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환자 케이스 CASE] 두개골절제술 시행한 외상성 경막하출혈 환자 사례

의대생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8.05.11
최종 저작일
2018.05
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환자 케이스 CASE] 두개골절제술 시행한 외상성 경막하출혈 환자 사례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환자 케이스 CASE] 두개골절제술 시행한 외상성 경막하출혈 환자 사례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환자 케이스 CASE] 두개골절제술 시행한 외상성 경막하출혈 환자 사례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환자 케이스 CASE] 두개골절제술 시행한 외상성 경막하출혈 환자 사례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Ⅰ. 서론
Ⅱ. 증례
Ⅲ. 치료
Ⅳ. 고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외상성 경막하출혈 (Traumatic subdural heamorrhage)
급성 뇌경막하출혈은 두부외상으로 인한 출혈이 뇌경막과 거미막 사이에 형성되는 것4)으로 전체 두부외상의 11%, 중증 두부외상의 21%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망률이 40~60%1)에 이른다. 호발부위는 측두엽, 전두엽, 대뇌반구사이 등인데 본 환자의 경우 측두엽 부위이다.

2. Craniectomy op. 및 예후
두개골절제술은 급성 뇌 손상 후 조절할 수 없는 두개내압 항진을 조절하는 효과적인 수술법2)이다. 외상성 SDH 경우, 외상 후 180분이 지난 후 수술 하는 경우 예후가 좋지 않고 2시간 이후 수술한 경우 양호한 예후가 4%로 급감하였다고 발표한바1) 있다. 본 환자는 외상 후 수술까지 시간을 알 수는 없으나 직후 병원으로 옮겨진 것이 아니라 길에서 쓰러져있는 것이 발견된 것이며, CT 등을 촬영한 이후 수술을 했으므로 수술 전 경과시간의 지연이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나쁜 예후를 예상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외상성 급성 뇌경막출혈에서 수술시기의 적정성. 박귀웅 오성범 김익범 고혁상 오용해 최덕수 박희정 최일국. 대한응급의학회지 19(6) 2008.
Early cranioplasty may improve outcome in neurological patients with decompressive craniectomy. Bender, Andreas ; Heulin, Sandrine ; Röhrer, Stefan ; Mehrkens, Jan-Hinnerk ; Heidecke, Volkmar ; Straube, Andreas ; Pfefferkorn, Thomas. Brain injury : [BI], 2013, Vol.27(9), pp.1073-9
Decompressive Craniectomy in Diffuse Traumatic Brain Injury. Cooper, D James, Rosenfeld, Jeffrey V, MD; Murray, Lynnette, BAppSci; Arabi, Yaseen M, MD; Davies, Andrew R, MB, BS; et a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364.16 (Apr 21, 2011): 1493-502.
외상성 경막하 출혈 환자의 섬망에 대한 화어전(化瘀煎) 치험 1례(例). 유종호 ; Jong Ho Yoo ; 김헌일 ; Hun Il Kim ; 김근우 ; Geun Woo Kim ; 구병수 ; Byung Soo Koo.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 Vol.16(2), p.189
객담을 동반한 중풍 환자에 麻黃량과 객담 배출 변화에 관한 보고 : 定喘湯,解表二陳湯을 이용하여. 노기환, 강경숙, 조기호, 김영석. 대한한의학회지 45(2001.3) pp.96-103
해표이진탕이 흰쥐의 SO2에 의한 호흡기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하의학회지. 1996. 17(2): p.178-190. 이경소, 박동일.
羌活愈風湯이 뇌허혈 흰쥐의 혈류개선 및 C6 glial cell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성진. 동신대학교 2010.
羌活愈風湯의 方劑構成에 관한 文獻的 考察. 윤용갑, 이기옥.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5,1('97.12) pp.57-62
외상성 뇌부종 환자에서 감압적 두개절제술의 임상적 의의. 신형식 김태홍 황용순 박상근. 인제의학 23(2) pp.611-616.
뇌출혈 동물 모델에서 부항이 뇌 인지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이지혜, 조대희, 최영호, 정찬경, 최윤석, 차미경, 정지욱. 이지혜, 조대희, 최영호, 정찬경, 최윤석, 차미경, 정지욱 2013
인지기능의 전이훈련이 뇌경색과 뇌출혈환자의 인지기능과 운동기능회복에 미친효과. 백지영. 대한자업치료학회제 9(1) 2001.
鍼 刺戟이 中風患者의 보행개선에 대한 임상적 관찰. 이상학, 신승우, 황지식, 신현대. 대한추나의학회지 제3권 제1호 (2002) pp.55-64
한냉물리치료기의 개발. 김영호, 양길태, 장윤희, 박시복, 류진상. 의공학회지 19(6) 617-622
의대생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환자 케이스 CASE] 두개골절제술 시행한 외상성 경막하출혈 환자 사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