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성인간호학] 위장관 삽관과 특별 영양관리 (Nasogastric tubes, Nasoenteric tubes 등)

*윤*
최초 등록일
2020.04.10
최종 저작일
2018.12
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위장관 삽관과 특별 영양관리 (Nasogastric tubes, Nasoenteric tubes 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위관(Nasogastric tubes)
1) Levin tube
2) Gastric sump tube
3) Moss tube

2. 비장관(Nasoenteric tubes)
1) Miller-Abbott tube
2) Harris tube
3) Cantor tube

3. 비위관과 비장관 삽입 대상자 간호
1) 대상자 교육
2) 튜브 삽입
3) 비위관 위치 확인
4) 비장관 진행
5) 대상자 관찰
6) 구강과 비강 간호
7) 합병증 사정
8)튜브 제거

4. 비위관과 비장관을 통한 영양공급
1) 경관 유동식의 농도
2) 경관영양 대상자 간호

5. 위루술
1) 영양공급
2) 튜브 간호와 감염관리
3) 피부간호
4) 신체상에 대한 적응
5) 대상자 교육
6) 위루술의 사례

6. 총 비경구영양법
1) 적응증
2) 성분과 종류
3) 주입방법
4) 총 비경구영양의 중단

5) 총 비경구영양 대상자 간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비위관(Nasogastric tubes) = short tube
-비위관은 길이가 짧은 관으로 코나 입을 통해 위장관으로 삽입한다.
-삽입 목적
:위로부터 체액과 가스를 제거하기 위함이다(감압).
:수술 또는 외상 후 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오심과 구토를 예방하거나 경감하기 위함이다.
:위장관(진단 검사)의 압력과 운동 활동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위의 심한 출혈 또는 독성을 세척하기 위함이다.
:기계적 폐색을 치료하기 위함이다.
:약물을 투여하고 위장관으로 직접 영양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유문 또는 장폐색이 의심될 때 검사를 위해 위 내용물의 표본을 체취하기 위함이다.
1) Levin tube
-내관 1개(14~18Fr), 끝에 구멍이 있으며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되어있다.
-용도
:대게 상부 위장관의 수분이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검사를 위한 위 내용물을 얻기 위함이다.
:위장관으로 직접 약물이나 음식물을 투여하기 위함이다.
-삽입 방법
:비위관의 50cm지점 표시(A점)⟶튜브 끝부분을 환자 코에 놓고 귀 끝까지 편후 검상돌기까지 곧게 편후 표시(B점)⟶A와B중간점 C표시⟶C지점이 코끝에 오면 위까지 삽입된 것.
-주사기 사용하여 위 내용물을 흡인한 후 위 내용물의 PH를 검사한다.
-위장내 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X-선 촬영을 한다.
2) Gastric sump tube
-내관2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방사선 불투과성 비위관이다.
-용도: 위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빈 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삽입 방법: Levin tube와 같다.
-흡인 연결부의 흡인력을 모세혈관 파괴 수준인 25mmHg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면 위의 봉합선을 보호할 수 있다.
-계속 흡인할 경우: 25mmHg의 낮은 압력을 유지한다.
-간헐적 흡인할 경우: 80~120mmHg
-배출구는 위 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상자의 중심선 위에 둔다.
3) Moss tube
-길이 90cm, 내관 3개, 풍선을 부풀려 위에 고정한다.
-용도
:감압 카테터로 위세척뿐 아니라 위와 식도 흡입하기 위함이다.
:세 번째 구멍은 십이지장으로 영양을 공급하는데 사용하기 위함이다.

참고 자료

양선희 외 다수 공저, “기본간호학 2”, 현문사, 2013년
조경숙 외 다수 공저,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3년
병원간호사회,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III”, 현문사, 2009년
김용주, 「위장관의 영양인자= Trophic Factors of Gastrointestinal Tract」,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46 No.1, 2003년
김병수 기자, 「뇌졸중 환자 연하장애, 위루술로 치료 」, 『RPM9』, 2016년, http://www.rpm9.com/news/article.html?id=20160603090088/RPM9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윤*
판매자 유형Silver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외과간호실습 영양과 배설 6페이지
    성인간호학 제7판(상)」. 현문사. 2019 ... (Nasogastric): 코에서 위까지 관(비위관)을 삽입하여 영양을 ... 교환 횟수를 기록 [참고문헌]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외, 「최신 기본간호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성인간호학] 위장관 삽관과 특별 영양관리 (Nasogastric tubes, Nasoenteric tubes 등)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