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일회용품 대체재 개발(바이오플라스틱)을 위한 정부의 역할

해기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12.19
최종 저작일
2020.12
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일회용품 대체재 개발(바이오플라스틱)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 일회용품과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설명

2. 일회용품 사용의 현황 및 문제점
1) 일회용품 배출량 및 재활용 현황
2) 환경파괴 및 생태계 다양성 감소

3. 바이오 플라스틱 종류 및 개발현황
1) 첫 번째 바이오 플라스틱, 생분해 플라스틱
2) 두 번째 바이오 플라스틱, 산화생분해 플라스틱
3) 세 번째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4)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현황

4. 개선방향
1)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 및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
2) 바이오 플라스틱의 시장보급 및 촉진을 위한 정부의 노력

5. 결론 :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회용품이란 ‘한 번만 쓰고 버리도록 되어 있는 물건’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국의 일회용품 수요는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증가한 편리성에 대한 요구와 함께 꾸준히 증가해 왔다. 그 결과 현재 일회용품은 플라스틱 컵, 빨대처럼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종류부터, 주사기나 면도기 등 쉽게 연상하기 어려운 물건까지 시민들의 일상 속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다. 일회용품의 주원료라고 할 수 있는 변환 가능한 플라스틱은 1907년 리오 베이클랜드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플라스틱은 딱딱한 성질을 가진 아크릴과 PVC, 의류 제작에 사용되는 나일론 등 다양한 쓰임새로 사용되었고 1970년대엔 알루미늄, 구리, 납, 아연 생산량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플라스틱이 생산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에도 한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바로 ‘환경파괴’이다. 실제로 1950년부터 2015년까지 65년 동안 생산돼 사용되고 버려진 플라스틱 중 재활용되지 않은 비율은 90.5%에 달한다. 이는 점차 대두되는 지구온난화 문제와 함께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로 떠올랐고 이것을 대체하기 위한 시도 중 하나가 바이오 플라스틱이다.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석유 기반 고분자 중 생분해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한 바이오매스 기반 고분자’를 말한다. 쉽게 설명하자면 자연 속에서 완전히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을 일컫는다. 이러한 바이오 플라스틱의 중요성은 앞서 언급했다시피 지구온난화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점차 조명 받아 왔고 현재 프랜차이즈 및 대기업을 중심으로 바이오 플라스틱을 사용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산업 전반에서 바이오 플라스틱의 사용은 보편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며 바이오 플라스틱의 기술 개발 역시 진행 중에 있다. 이는 달리 말해 현재 바이오 플라스틱이 기술 개발과 보편화라는 2가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일회용품”,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 2020.12.12
「[도와줘요 쓰레기박사] 플라스틱 재활용률, 정말 낮나요?」, 『서울환경연합』, http://ecoseoul.or.kr/archives/37466 , 검색일 : 2020.12.12.
「바이오플라스틱 마크제도」,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 http://kbpa.net/skin/page/custom03_kr.html , 2020.12.13
제갈종건, 「바이오 플라스틱 현황 및 전망」, 『한국화학연구원』, https://www.cheric.org/PDF/PIC/PC15/PC15-4-0021.pdf , 2020.12.12
유영선,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의 연구개발, 제품화 및 시장 동향」, 한국청정기술학회, 2015.09, 141~152p
「플라스틱 넘어서 일회용품 프리 실천 필요한 때」, 『대한금융신문』 , 2019.02.18., https://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416 , 2020.12.12
「한국인이 쓰는 일회용컵 25,700,000,000개… 플라스틱은 세계 1위」, 『조선일보』, 2018.05.08.,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8/2018050800187.html 2020.12.12
「8년 前 '썩는 플라스틱' 개발해 놓고도 SK케미칼, 국내 수요 부족에 상용화 고민」, 『한국경제』, 2019.07.25.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72476301 , 2020.12.13
「네덜란드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동향」, 『Kotra 해외시장뉴스』, 2015.03.19.,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604/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37167&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page=247&row=80 , 2020.12.13
「홍남기 “빅3 집중지원, 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조선일보』, 2020.12.03. https://www.chosun.com/economy/2020/12/03/EM4FYEHDLBH2HKFQFCP3LVU2AA/?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2020.12.14
「바다에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진다면」,『한겨레』, 2018.09.09.,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861275.html , 2020.12.14
해기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소개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재학생입니다.
전문분야
자연과학, 농/수산학, 독후감/창작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서울대학교 재학중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파워포인트파일 kcu 에너지와 생활 만점 과제 16페이지
    비닐 같은 석유제품과 일회용품 사용을 줄여야 함 . ... 수 있는 대체 에너지나 신 재생 에너지 개발 기업 , 지방 자치 단체 등이 ... 에너지 개발 산림 유지 장려 전력 수요 줄이기 에너지를 위한 설비 부지
  • 한글파일 환경상품과 환경마크제도, 환경친화적 소비생활 8페이지
    필요한 것만 구입하고 제품의 구매를 자제하여 제품의 수를 줄이는 것으로 일회용 ... , 바이오 상품 등과 같은 환경친화적 상품 개발 ? ... 비용을 부담토록 하는 즉, 오염자부담원칙을 적용, 쓰레기 발생을 억제하고 재활용품의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일회용품 대체재 개발(바이오플라스틱)을 위한 정부의 역할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