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일제 식민지 문화 통치와 일본어 보급 정책 - 식민지 조선의 일본어와 조선어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

*병*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6.05
최종 저작일
2020.05
1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일제 식민지 문화 통치와 일본어 보급 정책 - 식민지 조선의 일본어와 조선어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무단통치기 일본어 보급 정책과 조선어 철자법 정리
1. 제1차 조선교육령과 일제의 일본어 보급 정책
2. 일본어의 지방어화와 조선어 철자법 정리

Ⅲ. 문화통치시기 일본어 보급 정책과 조선어 장려 정책
1. 제2차 조선교육령과 일본어 교육열풍
2. 지방어 ‘조선어’ 유지를 위한 「언문철자법」 개정

Ⅳ. 대공황기 공업화 진행과 일본어·조선어 보급 정책
1. 대공황기 일본어 보급 정책의 위기
2. 공업화 정책과 문맹을 향한 조선어 보급 정책의 필요

Ⅴ. 일제 말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어와 조선어의 존재 양태
1. 전시체제기 일본어 습득 강요와 사라지는 조선어

Ⅵ. 결 론

본문내용

종래 식민지 조선의 언어 문제와의 관련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일본어를 통한 지배의 측면에만 주목한 때문인지, 물론 일본어를 통한 언어지배의 의미가 중요하지 않았다는 뜻은 아니다. 대표적 연구서로는 박병채, 「1930年代의 國語學 振興運動」, 『民族文化硏究』1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7; 이만열, 「일제하의 문화운동」, 『한국현대사의 제문제』2, 한국사학회, 1987; 최기영, 「국학연구」, 『한국사』51, 국사편찬위원회, 2001; 박걸순, 「국어학운동」, 『국학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정도가 있다.
조선어를 둘러싼 동태(動態)를 상세히 검토한 것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그 동태란 조선어 규범화 과정이 식민지 정책과 얽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가리키는데, 이러한 인식은 최근에 와서야 가능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국민국가론, 일본 ‘제국사’ 연구의 성과가 자리를 잡게 되고, 이연숙, 야스다 도시아키(安田敏朗) 등 사회언어학자가 일본어 ‘국어’ 형성, 일본 ‘제국’ 안의 ‘언어 편제’ 등의 시각에서 식민지 조선의 언어 문제를 언급하자, 사회언어학, 문학, 역사학 등의 분야에서 이 시기 언어 정책, 운동, 사상 등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연숙, 고영진, 임경화 역, 『국어라는 사상-근대 일본의 언어 인식』, 소명출판, 2006; 安田敏朗, 『「国語」の近代史―帝国日本と国語学者たち』, 東京:三元社, 1999.
하지만 위의 연구들은 식민권력인 조선총독부의 의도가 간과되면서 일단은 식민권력의 지배 하에서 진행된 식민정책으로써 특징은 전혀 드러나지 않았다. 식민정책은 일단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변화는 다양한 측면에서 전개되기 때문에 이를 범주화하여 식민정책을 분석해야지만 그 특성이 제대로 드러날 수 있다. 식민권력의 지배 의도를 간과한 연구 동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최근에 역사학의 입장에서 주로 조선어의 규범화 운동(=한글운동)과 총독부의 정책 사이에서 이루어진 상호 규정적 관계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미쓰이 다카시, 『식민지 조선의 언어 지배 구조-조선어 규범화 문제를 중심으로-』, 소명출판, 2013.

참고 자료

없음
*병*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일제시대의 교육 및 교육자 6페이지
    말살정책을 함께 전개하였으며, 일제시대 36년간의 교육양상은 총독부에 의해 ... 식민통치는 ‘내선일체’의 구호를 내세우고 이루어졌으나 민족의식과 민족문화 ... 억압의 정도를 낮추고, 실용주의를 내건 식민지정책문화정책으로 바꾸고,
  • 파워포인트파일 한국 개화기의 개혁정책 31페이지
    전개 - '민립대학의 필요를 제창하노라' : 일제에 의한 식민체제의 정치적 ... - 국내적 정세 : 1920년대 일본문화통치 - 이를 바탕으로 다소 ... 일제식민지 교육을 담당 하는 앞잡이로 전락. 6년제 관립 소학교를 4년제
  • 한글파일 [역사]식민지 교육정책 9페이지
    식민지 교육정책 - 목 차- Ⅰ 서론 Ⅱ 식민지 교육의 전개 1. ... 제 1차 조선교육령 (1910-1919) 식민지 초기 교육방침은 1911년 ... 황국신민 배양을 교육목표로 내걸게 되었다. Ⅱ 식민지 교육의 전개 1.
  • 한글파일 저널리즘 11페이지
    강점기 한국을 병탄하는데 성공한 일본식민정책으로 무단통치를 시작했다. ... 본론: (1) 우리나라 저널리즘의 탄생배경 (2) 전개양상 - 개화기와 대한제국시대 ... 경성일보(일본어), 매일신보(조선어), 굴종의 세월이었다.
  • 한글파일 일제시대의 교육에 대하여.. 11페이지
    일제 시대의 교육 -일제 통치기 학교 교육은 일본식민지 통치 정책에 ... ▶ 중일전쟁(1937) 무렵 - 민족문화 말살정책, 국사와 우리말 강의를 ... 보통학교 아동들에게까지「국어상용」이란 표어를 내걸고 일본어 교육의 양상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일제 식민지 문화 통치와 일본어 보급 정책  - 식민지 조선의 일본어와 조선어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