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열역학 원자력발전소 설계

도레이몽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6.16
최종 저작일
2021.06
5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열역학 원자력발전소 설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발전기술의 현황
(2) 여러 가지 발전기술의 방법

2. 본론
(1) 원자력 발전 원리와 구조의 설명
(2) 원자력 발전소 선정 시 고려사항
(3) 원자력 발전의 장점과 단점

3. 설계
(1) 부지선정
(2) 공정도
(3) 원자로 장치
(4) 발전소 system 및 장치규모 계산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발전기술의 현황
1) 태양열 발전의 현황
국내 신재생 에너지원 중 태양열에너지는 가장 역사가 오래된 에너지원 중 하나이지만, 긴 역사에 비해 발전 및 시장은 부족한 상태다.. 1990년대 태양열 온수기 붐이 일어났을 때는 보급률이 높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며 감소하였다. 그 결과 2015년 기준으로 세계시장 보급량의 1%보다 적은 수준이며,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세계시장에 비해 대비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원인으로는 계절마다 일사량이 다르기에 에너지 불균형이 존재하며 건물의 미관 손상, 타 열원과 연동해야 사용 가능한 점 등을 들 수가 있다. 하지만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감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며, 국내에서도 태양열시스템 보급 확산을 계획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매년 11.6% 그리고 2030년까지 매년 6.9%의 태양열 시스템을 보급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2) 태양광 발전의 현황
국내 태양광 발전은 2020년 기준 총 77028개의 태양광발전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국내 전체 발전설비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9년 125,338MW(125.3GW)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지난 2010년 의 생산량인 76,079MW에 비해 64.7%가 증가한 수치이다. ​

<중 략>

(1) 원자력 발전원리와 구조의 설명
1. 원자력 에너지
U(우라늄) 같은 원자핵이 중성자를 흡수하게 되면 원자핵이 쪼개지게 된다. 이를 핵분열이라 한다. 원자핵이 분열시 큰 에너지와 함께 2개 또는 3개의 중성자가 나오게 된다. 중성자가 다른 원자핵과 부딪치게 되면 그 이후에 다시 핵분열이 일어난다. 이것이 계속 반복되는 핵분열 연쇄반응을 통해 원자력을 얻게 된다. 여기서 핵분열 에너지는 상대성이론을 기초로 하고 있다. 핵분열 전과 후에 무게 차이만큼 에너지가 발생한다는 원리다.

E = energy
m = 물체가 정지한 질량
c = 빛의 속도

참고 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2454&cid=40942&categoryId=32375
http://recloud.energy.or.kr/present/sub3_1_1.do
https://www.doopedia.co.kr/m/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2026 <website>
https://www.knrec.or.kr/business/windpowerTF_internal.aspx
https://steemit.com/kr-science/@kunastory/6hkfad
https://www.kwater.or.kr/website/tlight/sub01_05.do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02858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thole&logNo=220282810219&proxyReferer=http:%2F%2F203.233.19.108%2F
https://www.kwater.or.kr/gov3/sub03/annoView.do?seq=3778&s_mid=1664&x=0&y=0
https://blog.kepco.co.kr/912
국제신재생에너지기구(IRENA) - 「지열발전 기술동향 보고서」
김범주, 「국내외 지열발전 기술동향」 ,2012
산업통상자원부 「우리나라 지열에너지 이용 현황」
그린홈(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수급통계」,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에너지통계연보」 2021
한국중부발전 「화력발전의 원리」
World Energy Outlook 2014, OECD/IEA, 2014
World Nuclear Spotlight, WNA, 2015
www.iaea.org
www.keei.re.kr/main.nsf/index.html
www.khnp.co.kr
http://www.kaif.or.kr/?c=nws&s=6_2
정석진,「그린에너지와 환경촉매」
http://scienceon.hani.co.kr/39597
원자력 발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전 신규건설 예정 지역 중심으로
도레이몽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열역학 원자력발전소 설계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