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SNS 순기능과 역기능의 논고

*병*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6.10
최종 저작일
2021.05
1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SNS 순기능과 역기능의 논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SNS의 개념이해
1 .SNS의 정의
2. SNS의 역사

Ⅲ. SNS의 순기능
1. 사회관계적 측면
2. 소통과 정보 유통의 도구의 측면

Ⅲ. SNS의 역기능
1. 개인 정보 및 프라이버시 노출
2. 딥 페이크
3. 사이버 불링
4. 가짜뉴스
5. 사기와 범죄
6. 심리적 문제 (상대적 박탈감, 소외감, 과시)

Ⅳ.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SNS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을 연결해 주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해준다. 오늘날 우리 일상에서 SNS는 필수적인 존재다. 신속성, 개인성, 정보의 개방성을 바탕으로 하는 SNS는 영향력이 계속 커지고 있다. 게다가 스마트 폰,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보급 확대는 SNS 이용을 더욱 촉진한다. SNS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SNS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선 순기능은 최대화하고 역기능은 최소화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SNS가 무엇인지 알고 장단점을 명확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의 목적은 SNS의 순기능과 역기능이 드러난 사례를 공유하여 SNS의 건강한 이용을 도모하는 데 있다.

[그림 1] SNS 이용률 상승 추세 -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Ⅱ. SNS의 개념이해
1 .SNS의 정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온라인 인맥구축을 목적으로 개설된 커뮤니티형 웹사이트.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텀블러와 같은 1인 미디어, 정보공유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이론적인 관점에서는 보이드와 앨리슨의 정의가 대표적인데, 이들은 SNS를 “개인으로 하여금 특정 시스템 내에 자신의 신상 정보를 공개 또는 준 공개적으로 구축하게 하고, 그들이 연계를 맺고 있는 다른 이용자들의 목록을 제시해 주며, 나아가 이런 다른 이용자들이 맺고 있는 연계망의 리스트, 그리고 그 시스템 내의 다른 사람들이 맺고 있는 연계망의 리스트를 둘러볼 수 있게 해주는 웹 기반의 서비스”로 규정한다.

2. SNS의 역사
SNS는 1990년대 WWW(World Wide Web) 서비스 시작으로 급성장의 기반을 마련했다. 1990년대 후반 서비스를 개시한 미국의 식스디그리즈닷컴(sixdegrees.com)은 전 세계가 6명만 건너뛰면 모두 아는 사이라는 ‘six degrees of separation’ 이론에 기반을 두고 시작했다.

참고 자료

김재현. (2021). 딥페이크(deep fake)기술을 이용한 허위영상물 제작 및 반포 죄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입법학연구, 제18집
김효신, 서준배. (2019). 로맨스 스캠(Romance Scam) 범죄 현황 및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경찰학논총
이창호, 정낙원. (2014). 소셜미디어 이용정도 및 이용동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개방형/폐쇄형 소셜미디어 비교. 한국언론정보학보,
강보현. (2021.03.08). “입 찢어놓을 것” 얼굴없는 SNS 폭력… 신고조차 두렵다. 국민일보.
강승연. (2021.02.25). ‘지뺏’ 당했다고 ‘공저’…SNS로 스며든 학폭. 헤럴드경제.
구민주. (2017.05.09). SNS 수놓은 유명인사들의 투표 독려 인증샷. 시사저널.
기획재정부. (2017).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시사경제용어사전. 대한민국정부 제공.
김수현. (2020.11.26). "비방·혐오 낳는 '가짜뉴스'…제재할 방안 턱없이 부족". 머니투데이.
김예랑. (2019.10.18). 故 설리 사망 동향보고서 유출 경위는? 소방공무원 단톡방→SNS '확산. 한국경제.
김혜민. (2021.01.18). [친절한 경제] SNS 마켓 "환불 안 돼요"…사실은?. SBS.
노지현. (2017.08.24). 서울시 “정책결정 과정 시민참여”. 동아일보.
박기주. (2020.08.23). "보건소 검사 엉터리" 가짜뉴스에 칼 뽑은 警, 징역형도 가능. 이데일리.
백승찬. (2021.03.04). 누가 나를 들여다보라 하였는가 [흑백 민주주의 ⑩]. 경향신문.
백지수. (2021.01.25). 10.5만명 딥페이크 피해자, 70%는 일반인…"SNS 사진 훔쳐가". 머니투데이.
손영하. (2021.01.17). 네이버·인스타서 돈 받고 잠적... "'SNS 쇼핑 사기' 주의하세요". 한국일보.
안현우. (2011.01.31). SNS, 튀니지 자스민 혁명을 꽃피우다. 미디어스.
양영권. (2019.11.20). 페이스북은 어떻게 인종 학살을 일으켰나. 머니투데이.
윤경재. (2020.09.17). 죽은 개 살아있는 척 ‘SNS 모금’…민간 유기견보호소의 욕심. KBS.
이영섭. (2019.12.21). 잊힐 만하면 또…"페이스북 2억6천만명 개인정보 유출". 연합뉴스.
이정훈. (2020.03.12). "강원도 청정감자 10kg에 5천원!" 감자 팔아주는 최문순 지사. 강원일보.
이진형. (2012).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확산과 동향.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제공.
임유진. (2021.03.21). [MZ탐사] 떼카·기프티콘 셔틀…‘카톡 감옥’에 갇힌 아이들. 아시아투데이.
전승엽. (2021.02.22). [이슈 컷] 그들만의 리그 '클럽하우스'…소수를 위한 권력화된 SNS인가. 연합뉴스.
전정윤. (2018.04.03). 페북에 번진 ‘로힝야 증오’가 야만적 인종청소 불질렀다. 한겨레.
전채은. (2019.04.05). 페이스북, 또 정보유출…사용자 정보 5억건 무방비 노출. 동아일보.
하현종. (2020.02.25). [스브스뉴스] SNS의 순기능?…코로나19 덮친 대구서 벌어지고 있는 일. SBS.
한승곤. (2019.12.25). "인스타에 올려야지" SNS에 갇힌 청춘들. 아시아경제.
허윤철. (2020). 뉴스 리터러시가 가짜뉴스의 영향력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짜뉴스 범위 인식의 조절 효과. 한국언론정보학보, 제101호: 506~534. DOI: 10.46407/kjci.2020.06.101.506.
허정원. (2020.11.25). ‘330만명 학력•연애상태 개인정보 유출’ 페이스북 형사고발…과징금 67억. 중앙일보.
황성욱, 박재진. (2011).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심리적 문제점 요인 분석. 광고연구, 제91호: 68~95.
황태호. (2021.02.19). “고객 불만에서 답을 찾아야”… 정용진의 소통경영. 동아일보.
Boyd, D. M., & Ellison, N. 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Pmg 지식엔진연구소. (2020.03.25검색). 가짜뉴스.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제공.
Pmg 지식엔진연구소. (2020.11.26). 아이스버킷챌린지.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제공.
*병*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소셜미디어의 기능 및 성격과 규제 방안 8페이지
    소셜미디어의 순기능과기능 1. ... 소셜미디어의 순기능과기능 1. 표현의 자유의 양면성 2. ... 조성은 외(공저), 『소셜 미디어의 이용 유형과 사회적 순기능·역기능』,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SNS 순기능과 역기능의 논고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