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디지털 심리학 A+ 에세이 - '허언증 갤러리' 커뮤니티 사용자 심리 분석

*동*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1.22
최종 저작일
2016.12
1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A+ 성적을 받은, 문화콘텐츠학과 전공 과목인 <디지털 심리학> 에서 작성했던 기말 에세이입니다.

저작 당시, 인기가 좋던 ‘허언증 갤러리’(일명 ‘허갤’)를 소재로 하여, 커뮤니티 사용자의 심리를 분석했습니다. ( 과목이 ‘디지털 심리학’이다 보니, 사이버 공간과 관련된 주요 심리학 개념들을 토대로 분석을 진행한 것이 주 내용입니다. 특히 주로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단’,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와 관련 )

‘허갤’내의 ‘레전드’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주요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분석하며 논의를 전개하였습니다.

목차를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목차

Ⅰ. 서론 : ‘허언증 갤러리’의 인기

Ⅱ. 본론
1. ‘허언증 갤러리’ 분석
(1) ‘허갤’의 개념과 특성
(2) ‘허갤’의 콘텐츠
2. ‘허언증 갤러리’ 사용자 심리 분석
(1) 주요 카테고리별 분석
(2) 통합적 심리기제 분석
3. ‘허언증 갤러리’ 사용자 심리 분석 결과와 의미

Ⅲ. 결론 : ‘허언증 갤러리’의 인기와 한국 사회

본문내용

한 손에 대리석 무늬의 공을 가진 사람이 “편의점 갔다 오다가 목성이 떨어져 있어서 얼른 주웠어. 첨엔 그냥 돌 인줄 알았는데 혹시나 해서 하늘을 보니 목성자리가 비어있더라.” 라고 말한다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그저 그 사람을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무시해버릴 것인가, 아니면 “목성 위성들이 엄마를 찾고 있다”라고 똑같이 거짓말로 능청스럽게 대꾸해줄 것인가? 아마 대부분의 20~30대 청년들은 누구나 거짓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말에 대해 진지하게 반응하기 보단, 재치 있는 거짓말로 되받아칠 것이다. 최근 ‘허언증 갤러리’의 인기가 뜨겁다. 국내 커뮤니티 포탈인 ‘디씨인사이드’의 한 갤러리에서 시작하여 그 인기를 증명하듯 페이스북에 페이지를 개설하는 등으로 그 인기는 커지고 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은 그 페이지에 대해 ‘좋아요’를 누름으로써 그 인기를 뒷받침해준다. 이렇게 사람들은 ‘허언증 갤러리’에 올라온 글들을 보는 것을 좋아하고, 게시된 글들 중에서 특히나 재밌는 것들을 모아 ‘레전드’, 혹은 ‘허언증 갤러리 레전드’라고 부르며, 그것들을 묶어서 다시 올리기도 하고 공유하기도 한다. 이런 글들을 보며 사람들은 재미있어한다. 특히 작성자들의 거짓말 센스 내지는 허언 능력에 감탄하기도 한다. 뛰어난 아이디어나 능청스러움에 감탄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허언증 갤러리’에 게시된 글들을 단순히 재미있어서 보는 사람들 외에 그 갤러리 게시판을 직접 이용하면서 적극적으로 글을 올리는 사람들, 즉 적극적으로 거짓말을 만들어 허언 증을 과시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무엇일까? ‘허언증 갤러리’라는 인터넷 공간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이용하는 배경은 무엇일까?
시대적으로 인기가 있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이버 공간상의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특성·심리를 분석하는 것은, 그 당대의 사회를 읽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허언증 갤러리’커뮤니티의 인기 현상에 대해 그것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고, 그 커뮤니티 안의 내용물들, 즉 콘텐츠를 파악해볼 것이다. 이때는 게시 글의 내용분석을 중점으로 한다.

참고 자료

김광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성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김명선, 「사이버 커뮤니티 참여자들의 활동 특성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김종현, 「자기과시성향이 정보공유행위와 정보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5.
김충식, 「연구논문 : 거짓말 및 자백의 심리분석에 관한 고찰」, 한남법학연구, Vol2 No.1, 2014.
김현진, 「사이버 세계와 현실 세계에서 대학생들의 윤리 의식 비교」, 교육논총, Vol28, 2009.
류승하, 「사이버공간의 익명성과 그 대응방안 고찰 : 익명성의 역기능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문용린 외, 「한국인의 거짓말 유형과 정당화 양식 연구」, 人間發達硏究, Vol15 No.3, 2008.
문창앙, 『(본심에서 흑심까지) 거짓말 심리백서』, 하이파이브, 2006.
박창호, 「특집: 과시하는 한국 사회 ; 인터넷에서의 과시;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대비하여」, 사회이론, Vol.41, 2012.
서명숙, 「앙드레 말로와 공상 허언증」, 프랑스문화연구, Vol25, 2012.
안미효,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양진선, 「익명채팅에서 나타나는 '비인격적 친밀성'의 구조 분석 : 랜덤채팅어플 '돛단배'의 여성이용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오원웅,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에 관한 연구 : 20대 싸이월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4.
이성식, 전신현, 『사이버공간의 사회심리학』, 집문당, 2009.
이용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성이 커뮤니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객충성도와 익명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2.
정유경, 「인터넷 토론문화 개선을 위한 익명제와 실명제의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이언 레슬리, 『타고난 거짓말쟁이들』, 김옥진 역, 북로드, 2012.
클라우디아 마이어, 『거짓말의 딜레마 = 거짓말, 기만, 사기, 속임수의 심리학』, 조경수 역, 열대림, 2008.
패트리샤 월리스, 『인터넷 심리학』, 황상민 역, 에코리브르, 2001.
뉴스핌 http://www.hankookilbo.com/v/03a0486d39c14696b4f2edd82bed4a8f
동아닷컴 http://news.donga.com/3/all/20160429/77844751/1
대구신문 http://www.idaegu.co.kr/news.php?code=op03&mode=view&num=196773
세계일보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2/10/*************2.html?OutUrl=naver
아시아경제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421356
아주경제 http://www.ajunews.com/view/*************8463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3%B5%EC%83%81%ED%97%88%EC%96%B8%EC%A6%9D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72*************11
주간경향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24&artid=2*************1&pt=nv
주간동아 http://weekly.donga.com/3/all/11/533819/1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0058361
티브이데일리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796002
프라임경제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html?no=327390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03a0486d39c14696b4f2edd82bed4a8f
허핑턴포스트 코리아 http://www.huffingtonpost.kr/2016/07/20/story_n_11101168.html
MK Post http://post.mk.co.kr/archives/25277
*동*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소개
안녕하세요, 대학생 시절 작성했던 문서들을 늦게나마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
아주대학교 인문학부를 평점평균 4.35, 1년 조기 졸업으로 나왔습니다.
제가 작성했던 자료들이, 특히 수강하시는 과목과 적합하게 어울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전문분야
등록된 전문분야가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디지털 심리학 A+ 에세이 - &#039;허언증 갤러리&#039; 커뮤니티 사용자 심리 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