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노인간호 정책 문제점(치매국가책임제, 치매안심센터, 치매공공후견사업)

공부는내체질이아니다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9.20
최종 저작일
2020.05
1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노인간호 정책 문제점(치매국가책임제, 치매안심센터, 치매공공후견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치매국가책임제 시행 2년
2. 치매안심센터의 문제점
2-1. 인프라 격차 및 기관연계 문제
2-2. 정책의 수직적인 특성
3. 치매공공후견사업
4. 치매공공후견사업의 문제점 - 후견인 발굴의 어려움
4-1. 치매안심센터로의 업무 집중
4-2. 적은 후견인 활동비
4-3. 비효율적인 절차
4-4. 낮은 사회적 인식

Ⅲ. 결론

본문내용

[초고령화사회를 앞둔 대한민국] 65세 이상이 전체의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 고령사회, 20% 이상 초고령사회이다. 2017년 대한민국은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가 되었다. 현재 통계청은 대한민국의 초고령사회가 2025년(전체 인구 대비 노인 인구 구성비는 20.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게다가 미래에는 노인 비율이 극단적으로 증가해서 지금까지는 상상하지도 않았던 수준까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런 극단적인 노인 비율의 상승으로 세계에서 고령화가 말 그대로 가장 많이 진행된 국가가 될 것으로 보이고 있어서 여러 가지로 난감해진 상황이다. (나무위키,2020)
[증가하는 치매환자 수] 가속화되는 노령화와 더불어 치매 환자가 급증하면서 치매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국민 100명 중 1명,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 환자이고, 국민 25가구 중 1가구가 치매 가족이다. 즉, 무려 4%의 국민이 치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치매는 특수한 질병이 아니라 이제 우리 모두의 문제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5년 약 31만 6,000명에서 2017년 39만 3,774명, 2019년 49만 5,000여명으로 증가했다. 혈관성 치매와 신경퇴행성 치매 등을 포함하면 이 숫자는 더 늘어난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60세 이상 인구 1,132만여 명 중 7%인 약 80만 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 여성이 61.5%(49만 명)로 남성(38.5%)의 1.6배였다. 치매환자의 84%는 75세 이상이었다. (김어수,2020)
[치매 국가책임제] 고령사회와 더불어 치매환자 급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18년 9월 18일 보건복지부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었던 ‘치매 국가책임제’를 발표했다. 치매 국가책임제는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대선 기간 중 내건 공약으로, 치매 문제를 개별 가정 차원이 아닌 국가 돌봄 차원으로 해결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참고 자료

공감. (2017). 네이버 포스트. 「[닻올린 '치매 국가책임제'] 치매를 책임진다는 것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9177342&memberNo=25324157&vType=VERTICAL. 20200418.
국회 민주주의와 복지국가연구회. (2019). 「치매공공후견사업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 대한민국국회.
김명선. (2019). 「'7개월간 8건' 치매노인 공공후견제도 실효성 논란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8726815&memberNo=30808112&vType=VERTICAL. 20200418.
김성화. (2019). 네이버 포스트. 「현명한 치매 대처법! 치매안심센터」.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852797&memberNo=35540755&vType=VERTICAL. 20200418.
김어수. (2020). 대화때 엉뚱한 단어 사용, 문장 이상하면 치매 의심을. https://www.sedaily.com/NewsView/1Z1HHJ5DFO. 20200418.
나무위키. (2020). 「대한민국/고령화」, https://namu.wiki/w/%EB%8C%80%ED%95%9C%EB%AF%BC%EA%B5%AD/%EA%B3%A0%EB%A0%B9%ED%99%94. 20200418.
대한민국청와대. (2017). 「친절한 청와대 - 치매국가책임제 편」. https://www.youtube.com/watch?v=1fQJ6QWzoeg. 20200418.
보건복지부. (2019). 「치매공공후견 발전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치매정책과. (2020). 「2020년 치매정책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서울시복지재단. (2011). 「서울시 중․장년 발달장애인가족 복지욕구조사」. 서울시복지재단.
시민건강증진연구소. (2017). 프레시안. 「'치매 국가책임제', 이렇게 해야 성공한다」.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60167. 20200419.
신은진(2018). 「치매안심센터 1년, 현장은‥"지역맞춤·기관연계 절실"」. 메디파나뉴스. http://m.medipana.com/index_sub.asp?NewsNum=223009. 20200418.
조재민. (2019). 디멘시아 뉴스. 「"임의후견 통해 전문성과 신뢰있는 전문 후견인 선임해야“」. 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05. 20200419.
주하영, 정익중. (2016). 한일 공공후견사업에 관한 비교연구. 법과정책연구, 16(1),169-190.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094186#none
조현성, 김지혜. (2019). 「2019 중앙치매센터 연차보고서」. 중앙 치매센터.
최봉영. (2019). 디멘시아 뉴스. 「"치매노인 공공후견제도 활성화 위해 신규 조직 개설 필요"」. 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2. 20200419.
최선호. (2019). 「낯설고 어려운 '치매공공후견제'... 활성화 방법은」. BBB NEWS.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3478. 20200418.
pmg 지식엔진연구소. (2017), 네이버 지식백과, 「치매 국가책임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96636&cid=43667&categoryId=43667, 20200418.
천금주. (2020). 국민일보. 「죽은 걸까? 죽인 걸까?…‘그것이 알고싶다’가 조명한 ‘간병살인’」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4243231&code=61172211&cp=nv, 20200418.
정책공감. (2017). 네이버 포스트. 「[카드뉴스] 치매 국가책임제, 치매환자와 가족들의 삶이 달라집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9065870&memberNo=604093&vType=VERTICAL. 20200418.
공부는내체질이아니다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소개
회원 소개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의/약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노인간호정책의 교육, 실무, 연구, 행정적 측면의 해결방안(치매국가책임제, 치매안심센터, 치매공공후견사업) 6페이지
    치매공공후견사업 문제점 해결방안 1. ... 치매공공후견사업 문제점 해결방안 1. ... 아닌 치매를 전문으로 하는 치매안심센터 소속 ‘치매노인 간호 공무원’ 채용
  • 한글파일 노인간호학 우리나라 치매현황 정책문제점 및 개선방안 14페이지
    노인간호학 보고서 우리나라 치매현황 정책문제점? ... 실종노인의 발생예방 및 찾기 사업 9. 치매공공후견 사업안내 Ⅱ. ... 우리나라 치매현황 정책 3p 1. 치매국가책임제 2.
  • 한글파일 지역사회간호치매 관련 보고서 15페이지
    치매안심마을 단계적 확산 ? 치매환자에 대한 공공후견 활성화 2. ... 수립된 이후 치매국가책임제 발표 [치매 국가책임제 주요 내용 및 세부 추진 ... 중앙·광역치매센터치매상담콜센터 설치, 공공요양병원 치매 기능 보강 지원
  • 파워포인트파일 노인간호학)국내외 노인관련 보건의료정책PPT 10페이지
    년 ) 치매어르신 실종 제로사업 실시 , 치매노인 공공후견제도 시행 등 치매환자 ... 장점 단점 관련되는 기존 정책문제점 3 국가노인 대상 치매검진 사업 ... 국 ‧ 내외 노인관련 보건의료정책 OO 대학교 간호학과 OOO ( 학번 )
  • 한글파일 노인간호학 - 우리나라 치매현황과 정책을 설명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시오. 11페이지
    노인간호학과제 개별보고서 우리나라 치매현황과 정책을 설명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 노인간호학 개별과제를 통해 우리나라 치매현황과 정책을 알아보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 치매공공후견 사업 - 후견대상자 발굴 및 선정 - 공공후견인 선발 및 추천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노인간호 정책 문제점(치매국가책임제, 치매안심센터, 치매공공후견사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