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가해자중심주의가 돼버린 형사사법제도

4352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02.25
최종 저작일
2018.12
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가해자중심주의가 돼버린 형사사법제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죄형법정주의’를 따르는 우리 형법

3. 대표적 법조항과 대표 사례
1) 친고죄: ‘강호순 연쇄살인사건’
2) 심신미약: ‘조두순 사건’

4. 결론

5. 참고자료

본문내용

법의 존재 이유는 헌법 제10조와 제37조 2항에 따라 시민들의 안녕과 복지 향상을 위해 존재한다. 그렇기에 일종의 범죄 사건이 발생하면, 피해자와 가해자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고, 법은 아무리 가해자가 누군가의 행복을 침해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또한 대한민국 국민이기 때문에, 가해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벌 이후에도 가해자의 안녕과 복지 향상을 위해 힘쓴다. 인권보호를 위한 수사공보준칙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제4조 “① 수사 및 공보 업무 종사자는 수사사건의 공보 과정에서 사건관계인의 명예와 사생활 등 인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 검사는 사법경찰관리에 의한 수사사건의 공보와 관련하여 사건관계인의 인권이 침해되거나 수사 또는 재판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시정을 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이렇듯 수사의 기본 이념은 진실의 발견과 피고인의 인권 보호이다. 모든 형사 절차는 피고인의 인권 침해가 되지 않도록 적법한 절차를 따르게 되어 있다. 피의자, 피고인의 인권을 중시하는 형사사법 체계는 교도소 안에서도 피고인의 인권 보호를 도모하며, 이러한 형사사법 체계의 궁극적인 목표는 피고인이 죗값을 치르고 만기 출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피해자는 가벌성 판단에서 논외로 취급되었을 뿐 아니라 형사절차에서는 실체적 진실의 발견을 위하여 단순히 심리하는 대상으로 전락되어 소위 “잊혀진 존재” 혹은 “주변적 존재”에 불과하였다.“ 특히, 사회적 약자인 여성의 피해자 수가 많은 성범죄에서 이러한 피해가 자주 나타난다. 그렇기에 이 글에선 많은 범죄 분야 중 성범죄에만 초점을 맞춰 글을 서술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법의 문제를 넘어서서 사람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살필 필요가 있다. 여성가족부 2016년도 통계에 따르면 ‘여자가 알지도 못하는 남자의 차를 얻어 타다 강간을 당했다면 여자에게도 책임이 있다.’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54.1%가 “그렇다”라고 답을 했다.

참고 자료

강희창, 김주찬. 「경찰청 인권보호담당관실의 범죄피해자 지원 및 제도 현황과 과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여성가족부, 2016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심재우. 「죄형법정주의의 현대적 의의」. 형사정책연구. 2007.
박영회. 「[새로고침] 40%가 집행유예, '반성'하면 감형?!」, 《MBC NEWS》, 2018.02.26. (http://imnews.imbc.com/replay/2018/nwdesk/article/4540834_22663.html)(2018-12-05).
전보경. 「성폭력범죄 관련법상 친고죄 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동아법학, 2012.
위키백과, 2018.11.26.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D%98%B8%EC%88%9C)(2018-12-05).
전현영. 「성범죄 전력 있던 강호순이 3년간 용의 선상에 오르지 않았던 이유」, 《엔터테인먼트》, 2018.04.12. (https://www.insight.co.kr/news/149907)(2018-12-05).
박영주, 김지은. 「친고죄 폐지됐는데 왜?···한샘 성폭행 수사의 속사정, 《공감언론 뉴시스》, 2017.11.13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107_0000140591)(2018-12-05).
위키백과, 2018.10.24. (https://ko.wikipedia.org/wiki/%EC%B1%85%EC%9E%84#%EB%B2%95%ED%95%99%EC%A0%81_%EC%B1%85%EC%9E%84)(2018-12-05).
류전철, 「과실의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와 과실범의 규범, 법학논총, 2015.
위키백과, 2018.11.10.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B%91%90%EC%88%9C_%EC%82%AC%EA%B1%B4)(2018-12-05).
백승호, 「주취감경을 쉽게 폐지할 수 없는 이유」, 《HUFFPOST》, 2017.12.06. (https://www.huffingtonpost.kr/2017/12/06/story_n_18741574.html)(2018-12-05).
이소현, 「‘술’ 마시고 범죄 저지르면 2배로 ‘가중처벌’하는 형법 개정안 발의됐다」, 《인사이트》, 2018.07.27. (https://www.insight.co.kr/news/168859)(2018-12-05).

자료후기(1)

4352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가해자중심주의가 돼버린 형사사법제도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