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조선대/19년1학기/동아시아문명과 미술 중간고사, 레포트/ A+

에이플은나와야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07.15
최종 저작일
2019.05
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제가 이번 학기에 직접 수강한 자료로, RISS라는 학술연구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하고, 참고하여 작성한 레포트를 비롯하여, 중간고사 논술형 문제에 기제할수있도록 요약해둔 자료도 함께 동봉되어있습니다. PPT분량이 상당히 많은 교수님이셔서, 시험시간이 마아아않이 부족하실수도있어요, 그래서 제가 요약해봤어요 ㅎㅎㅎㅎ 물론 A+입니다.

목차

Ⅰ. 동아시아의 시작
1. 중국(中國), 문명의 시작
2. 삼황오제(三皇五帝)와 하(夏)나라

Ⅱ. 삼대(夏, 殷, 周)
1. 하(夏) 나라
2. 상(商), 은(殷) 나라
3. 주(周) 나라

Ⅲ.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1. 역사를 배워야 하는 이유

본문내용

1. 중국(中國), 문명의 시작
귀납법적 연구 방법에 따라 ‘동아시아의 문명과 미술’에 대해서 연구를 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아시아’란 태평양, 남중국해, 아무르 강 사이의 경계선을 이루는데 여기에는 중국, 한국, 일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틀어 ‘동아시아’라고 말한다.동아시아 문명의 중심에는 ‘중국’의 역사가 존재한다. 이러한 동아시아가 발전하고, 국가의 형태를 갖추기까지 ‘중국’의 문명은 바퀴, 화약, 실크로드 개척 등과 같이 동아시아 전체, 나아가 전 세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문명과 미술을 논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문명을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렇다면 중국 역사상 전설 속의 나라로만 존재했던 중국 고대의 하, 은, 주의 문명과 미술의 실존을 증명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해 보려고 한다.

2. 삼황오제(三皇五帝)와 하(夏)나라
하(夏), 은(殷), 주(周)를 연구하기에 앞서, 문명 발전 이전의 중국을 알아볼 필요성이 대두 된다. 그 이유는 ‘하’나라의 ‘우’임금은 ‘오제’중 한명 인 ‘순’임금으로부터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전설은 국가 출현 이전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김영환, 《중국의 역사와 사회문화 고대편》, 남서울대학교 출판국, 2012, P.22
‘삼황’은 중국의 ‘시조신’인 수인씨(燧人), 복희씨(伏羲), 신농씨(神農)를 의미하며, 이들은 각각 사람들에게 불을 발명, 화식 방법, 물고기 잡는 법, 농사법 전수, 인간 창조를 한 전설 속의 인물들이다. 또한 복희씨와 신농씨를 보면, ‘반인반신’의 모습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의 사람들은 동물을 ‘신’이라 해석하는 종교적인 관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오제’는 ‘삼황’보다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기록되어있다. 사기의 황제(黃帝), 전욱(顓頊), 제곡(帝嚳), 요(堯), 순(舜)을 따르고 있으며, 사마천은 이때부터 역사 시대로 파악하여,《사기》에 기록 하였다. 황제는 최초의 중국을 무력 통일, 문물의 기초를 마련, 중국 민족의 공동조상

참고 자료

김영환, 『중국의 역사와 사회문화 고대편』, 남서울대학교 출판국, 2012, P.22
김영환,『중국의 역사와 사회문화 고대편』, 남서울대학교 출판국, 2012, P.48 - P.51
김현자,『고대 중국의 태양과 신앙, 그 신화와 의례 및 상징물』, 서울대 출판문화원, 2006. P.3-P.7
양회석,『샤머니즘 : 중국문화의 근원과 원동력』, 신성 출판사, 2015.06 P.2-P.5
신영자(2011), “갑골문의 비밀 : 갑골문과 武丁 왕과 婦好 왕비” P.13 - P.33
장기근, 『고대 중국의 인간상 : 신화·하·은·주 편』, 명문당 2006년, P.300 - P.303
NAVER백과, “하나라의 성립” (2019.03.1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32966&cid=62059&categoryId=62059
NAVER백과, “얼리터우 문화(二里頭文化)” (2019.03.1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73744&cid=40942&categoryId=40004
NAVER백과, “언사이리두偃師二里頭” (2019.03.1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2493&cid=42635&categoryId=42635
중국학 위키, “동이” (2019.03.15)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夷
NAVER백과, “상(商)” (2019.03.1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7673&cid=62061&categoryId=62061
중국학 위키, “이리두 문화” (2019.03.15)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이리두문화
중국 위키, “갑골문의 발견시기와 발견과정” (2019.03.15)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갑골문의_발견시기와_발견과정_더보기......
중국 위키, “중국의 역사” (2019.03.18)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중국의_역사
중국 위키, “하본기” (2019.03.19)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하본기
위키백과, “은의 사회와 문화” (2019.03.19)
https://ko.wikipedia.org/wiki/%EC%83%81%EB%82%98%EB%9D%BC
위키백과, “동아시아의 역사” (2019.03.20)
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C%95%84%EC%8B%9C%EC%95%84%EC%9D%98_%EC%97%AD%EC%82%AC
중국 위키, “민간신앙” (2019.03.23)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민간신앙
중국 위키, “주 무왕” (2019.03.23)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주무왕
중국 위키, “종법” (2019.03.23)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종법
중국 위키, “봉건 제도” (2019.03.25)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봉건_제도
에이플은나와야지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조선대/19년1학기/동아시아문명과 미술 중간고사, 레포트/ A+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