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간호관리학 과제, 적정 간호 인력 확보의 중요성, 미래의 방향에 대한 논의

비오는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5.01
최종 저작일
2020.04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간호관리학 과제, 적정 간호 인력 확보의 중요성, 미래의 방향에 대한 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타 국가와 비교한 대한민국 간호인력의 수준 분석
2. 적정수준의 간호인력 확보의 중요성
3. 적정 간호 인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이유
4. 간호인력 확보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적정수준의 간호인력 확보의 중요성
1) 환자안전
간호 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간호사의 탈진은 수술 부위 감염과 같은 원내감염 발생률을 높인다[5]. 미국 질병관리본부는 수술부위감염이 발생한 환자 중 약 60%가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으며,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와 비교하여 부작용으로 재입원할 위험이 5배 정도 높을 뿐만 아니라 사망 위험은 2배 이상 증가한다고 제시하였다[6]. 간호사 1명 당 환자의 수가 줄어들수록 병원관련 사망률이 낮아진다[7]. 적정 수준의 간호 인력은 환자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효과적으로 돌보고, 사망 위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8]. 간호 인력의 확보수준이 높음에 따라 간호업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9]. 간호사의 탈진을 막기 위해서는 과도한 업무를 분담할 간호사가 필요하다. 또한 환자 1명 당 받는 간호활동 시간의 연장은 더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다. 질 좋은 간호의 제공으로 환자의 안전이 보장 받을 수 있기에 적정수준의 간호 인력의 확보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 (2019). OECD Health Statistics 2019(요약본) 소책자. 세종특별자치시: 경성문화사
이태화, 강경화, 고유경, 조성현, 김은영. (2014). 국내외 간호사 인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행정학회지, 20(1), 106-116.
장욱, 한승진. (2018). OECD 통계로 본 한국 의료자원 현황과 주요 이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책동향, 12(4), pp. 10.
보건복지부,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대책」 발표 . (2018).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
Cimiotti, J. P., Aiken, L. H., Sloane, D. M., & Wu, E. S. (2012). Nurse staffing, burnout, and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0(6), pp. 489. https://doi.org/10.1016/j.ajic.2012.02.029
Anderson, D., Kirkland, K., Kaye, K., Thacker, P., Kanafani, Z., Auten, G., & Sexton, D. (2007). Underresourced Hospital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Programs: Penny Wise, Pound Foolish?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8(7), 767-773. doi:https://doi.org/10.1086/518518
Kane, R., Shamliyan, T., Mueller, C., Duval, S., & Wilt, T. (2007). The Association of Registered Nurse Staffing Levels and Patient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al Care, 45(12), pp. 1197. Retrieved April 20, 2020, from www.jstor.org.libproxy.hallym.ac.kr/stable/40221602
김윤미, 조성현, 전경자, 신순애, 김지윤 (2012). 의료기관 간호사 확보수준이 수술환자의 사망, 폐렴, 패혈증, 요로감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5), pp. 726.
고유경, 김병진 (2008). 일반병동 간호인력 확보수준과 간호업무성과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14(4), pp.419
보건복지부,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 종합대책(‘18~‘22) 발표 . (2018).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5237
박미란, 김남초 (2014).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간호행정학회지, 20(3), 257-271
보건산업진흥원 (2015). 간호사 활동현황 실태조사.
병원간호사회,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15~2019)
송명숙 (2014).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5(6), pp. 3747.
신경미, 권정옥, 김은영 (2014).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20(3), 292-301
유문숙, 정망래, 김경자, 이영진 (2019). 신입간호사의 근무기간에 따른 이직의도차이의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25(5), 489-498
정선경 (2018). 간호사의 태움 개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8), pp. 489.
강미정, 박인숙. (2015). 종합병원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 유형과 대처방식 . 임상간호연구, 21(1), pp. 96-104.
권혜진, 김효심, 최귀순, 이경숙, 성영희. (2007). 의료기관내에서의 언어폭력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13(2), pp. 113-124.
정효주, 이영숙. (2011). 병원 내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 의료커뮤니케이션, 6(2), pp. 125.
한금선, 박은영, 박영희, 임희수, 이은미, & 김린. (2011). 임상간호사의 수면의 질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 간호학회지 , 20 (2), 121-131.
Yang, E. O., Choi, I. R., & Kim, S.-M. (2017). The Impact of Sleep Disorder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of Shift-Working Nurse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5(4), 255–264. https://doi.org/10.17547/kjsr.2017.25.4.255
이지애, 김원정 (2019). 교대근무 간호사의 임신경험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8), 317–326.
간호대 편입학 대폭 확대…전문대 4년 과정도 편입 허용 . (2018).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963181&plink=ORI&cooper=NAVER
황나미, 장인순, 박은준. (2016). 유휴간호사 재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3), 791–801.
강경화. (2018). 간호사는 왜 병원을 떠나는가? 의료와사회, 9, pp. 19-32.
신수진, 박영우, 김미정, 김정현, 이인영. (2019).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프리셉터십 운영을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 21(2), 112-122.
김미영, 김인숙, 김경숙, 김윤미, 박미미. (2017). 주요 간호활동의 건강보험 수가 적절성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23(2), 236-247.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Internet]. Wonju: Medical Institution's Service Portal; 2020[cited 2020 April 28]. Avaliable From: http://biz.hira.or.kr/index.jsp.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비오는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간호관리학과제-적정 간호인력 확보의 중요성과 미래의 방향에 대한 논의 28페이지
    간호관리학 과제 적정 간호인력 확보의 중요성과 미래의 방향에 대한 논의 논의의 ...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적정 간호인력 확보의 중요성과 미래의 방향에 대한 논의를 ... 영향을 미치는 적정 수준의 간호인력 확보의 중요성 우리나라의 의료시장을
  • 한글파일 국내의 보건의료정책 (A+) 6페이지
    따라서 보건의료 인력적정수급과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체계 개혁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주로 건강보험제도를 ... 신현웅,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과제 : 지속가능성 확보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 한글파일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 조사 보고서 9페이지
    현재 정부는 간호사의 처우를 개선하려고 간호 인력을 확충하기 위해 간호대학 ... 면허만 소지하고 놀고 있는 간호 인력을 없애야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 소속 학번 및 이름 과목명 지역사회간호학실습 실습지 실습기간 담당교수 제출일
  • 파워포인트파일 재난보고서 코로나19 29페이지
    대한 사회적 논의 본격화 해야 함 - 간호인력 적정 기준을 마련과 병원 ... 느낀점 현재 전 세계에서 진행 중인 재난의 COVID-19 에 대한 과제를 ... 참고문헌 ※ - 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공저, 지역사회보건간호학2
  • 한글파일 보건의료정책 12페이지
    , 일정 등에 대해 논의. → 향후 현장 자문단 등 현장의 의견을 수렴할 ... 동력 확보를 위해 초기에 실행 가능한 과제를 중심으로 과제를 마련하고, 전국적으로 ... 이 모든 단계에서 간호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간호관리학 과제, 적정 간호 인력 확보의 중요성, 미래의 방향에 대한 논의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