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아동학대 현황(2016년도 자료까지) 및 원인과 학대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논의

*주*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04.24
최종 저작일
2018.07
1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아동학대 원인 및 국내외 선행연구
1. 아동학대 원인
2.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한 학대 위험요인 탐구

Ⅲ. 결론 및 논의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보건복지부 및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의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아동학대의 신고율은 최근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가정안팎에서 끔찍한 아동학대 사건들이 연일 보고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민의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과 분노도 높이 치솟았다. 이에 정부에서는 2014년 9월 29일부터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시행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신고접수 건수를 보면 2009년, 2010년을 제외하고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6년도의 전체 신고접수 건을 살펴보면 전년도 대비 약 55%로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표1 참고). 경찰청의 “아동학대 신고 및 처분현황”과 관련된 국회제출자료에 따르면, 경찰의 아동학대 관련 통계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시행(2014.9.29일) 이후 관리되고 있다. 경찰에 신고 된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2014년도(2014.9.29~12.31)엔 2,546건에서 16년도엔 10,5365건으로 계속하여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표2 참고). 다만, 아동학대의 검거인원 대비 불구속 처분이 상당히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아동학대의 가해자의 대다수가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사나 재판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행법상 검사는 아동학대 가해자에게 형벌 대신 보호처분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정할 경우, 또는 아동학대범죄에서 고소가 없거나 처벌불원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아동보호사건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아동학대처벌법 제26조, 제27조).

<중 략>

최근 아동학대 처벌법으로 기존의 아동보호전문기관 중심으로 진행되어 오던 아동보호서비스 업무가 경찰과 가정법원이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되면서 아동학대의 대응체계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아동학대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과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은 현장에서 피해아동의 응급조치 및 보호결정을 할 수 있으며..

<중 략>

참고 자료

경찰청 (2017). 경찰청 국회제출자료. 「아동학대 신고 및 처분현황」.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1-2016).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2014). 「법률 제15255호」.
강순옥 (2002). 아동학대의 요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고성혜 (1992). 아동학대 개념규정 및 아동학대에 대한 모·자녀의 지각성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김기현, 염동문, 김경희 (2015).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시행이후 현장 사용용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 문항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피해자학연구, 23(3), 145-171
김세원 (2008). 아동학대 재발생의 영향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형모(2000). A STUDY OF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 MALTREATMENT USING AN ECOLOGICAL FRAMEWORK. UNIVERSITY OF MINNESOTA, 해외 박사 학위논문.
노충래 (2002). 아동 및 가해자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의 심각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3, 123-154.
배화옥 (2004). 아동학대 재발생의 유형과 요인에 대한 다변량 생존분석 - 미국 플로리다주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8, 63-83
황정미 (2017). 가정 내 위험요인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Aron Shlonsky (2007) Double Jeopardy: Risk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Child Maltreatment and Domestic Violence. Oxford Journals Medicine Brief Treatment and Crisis Intervention, 7(4), 253-274.
Belsky, J (1993). etiology of Child maltreatment : A development-ecologicl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4(3), 413-343.
Christian M. Connell, Natasha Bergeron, Karol H. Katz, Leon Saunders, Jacob Kraemer Tebes (2007). Re-referral to child protective services: The influence of child, family, and case characteristics on risk status. Child Abuse & Neglect, 31, 573-588.
DePanfilis, D., & Zuravin, S. J. (1999). Epidemiology of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s. Social Service Review, 73, 218-239.
Gelles, R. J. (1973). Child Abuse as psychopathology : asocial critique and reformation.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43, 611-621.
Gil, D. G. (1973). Violence against children: Physical child abuse in the United States.
Kempe, C. H., Helfer, R. E. 1974. The Battered Child (1st edi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indsey D. (1994). The welfare of childre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M Fish, CA Stifter, J Belsky(1993), Early patterns of mother-infant dyadic interaction: Infant, mother, and family demographic antecedent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16(1), 1-18.
Sandra M. Stith, Ting Liu, L. Christopher Davies, Esther L. Boykin, Meagan C. Alder, Jennifer M. Harris, Anurag Som, Mary McPherson, J.E.M.E.G. Dees. (2009). Risk factors in child maltreatment: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4, 13-29.
Suzanne R. Dakil; Christina Sakai; Hua Lin; Glenn Flores, (2011). Recidivism 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 Identifying Children at Greatest Risk of Reabuse Among Those Remaining in the Home, Arch Pediatr Adolesc Med, 165(11), 1006-1012.
*주*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아동학대 현황(2016년도 자료까지) 및 원인과 학대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논의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