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겔렌의 인간상 - 인간의 본성과 세계 속에서 인간의 위치 -

*병*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2.08
최종 저작일
2020.02
1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겔렌의 인간상 - 인간의 본성과 세계 속에서 인간의 위치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철학적 인간학의 개념
Ⅲ. 결핍존재로서 인간의 본성
Ⅳ. 형태학상으로 본 인간의 특수지위
Ⅴ. 인간과 동물의 행동비교
Ⅵ. 문화: 인간의 행위를 통해 변경시킨 자연
Ⅶ. 사회제도와 부담면제

참고 문헌

본문내용

본고는 겔렌(Arnold Gehlen, 1904~1976)의 철학적 인간학(Philosophische Anthropologie)을 그 핵심개념을 통해 조명하려는 것이다. 철학적 인간학이란 인간에 관한 철학적 교설을 의미한다. 인간의 문제가 철학의 역사에서 배제된 적은 여태껏 한번도 없었지만, 철학적 탐구의 출발점으로서 인간을 전제하는 “인간론”(Menschlehre)과 달리 철학적 인간학은 모든 개별학문이 이룩한 성과를 받아들여 인간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보편학”(univesale Wissenschaften)인 동시에 오직 인간에게서만 찾아볼 수 있는 고유한 “인간학적 원리”(menschliche Prinzip)의 형성을 목표로 한다. 철학적 인간학의 개념을 처음으로 정립한 것은 독일의 철학자 막스 셸러(M. Scheler)의 공적이다. 셸러는 생명의 원리와는 다른 삶에 대립하는 정신으로부터 인간학적 원리를 이끌어낸다. 그러나 겔렌은 셸러와 달리 인간의 생물학적 특징과 인간의 행위에 주목하여 인간학적 원리를 형성하고, 이로써 인간의 본성과 세계 속에서 차지하는 인간의 지위를 해명하려고 했다. 나아가 인간학적 원리에 기초하여 인간 문명과 문화의 본질을 밝히려고 했다. 이런 겔렌의 노력은 1940년에 발간된 『인간- 인간의 본성과 세계 속에서 인간의 지위』(Der Mensch, seiner Natur und seine Stellung in der Welt, Frankfurt, 1940)와 1956년에 발간된 『원인과 후기문화』(Urmensch und Spätkultur, Frankfurt, 1956)에 함축적으로 나타나 있다. 앞의 책에서 겔렌은 인간학적 원리의 형성에 주력한 반면에, 뒤의 책에서는 근대 서구의 기술문명의 본성을 인간학적 관점에서 낙관적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 글은 위 두 저서 중에서 앞의 것에 기초하여 겔렌의 철학적 인간학의 성과를 서술하려는 것이다.

참고 자료

이을상, “막스 셸러에 있어서 인간의 본질과 형이상학의 문제”, 영남철학회 편, 『철학논총』 제9집, 1993.
L. L. Bernard, Instinct, A Study in Social Psychology, New York: Holt, 1924.
O. F. Bollnow 외,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heute(이을상 옮김, 서울: 문원, 1994).
A. Gehlen, Der Mensch, seiner Natur und seine Stellung in der Welt, Frankfurt, 1940.
A. Gehlen, Urmensch und Spätkultur, Frankfurt, 1956.
A. Gehlen, Anthropologische Forschung(이을상 옮김, 대구: 이문출판사, 1998).
A. Gehlen, “Vilfredo Pareto und seine 「neue Wissenschaft」” in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und Handlungslehre, 전집 제4권, Frankfurt am Main, 1983,
W. F. Hegel,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이동춘 옮김, 서울: 박영사, 1987).
J. G. Herder, Abhandlung über den Ursprung der Sprache(木村直司 역, 『言語起源論』 東京: 大修館書店, 1972).
K. Lorenz, “Über die Bildung des Instknktbegriffes”, in Die Naturwissenschaften 25(1937).
K. Lorenz, “Die angeborenen Formen möglicher Erfahrung”, in Zeitschrift für Tierpsychologie 5(1943).
A. Portmann, Biologische Fragmente zu einer Lehre vom Menschen, Basel, 1944.
M. Scheler, Die Stellung des Menschen im Kosmos, Bonn, 1976.
M. Scheler, “Mensch und Geschichte” in Späte Schriften, 전집 제9권, Bern, 1976

자료후기(1)

*병*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겔렌의 행위론 - 문화의 기원에 관한 인간학적 모색- 10페이지
    겔렌의 인간상: 인간의 본성과 세계 속에서 인간의 지위” . ... 겔렌의 행위론 - 문화의 기원에 관한 인간학적 모색- 목 차 Ⅰ. ... 사물 그 자체의 위치를 우리의 상상 속으로 옮겨놓고, 해체, 위치변경, 새로운
  • 한글파일 아르놀트 겔렌의 '인간학적 탐구' 분석 10페이지
    특수성을 밝혀내려한 『인간 -본성과 세계에서의 위치 (Der Mensch ... 속에 내던져져 있으면서 그에게 부여된 본성과 본능을 결여하고 있는 상태로는 ... )』인데 겔렌 이론의 핵심적 용어들인 ‘결핍’ ‘세계 개방성’ ‘행동하는
  • 한글파일 플레스너의 인간 5페이지
    일반의 주위세계와의 관계를 분석해 우주에서의 인간의 특수한 위치를 확인하려 ... 또한, 막스 셸러와 함께 철학적 인간학을 경험을 통해 개인의 본성을 탐구하는 ... 동물은 폐쇄된 기관형태 위치인간은 탈 중심적인 형태 위치를 차지하고
  • 한글파일 겔렌의 인간 10페이지
    겔렌의 인간- 목 차 - Ⅰ. 서 론 Ⅱ. ... 사회적 존재라고 한다.) 2) 세계에서의 인간의 위치 인간은 주관적인 세계를 ... 본 론 1) 생애 및 사상적 배경 2) 세계에서의 인간의 위치 3) 인간의
  • 한글파일 아놀드겔렌의 철학적인간 3페이지
    Gehlen)은 그의 책 '인간 -본성과 세계 안의 위치'에서 현대적인 ... 세계에서의 인간의 위치 인간은 주관적인 세계를 소유하고 있다. ... 사회적 존재라고 한다. 1) 인간은 결함을 지닌 존재 - 아놀드 겔렌(Arnold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겔렌의 인간상 -  인간의 본성과 세계 속에서 인간의 위치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