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컨텐츠 산업을 부흥시킬 한국적 모델로서의 전략방안 모색]-방송과 커뮤니케이션/창의적인 의견 A+받은 과제, 광고기획사 이력서, 광고 컨텐츠, 뉴미디어, 플랫폼 비즈니스, 자기소개서

qwertyui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10.01
최종 저작일
2019.09
1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컨텐츠 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광고수익에 기반하여 컨텐츠 산업을 부흥시킨다고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컨텐츠 산업을 부흥시킬 한국적 모델로서 광고 주도 컨텐츠 성장 전략 등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다른학생과 인터넷과 차별화하기 위해 객관적인 근거자료와 의견 역시 창의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많은 분량, 참고문헌, 사례, 주석, 표, 그림 등 독창성과 알찬 내용으로 A+받은 과제입니다. [논문수준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콘텐츠 산업의 기존 환경 분석
1) 뉴미디어 플랫폼의 도입과 콘텐츠 소비의 변화
2) 뉴스 콘텐츠 소비형태를 통해 살펴본 한국인의 콘텐츠 소비패턴
3) 뉴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소비가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문제
(가) 포털의 조작 가능성
(나) 인터넷의 문화계발 내지 배양효과 (Cultivation theory)

3. 본론 2: 광고수익에 기반한 한국형 콘텐츠산업 성장전략
1)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포털을 통한 콘텐츠 유통구조 상정
2) 광고 수익 주도 산업 성장 전략
3) 광고 주도 콘텐츠 성장에 대한 우려와 그 대비책
(가) 소비자의 광고회피 문제
(나) 콘텐츠 질적 저하문제와 포털의 횡포 가능성

4. 결론

본문내용

문화체육관광부의 2016년 콘텐츠산업 통계에 따르면, 2015년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약 100조원이며, 부가가치액은 40조원으로, 39.8%의 부가가치율을 나타내었다 (문화체육관광부, 2016). 특히 한국은 2008년 이후 문화콘텐츠 산업에서 연평균 10%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세계 문화콘텐츠 사업의 평균성장률 6.6%나 아시아 지역의 8.8%를 상회하는 높은 수치로, 타 국가에 비해 한국의 콘텐츠 비니지스가 상당히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창조 외, 2014). 이는 국민의 정부부터 시작된 문화산업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의 결과라고도 볼 수 있는데, 2000년대 중반 이후 정부는 콘텐츠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창작 기반조성이나 전문 인력 양성 등의 노력을 통해 성장기반 강화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실제, 한국 콘텐츠산업의 SWOT분석을 제시한 황인영의 연구에 (황인영, 2013) 따르면, 한국콘텐츠산업의 강점으로는 콘텐츠산업의 적응력과 기술력을 꼽는다. 소셜 네트워크 내지 클라우딩 기술, 플랫폼 기술등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줄하며, 한국 콘텐츠의 국제적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약점과 위협도 산재해 있다. 황인영의 분석에 따르면, 국내 콘텐츠산업의 경우 창작과 유통환경이 특히 취약하다. 국내 미디어 산업의 경우 콘텐츠와의 균형 발전이 없는 플랫폼과 네트워크 위주의 기형적 성장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콘텐츠 산업 종사자 중 대략 65%가 50인 미만의 중소형 사업체에 근무하고 있다. 그 결과 창작자들은 열악한 근로 조건에 처해 있음은 물론, 저작권 및 수익 분배에 있어서 불공적 거래등이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강준만, (2015) 왜 폭력의 공포에 떠는 사람들은 정치적으로 보수화되는가?_배양효과 이론 외. 인물과 사상, 인물과 사상사, 204 37-50.
김위근, (2014) 포털 뉴스서비스와 온라인 저널리즘의 지형: 뉴스 유통의 구조 변동 혹은 권력 변화. 한국언론정보학보, 66, 5-27.
김위근, 김성해, & 김동윤, (2013) 뉴스의 대중화 혹은 저널리즘의 게토화: 저널리즘 관점에서 본 네이버 ‘뉴스캐스트’ 사례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0(2), 33-72.
나은영, (2012) SNS 중이용자와 경이용자의 현실인식 차이: 배양효과와 합의착각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3), 63-84.
문화체육관광부 (2017) 2016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유창조, 강하영, & 박흥수, (2014) 한국의 콘텐츠 산업 진흥을 위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역할과 과제, 한국경영학회, 18(4), 159-182
윤명희, (2015) 디지털위험의 역동성: 위험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19, 55-86.
이상원 & 이선미, (2016)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뉴스 이용 확산에 관한 경험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17(3), 129-147
이윤형, (2016) 유튜브 온라인 동영상 광고 트렌드 분석. 한국디자인포럼, 51, 95-103.
이준웅 & 장현미, (2007) 인터넷 이용이 현실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문화계발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 언론학보, 51(2), 363-388.
이혜정, (2017) “JTBC 뉴스룸”을 통해 본 뉴스 콘텐츠 소비 행태 분석 (2). Hankook Research Newsletter, March (6), 2-3.
최승우 & 박보람, (2015) 인터넷 동영상 인스트림 광고 유형에 따른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3), 665-673.
황인영, (2013) 콘텐츠산업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2, 1-19.
Epstein, R. & Robertson, R., (2015) The search engine manipulation effect (SEME) and its possible impact on the outcomes of elections. American Institute for Behavioral Research and Technology, 112(33), 4512-4521.
Hille, S. & Bakker, P., (2014) Engaging the social news user. Journalism Practice, 8(50), 563-572.
Morgan, M., Shanahan, J. & Signorielli, N., (2015) Yesterday’s new cultivation, Tomorrow.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18, 674-699.
Rossi, L. & Giglietto, F., (2016) Twitter use during TV: A full-season analysis of #serviziopubblico hashta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60(2), 331-346.
“Social Media in the Media.” (2015) Retrieved from www.tvbeurope.com.
Winslow, G., (2015) “New facebook tools meld TV and social media.” Retrieved from www.multichannel.com/next-tv/
qwertyui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컨텐츠 산업을 부흥시킬 한국적 모델로서의 전략방안 모색]-방송과 커뮤니케이션/창의적인 의견 A+받은 과제, 광고기획사 이력서, 광고 컨텐츠, 뉴미디어, 플랫폼 비즈니스, 자기소개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