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깍두기 김치 제조 및 숙성 후 품질조사

djqfhej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7.18
최종 저작일
2019.04
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깍두기를 제조하여 숙성기관을 달리 한 뒤 품질특성인 염도와 pH, 환원당, 색도 등을 측정하여 고찰한 레포트입니다. 많은 참조 바랍니다.

목차

1. Abstract
2. 서론
3. 재료 및 방법
4. 결과 및 고찰
5. 요약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김치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발효식품이며, 일반적으로 배추를 소금으로 절인 후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따라서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소금은 배추의 품질과 건강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Han 등(1)의 연구에 의하면 정제염으로 담근 김치보다 간수를 제거한 천일염으로 담근 김치가 맛과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김치는 부재료와 젖산균, 그리고 발효 산물 등으로 인해 면역 증강(2,3), 항산화 및 항암(2,4), 혈장 지질 저해 및 항비만(5-7), 정장 작용(8)이 보고되고 있다.
김치류는 사용되는 원재료와 담그는 방법 또는 개인이나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그 중 깍두기는 무를 주 원료로 하여 마늘, 생강, 고춧가루, 새우젓, 설탕 등과 같은 부재료와 함께 버무려 발효시켜 먹는 김치류 중의 하나로 제조하는 방법이 김치류 중에서 가장 간단하면서도 선호도가 높아 소비량이 배추김치 다음으로 많다(9)(10). 특히 Park과 Lee의 연구에서는 여고생들의 김치 선호도에 있어 무김치류, 배추김치류 다음으로 깍두기류를 선호한다고 하였고, 섭취 빈도에서도 배추김치 다음으로 깍두기를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11).
우리나라 고유의 독특한 발효식품인 김치는 특이한 자연환경과 조상의 슬기로운 음식 솜씨에서 비롯되었다. 우리 민족은 농경민족으로서 곡물 위주의 식생활을 영위하면서 채소를 즐겨 먹었다. 우리나라는 기후가 청명하고 산수가 풍요로워 채소가 연할 뿐 아니라 향미도 뛰어나다. 또 계절 변화가 뚜렷하여 다양한 채소를 즐길 수 있었지만, 겨울철에는 채소가 생산되지도 않았고 저장도 어려워 건조 처리나 소금 절임 등 가공에 남다른 기술이 필요하였다.

참고 자료

Han GJ, Son AR, Lee SM, Jung JK, Kim SH, Park KY. Improved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Guwun)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96-1002. (2009)
Bong YJ, Jeong JK, Park KY. 2013.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17-1726.
Kim MJ, Kwon MJ, Song YO, Lee EK, Youn HJ, Song YS. The effects of kimchi on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vivo and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208-1214. (1997)
Park KB, Kim SG, Oh CH, Jeon JI, Oh SH. Gastric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bbage kimchi by fermentation and storage conditions. Korean J Food Nutr 27: 692-698. (2014)
Kwon JY, Cheigh HS, Song YO. Weight reduction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powder in rats fed high fat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14-1019. (2004)
Choi SH, Kim HJ, Kwon MJ, Baek YH, Song YO. The effects of kimchi pill supplementation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in healthy peop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13-920. (2001)
Kim JY, Lee YS. The effects of kimchi intake on lipid contents of body and mitogen response of spleen lymphocyte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200-1207. (1997)
Lee KE, Choi UH, Ji GE. 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81-986 (1996)
Kim NY, Jang MS,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akdugi.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16(1): 75-83 (2000)
Noh BS, Lee SJ, Bak YH, Lee JH, Yoon HG, Food materials science, Seoul, Korea: Soohaksa Publishing, (2011)
Park ES, Lee KH, The intake,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Kimchi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5(4): 598-607 (2000)
Kim KW, Lee CZ, From history to food, everything in kimchi, Daewon Co LTD, pp. 65-66 (2014)
Bang BH, Seo JS, Jeong EJ.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21(1): 51-55 (2008)
Jeong HJ, Kim HR, Yoo MJ. Changes in texture and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and long term fermented baechu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Korean J. Food Culture. 20(4): 426-432 (2005)
Lee SM, Lee TS.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 71-79 (2000)
Park CS, Lee TS. Quality characteristic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2002)
Park JH, Bae SM, Yook C, Kim J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with ol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09-615 (2004)
Lee KJ, Kim HY. The Epidem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kakdugi with Hydrangea Leaf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community life science society, 22(2), 211-222. (2011)
Kim MG, Kim S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reen Tea. journal of the korean food storage and distribution society 10(3): 354-359
djqfhej
판매자 유형Platinum개인인증
소개
궁금한게 있으면 언제든 연락주세용~~
전문분야
등록된 전문분야가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깍두기 김치 제조 및 숙성 후 품질조사 5페이지
    깍두기 제조 숙성 기간에 따른 품질조사 Quality survey according ... 결과 고찰 본 실험에서는 깍두기제조 숙성기간에 따른 염도를 측정한 ... 같은 김치류는 제조 부터 저장기간을 가지면서 발효과정을 거치는데, 그러한
  • 한글파일 깍두기 제조 숙성 품질조사 6페이지
    깍두기 제조 숙성 품질조사 Quality survey after manufacturing ... 실험을 통해 깍두기제조과정과 깍두기가 발효 품질이 어떻게 변하는지 ... 요약 본 실험에서는 깍두기제조 방법을 이해하였고, 깍두기 제조 숙성기간
  • 한글파일 깍두기제조 숙성 기간에 따른 품질 조사 5페이지
    깍두기제조 숙성 기간에 따른 품질조사 Quality survey according ... 요 약 본 실험에서는 김치제조하고 그의 숙성도를 달리하여 품질특성 조사를 ... 깍두기는 발효숙성이 되면서 김치 원료인 무에 미생물의 활동으로 휘발성
  • 한글파일 발효 (fermentation) 8페이지
    김치숙성에 관여하는 미생물로는 호기성균 (Aerobic bacteria ... 당의 알코올 발효를 치밀한 실험에 의해서 조사하여, 자연발생설을 부정함과 ... , 깍두기, 찌개 등에 넣어 먹기도 하고 갖은 양념으로 무쳐 먹기도 한다.
  • 파워포인트파일 농산식품 가공과 실습지도 23페이지
    , 깍두기, 총각김치, 나박김치, 무김침, 동치미, 물김치, 무말랭이, 무절임 ... ,앙금질 숙성 여과, 적포도주 대표적인 가공 식품 3. ... 3 step 2 step 1 step 포도 제경, 파쇄 주발효, 압착, 발효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깍두기 김치 제조 및 숙성 후 품질조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