, 대한신생아학회, p 256 ~ 260
BESTWAY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소개
회원 소개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의/약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Patent ductus atreriosus PDA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