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교통어, 피진, 크레올을 통해 알 수 있는 서아프리카 국가의 언어 사용 실태

*양*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02.28
최종 저작일
2018.12
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Ⅱ. 교통어와 피진, 크레올
Ⅲ. 가나와 카메룬의 언어 사용 실태
Ⅳ. 피진 사용과 기능
Ⅴ. 피진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
Ⅵ. 가나와 카메룬 피진의 개발
Ⅶ. 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아프리카는 매우 다양한 언어가 혼재하는 다언어(multilingual) 사회이다. 단 1개의 언어만을 사용하는 국가는 없으며 나이지리아, 카메룬, 콩고민주공화국, 차드, 탄자니아 5개 국가는 100개 이상의 언어가 존재한다. 이런 상황은 아프리카 내에서 교통어(lingua franca)의 발달과 피진(pidgin)/크레올(creole)의 생성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이런 다언어 사회에서 서로 소통을 하기 위해 영어와 프랑스어를 비롯한 유럽 식민 지배 언어와 아프리카 교통어로서 하우사어, 요루바어, 익보어 등을 거의 필수적으로 익혀야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소수 아프리카 토착어는 사멸될 위기에 처했으며 이런 상황에서도 유럽과 아프리카 국가 간의 무역으로 인해 완전히 다른 두 언어가 접촉하여 ‘피진’이라는 새로운 언어의 탄생을 야기하기도 했다.
비록 피진은 공식적인 언어로 인정받지 못하지만 피진이 모어화된 ‘크레올’은 완전한 언어로 인정받는다. 따라서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피진은 언어 접촉이 어떻게 새로운 언어를 탄생시키는지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사례라 할 수 있다. 한국에서 영어가 국제어로서 국어보다 더 지위를 높게 평가하듯이 아프리카 국가에서도 역시 식민 지배의 여파로 유럽의 언어인 영어와, 프랑스어 등을 아프리카 언어보다 지위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피진은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아프리카의 이런 언어 상황에 대해 알아보며 교통어, 피진, 크레올의 개념을 논의한다. 서아프리카 피진에 대한 가나와 카메룬 사람들의 태도에 대해 살펴보고 피진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말하며 피진 발전의 필요성을 논할 것이다.

Ⅱ. 교통어와 피진, 크레올

브라이니(Briney)는 교통어를 전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소통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라 말한다. 그는 ‘교통어‘라는 용어가 지중해에서 십자군과 상인이 사업과 공식적인 교류를 하기 위해 접촉했던 중세 시대에 처음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

참고 자료

Anderson, Roger(1983), Pidginization and creolization as language acquisition , Rowley: Newbury House.
Atechi, S. 2011. Pidgin English in Cameroon: To teach or not to teach?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Studies (IJLS) 5(1): 17-30p.
Briney, A. (2012). Lingua Franca: an overview of lingua franca and pidgins. Retrieved. Nov. 2012, About.comGeography.
Charles Owu-Ewie. (2006). The Language Policy of Education in Ghana:
A Critical Look at the English-Only Language Policy of Education
Chumbow, Beban S. & Augustin Simo. 1996. The life cycle of post-imperial English in Cameroon. In J. A. Fishman, A.W. Conrad, and A. Rubal-Lopez. (eds.). Post-Imperial English: Status change in former British and American colonies. 401-429p. Berlin: Mouton de Gruyter.
Huber. M. (1995) Ghanain Pidgin English. Retreived from lingweb.eva.mpg.de/apics/images/0/00/SuveryGhana.pdf
Huber, M. (1999). Ghanaian Pidgin English in its West African Context.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Schröder, A. (2003). Status, Functions, and Prospects of Pidgin English. Tubingen: Gunter Narr Verlag.
Wolf, H. & Simo Bobda, A. (2003). Pidgin English in Cameroon in the new millennium, In Peter Lucko, Peter Lothar & Hans-Georg Wolf, (eds.) Studies in African Varieties of English Frankfurt: Peter Lang. 101-117p.
*양*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교통어, 피진, 크레올을 통해 알 수 있는  서아프리카 국가의 언어 사용 실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