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Lithium Ion Battery-음극 소재 합성과 물리적,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드리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02.27
최종 저작일
2017.11
11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실험목적 (Purpose)
2.실험이론 (Experimental Theory)
3.실험결과 (Result)
4.고찰 (Discussion)
5. 결론 (Conclusion)

본문내용

최근 휴대용 전자 기기 및 통신 기기의 발달로 인해 소형화, 경량화 및 고성능화에 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동용 전원으로서 이차전지의 개발이 중요하게 되었다. 납축전지, Ni-Cd battery, Ni-MH battery는 2차 전지로 많이 사용되어 왔지만 이들은 무게가 무겁고 환경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이를 위해 에너지 밀도가 높은 2차 전지가 필요하게 되었다. Li ion battery는 가볍고, 부피에 비에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작동 전압이 높을 뿐 아니라 싸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성이 낮은 것 등의 장점으로 많은 휴대용 전자 기기 및 통신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리튬은 가장 가벼운 금속(6.941g/mol)이며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전위가 가장 낮으므로(-3.045V, 표준수소전극)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면 높은 이론용량(3860 mAh/g)의 고 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리튬을 음극으로 사용하게 되면 충방전을 반복함에 따라서 ‘수지상’이 형성되고 이것은 수명저하 및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하여 상용화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은 상온에서 리튬이온과 반응 시 높은 용량을 구현하는 장점을 가지지만 실리콘과 같은 무기물계 음극 활물질은 낮은 사이클 수명을 가지고 전기 전도성이 낮아 리튬의 삽입/탈리시 일어나는 전하 전달 반응이 원활하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하고 있는 Li ion battery용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인 graphite(최대 이론적 용량: 373mAh/g)가 대표적이다. 탄소재 음극 활물질은 그 구조에 따라 충,방전 용량 및 초기 효율 등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 반응 특성이 서로 다르다. 이는 탄소체의 미세구조의 차이에 따라, 리튬이온의 삽입 및 탈리 반응이 일어나는 위치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이러한 탄소체의 미세 구조 및 미세 구조의 조절에 대한 이해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소재로서의 탄소재 제조 및 개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참고 자료

T Nagamura, in : Proc. 5th Inter. Seminar on Lithium Battery Technology and Applications, Deerfield Beach, F1, Martch 5-7, (1990). 안병훈, 리튬이차전지용 탄소복합체 음극활물질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2010) 재인용
http://blog.naver.com/tmdgus6831/220837259620
이정찬, 리튬이차전지용 Si계 음극활물질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연구(2017)
T. Ohazuku, Y. Iwakashi, K. Sawai, J. Electrochem. Soc., 140(1993) 2490 안병훈, 리튬이차전지용 탄소복합체 음극활물질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2010) 재인용
Wikipedia/리튬 이온 전지
안병훈, 리튬이차전지용 탄소복합체 음극활물질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2010)
Jae-won Lee, Woo-Byoung Kim, Research Trend of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ol.21 No.6 pp.473-479
카본나노 파이버
박정호, 전기방사(Electrospinning)와 이를 이용한 나노 섬유상 구조(2011)
https://wiki.anton-paar.com/x-ray-diffraction-xrd/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22329&cid=42411&categoryId=42411
김영훈, 윤성훈, 리튬이차전지의 전기화학 특성 분석법
D. Li, and Y. Xia, “Electrospinning of Nanofibers: Reinventing the Wheel?,”Adv. Mater., 16 [14] 1151- 70 (2004).
D. H. Reneker, and Alexander L. Yarin, “Electrospinning Jets and Polymer Nanofibers,”Polymer, 49 2387-425(2008).
최승훈, 오성근, 김일두,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 재료 및 응용
M.Winter, K.C.Moeller, J.O. basenhard : Science and Technology of Lithium batteries
Shengshui Zhang*,z, Michael S. Ding*, Kang Xu**, Jan Allen* and T. Richard Jow*, “Understanding Solid Electrolyte Interface Film Formation on Graphite Electrodes”
한유진,권연주,이제욱,임지선, “리튬이차전지용 탄소재료의 연구동향”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150054238A/ko
박일규, 공세일, 차한주, Li-ion 배터리의 열화 과정 및 SOH 판별방법

자료후기(1)

드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Lithium Ion Battery-음극 소재 합성과 물리적,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