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헤어 미용종사자의 업무량 영향연구

*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3.06
최종 저작일
2020.01
23페이지/파워포인트파일 MS 파워포인트
가격 1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헤어 미용종사자의 업무량 영향연구 결과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연구의 범위 및 구성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도구의 구성
3) 자료처리 및 방법

4. 연구결과 및 고찰

5. 결론 및 제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이론적 배경
1. 미용업의 개념

2. 헤어 미용종사자의 현황 및 헤어 미용의 근무환경
• 헤어 미용종사자의 현황
• 헤어 미용종사자의 근무환경
• 헤어 미용종사자의 사회적 인식
• 헤어 미용의 작업내용

3. 헤어 미용의 직업성질환
• 헤어 미용의 직업성질환
• 헤어 미용의 직업성질환

4. 수부습진
• 습진
• 수부습진

5. 알레르기 질환
• 알레르기 질환의 개념
• 알레르기 질환과 접촉성피부염

<중 략>

4. 연구결과 및 고찰
A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험유무는 남자보다 여자가 많았으며, 20대의 연령대가 가장 높았고, 기혼도자 미혼의 경험이 많았으며, 학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B
.연구대상자의 직급과 1일 샴푸 업무량에서 따른 중화독 관계에서 초급디자이너와 스텝의 직급의 경험 유무가 높았고, 1일 샴푸업무량의 증가(0%:73.3%, 1-51%이상:73.9%순)에 따라 중화독 경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병원치료 유무와 경험 후 직업변경 고려 유무는 1일 커트 업무량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 하였다.

참고 자료

강동묵 외(1999). 미용업 종사자들의 피부, 호흡기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유병률.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11(3), 85-392
강수경(1997). 미용사의 수부 질환에 대한 역학적 조사.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학위논문.
고경숙, 윤복연(2007). 뷰티경영학. 퍼시픽출판사, p. 10
고희정(2001). 일부 미용업 종사자의 유해물질 노출 및 피부 증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미윤(2013). 미용사들의 작업환경과 관련한 피부질환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9(6), 1085-1093
김기운(2013). 미용실 유형별 미용실종사자들이 기대하는 미용관형학과 교육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만복(2012). 구미지역 미용업 종사자들의 눈, 피부, 호흡기 증상 경험률.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2001). 헤어미용사에서 호발하는 접촉성 피부염을 경감시키는 천연물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병우(1996). 피부과학.·향장품학. 서울시, 유신문화사, p. 10
김상은(2002). 일부 지역 미용사의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남(1999). 주부습진. 한국건강관리협회지, 23(2), 1739-1741
김양순 외(2000). 미용업의 특성과 미용사의 자연유산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6(3), 665-674
김정은(2011).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 환장에서의 첩포검사(TRUE Test)에서 판독일에 따른 양성율의 비교 분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한식 외(1998). 부산시내 일부 미용사들의 직업성 피부염의 실태조사. 한국미용학회지, 4(1), 197-198
김현미(2000). 미용사의 피부 자각증상 실태와 관련요인.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학위논문집, 2000(12), 395-413
김현희(2007). 알레르기 비염 및 부비동염과 천식의 연관성. 대한소아과학회지, 50(4), 335-338
남현주(2001). 미용사의 공중보건 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뉴시스, 2014.1.3. 작성기사, 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1권 제3호, 1999.9
문지현(2001). 미용실에서 작업과 관련된 사고와 질환의 실태파악.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내경 외(1998). 일부 산업장 근로자들의 피로자각증상과 일상생활 요인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0(2), 214-216
박지혜, 노영석(2006). 미용사의 직업성 피부질환 : 첩포검사 결과에 대한 고찰. 대한피부과학회지, 44(6), 669-674
보건복지부, http://www.mw.go.kr/front_new/index.jsp
백정희(2000). 미용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직업적 특성과의 연관성.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홍관(1993). 주부습진의 관리. 새가정(Chiristian hime), 433, 104-105
설근동 외(2011). 알레르기접촉피부염 환자(영서지역, 2005~2010년)의 첩포검사(TRUE Test) 결과에 관한 고찰. 대한피부과학회, 49(7), 572-578
송병락(1994). 초일류 선진국으로. 서울시, 중앙일보출판사, p. 50
안재석(2006). 수도권에 근무하는 치과기공사의 직업성 피부질환.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승혜(2009).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 식품섭취패턴 및 영양소 섭취상태의 비교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은희철, 함정희, 이철헌, 원영호, 김형옥, 허충림, 문기찬, 김계정, 장승호, 홍창권(1995). 우리나라 접촉 피부염의 역학적 연구. 대한피부과학회, 33(3), 445-452
이민영(2011). 일부미용업종사자의 직업 관련성질환방생 현황과 직업만족도에 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소정(2007). 20-30대 여성의 미용 관심도와 변화 수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순덕(2009). 미용실 종사자의 작업환경과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장애 양상. 동덕여자대학교 미용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안나(2003). 중년여성의 피부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과 행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연정 외(2003). 성인의 식생활 태도 및 식품 알레르기 실태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3), 167-175
이혜영(2011). 미용업 종사자의 작업 자세 평가와 감정노동, 직무 및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피로도가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순녀(2001). 일부 미용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문정(1997). 접촉성 유해물질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한국미용학회지, 3(1), 185-197
장문주(2008). 미용사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조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선일 외(2005). 미용학개론. 광문각출판사.
정우현(1994). 교육사회학 연구. 서울; 교육문학사, p.31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진흥원 미용업 창업가이드, http://www.smba.go.kr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CDC/main.jsp
차미경 외(1994). 피부보호제 Marly Skin의 주부습진에 대한 예방적 효과. 대한피부과학회지, 32(4), 675-681
통계청, http://kostat.go.kr
한국산업인력공단, http://www.hrdkorea.or.kr/
한재숙, 홍상욱, 김정숙, 한준표, 김능수(1997). 한국인의 식품 알레르기 빈도 및 알레르기 원인식품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1), 1-9
Amon RB, Lis AW, Hanifin JM(1975). Allergic contact dermatitis caused by idoxuridine. Patterns of cross reactivity with other pyrimidine analogues. Arch Dermatol, 111, 1158-1584
Brisman J, Meding B, Jarvholm B(1998). Occurrence of self reported hand eczema in Swedish bakers. Occup Environ Med., 55(11), 750-754
Calnan, CD, Bandmann HJ, Cronin E(1970). Hand dermatitis in housewife. Brit. J. Dermatol, 82, 543-548
Chandra RK, Puri S, Cheema PS(1985): Predictive alue of cord blood. Ig Ein. thedevelpment of atopic diease and role of breast-feeding in its prevention Clin Allergy, 15(6), 517-522
Epstein E(1983). Hand dermatitis : Practical management and current concept. J Am Acad Dermatol, 10(3), 395-424
GrossmanJ(1997). One airway, one disease. Chest, 111(2), 11S-16S
Leino T, Tammilehto L, Hytonen M, Sala E, Paakkulainen H, Kanerva L(1998). Occupational skin and respiratory diseases among hairdress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4, 398-406
Meding B(1990). Swanbeck G Occupational hand eczema in an industrial city. Contact Dermatitis, 22(1), 13-23
Metcalfe DD(1984). Food hypersensitivity. J Allergy Clin Immunol, 73(6), 749-762
Nilsson E(1986).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hand eczema in hospital workers. Acta. Derm. Venereol. Suppl. (Stockh)., 128: 1-63
Park TH, Jeong YS, Kim KJ(2003) The survey of occupational dermatoses in a semiconductor industry (II) (1995. 6 ~ 2000. 5). Korean J. Dermatol, 42, 1004-1013
Peters EM, Hendrix S, Glz G, Klapp BF, Arck PC and Paus R(2006). Nerve growth factor and its precursor differentially regulate hair cycle progression in mice. J Histochem. Cytochem, 54(3), 257-288
Poli G and Parola M(1997). Oxidative damage and fibrogenesis. Free Radic. Med., 22(1-2), 287-305
Slater M(1995). Keeping consultation alive. Nurs N Z., 2(11), 12-16
Sloan AE, Powers ME(1986)A perspective on popular perceptions of adverse reactions to foods. J Allergy Clin Immunol, 78(1), 127-133
Susitaival P, Kirk J, Schenker M B(2001). Self-reported hand dermatitis in California veterinarians. Am J Contact Dermatitis, 12, 103-108
Thomas T. provost(1976). Hand eczema. In Clinical Dermatology. Demis, Crounse, Dobson, ect: vol. 3, 13-19
*지*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헤어 미용종사자의 업무량 영향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