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A+][레포트] 의생명공학에서의 고분자 응용 레포트 (고분자 공학)

Xylon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6.30
최종 저작일
2021.05
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의생명공학분야에서의 고분자가 쓰이는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고분자 관련한 과목을 수강 중이시면,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도 자세히 기입했으니, 천천히 읽어보시면 이해하는데 지장이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2020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된 COVID-19은 현재까지도 우리의 일상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많은 나라가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힘쓰고 있다. COVID-19의 전 세계적 유행으로 비교적 평균적인 백신개발 시간에 비해 발 빠르게 몇몇 백신이 개발되었는데, 그중 눈에 띄는 백신은 모더나사와 파이저사의 mRNA백신이다. 전통적인 백신의 형태는 약화된 항원 형태의 생백신이나 비활성화된 항원 형태의 사백신을 투입하여 항체를 생성한다. mRNA백신의 경우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유전정보를 mRNA를 통해 전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함으로써 항체를 생성해낸다. 여기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면, 코로나바이러스의 병원성은 바이러스가 가지는 단백질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데, 이중 스파이크 구조단백질은 숙주세포와 특이적 결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은 항원이 숙주세포와 상호작용 하는 것을 방지하여 면역을 이루도록 하는 중화항체의 표적이 된다. mRNA백신은 병원체의 유전자 정보만 알면 빠르게 제조할 수 있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유전자 정보만 알 수 있다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참고 자료

Paul J. Flory, “Principles of polymer chemistry”, Cornell university press(1953)
Robert J. Young and Peter A. Lovell, “Introduction to Polymers(3rd)”, CRC press
CAS, “Understanding the nanotechnology in COVID-19 vaccines”,
https://www.cas.org/resource/blog/understanding-nanotechnology-covid-19-vaccines
berthub.eu, “Reverse Engineering the source code of the BioNTech/Pfizer SARS-CoV-2 Vaccine”,
https://berthub.eu/articles/posts/reverse-engineering-source-code-of-the-biontech-pfizer-vaccine/
“Exploring the Supply Chain of the Pfizer/BioNTech and Moderna COVID-19 vaccines”,
https://blog.jonasneubert.com/2021/01/10/exploring-the-supply-chain-of-the-pfizer-biontech-and-moderna-covid-19-vaccines/
동아사이언스, “mRNA는 어떻게 백신으로 개발되었고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43509
Linares-Fernández, S., Lacroix, C., Exposito, J.-Y., & Verrier, B., “Tailoring mRNA Vaccine to Balance Innate/Adaptive Immune Response”, Trends in Molecular Medicine(2019),
https://sci-hub.se/10.1016/j.molmed.2019.10.002
조선일보, “화이자 백신의 비밀 공개 됐다… 60일 제조 공정의 모든 것”,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1/05/03/KEGAAQOQ2FFFXLRLGVAKD5NCLM/
CDC, “COVID-19 전파 경로”,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prevent-getting-sick/how-covid-spreads.html
HIT News, “코로나19, 바이러스벡터 백신·RNA 백신의 차이점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20
위키피디아, “RNA 백신”,
https://ko.wikipedia.org/wiki/RNA_%EB%B0%B1%EC%8B%A0 Wellcome, “Seven vital questions about RNA Covid-19 vaccines”,
https://wellcome.org/news/seven-vital-questions-about-rna-covid-19-vaccines-pfizer-biontech-moderna
Renee C. Ryals,Siddharth Patel,Chris Acosta,Madison McKinney,Mark E. Pennesi,Gaurav Sahay, “The effects of PEGylation on LNP based mRNA delivery to the eye”, PLOS ONE(2020),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241006
위키피디아, “코로나19 범유행”,
https://ko.wikipedia.org/wiki/%EC%BD%94%EB%A1%9C%EB%82%9819_%EB%B2%94%EC%9C%A0%ED%96%89#%EC%9B%90%EC%9D%B8
BBC, “코로나 백신: 6가지 질문으로 알아보는 백신의 모든 것”,
https://www.bbc.com/korean/features-55761667
위키피디아, “중화 항체”,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D%99%94_%ED%95%AD%EC%B2%B4
RESEAT, “의약품의 Pegylation 효과”,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019&atchFileId=ed2fb7c12494490f90a43
93c79423e41&fileSn=1&bbsId=(18) 강인규, 이진호, 박기동, 김수현, 나재운, 한동근, 노인섭, “의료용 고분자의 현황과 미래”,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2016),
https://www.cheric.org/PDF/PST/PT27/PT27-5-0544.pdf
RESEAT, “생체 응용을 위한 고분자 Smart 소재”,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019&atchFileId=8b6a95599e9441e9b523feb857fc7694&fileSn=1&bbsId=
위키피디아, “Pegylation”,
https://en.wikipedia.org/wiki/PEGylation
Üzgün, S., Nica, G., Pfeifer, C., Bosinco, M., Michaelis, K., Lutz, J.-F., … Rudolph, C., “PEGylation Improves Nanoparticle Formation and Transfection Efficiency of Messenger RNA”, Pharmaceutical Research(2011),
https://sci-hub.se/10.1007/s11095-011-0464-z
Wu, J., Zhao, C., Lin, W., Hu, R., Wang, Q., Chen, H., … Zheng, J., “Binding characteristics between polyethylene glycol (PEG) and proteins in aqueous solution”,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B(2014),
https://sci-hub.se/https://doi.org/10.1039/C4TB00253A
롯데케미칼, “PEG”,
https://www.lottechem.com/kor/prdt-intro/prdt-detail/C207/view.do?prdtCd=C333
KCA, “이슈 추적, 진실은 이렇다!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편”,
https://kcia.or.kr/pedia/sub03/sub03_01.php?type=view&no=296
김진구, “약물전달시스템으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반 세바스산 디아크릴레이트 마이크로젤 개발”, Polymer(2015),
https://www.cheric.org/PDF/PK/PK39/PK39-4-0677.pdf
KiSTi, “음이온성 지질을 포함한 지질나노입자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http://society.kisti.re.kr/sv/SV_svjscj03L.do?method=popup&jats=JCGMDC_2008_v52n3_266
David C. Litzinger, Antoinette M.J. Buiting, Nico van Rooijen, Leaf Huanga, “Effect of liposome size on the circulation time and intraorgan distribution of amphipathic poly(ethylene glycol)-containing liposomes”, ScienceDirect(1994),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0005273694900388?via%3Dihub
이정은, 김은혜, 임덕휘, 정석현, 정규성, 신병철, “음이온성 지질을 포함한 지질나노입자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Journal of Korean Chemical Society(2008),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802727132911.pdf
Seki, J., Sonoke, S., Saheki, A., Fukui, H., Sasaki, H., & Mayumi, T., “A nanometer lipid emulsion, lipid nano-sphere (LNS®), as a parenteral drug carrier for passive drug targe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2004),
https://sci-hub.se/https://doi.org/10.1016/j.ijpharm.2003.12.022
ScienceDirect, “Pegylation”,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pharmacology-toxicology-and-pharmaceutical-science/pegylation
이상곤, “암 나노기술: 현대 암 생물학 시대에서 수동, 능동적 약물 표적화의 영향”, BRIC,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report&id=2371
오준용, 심유정, 양경석, 유자형, “나노메디신에서 단백질 코로나 효과”, 고분자 과학과 기술(2020),
https://www.cheric.org/PDF/PST/PT31/PT31-2-0129.pdf
김범상, “약물 전달시스템(DDS)과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PEG를 포함한 지능형 고분자 하이드로젤의 응용”,Bioin(2006),
https://www.bioin.or.kr/board.do?cmd=view&bid=tech&num=2096
IBS, “코로나19 과학 리포트 2”,
https://www.ibs.re.kr/cop/bbs/BBSMSTR_000000001003/selectBoardArticle.do?nttId=19602
Duncan, R., “The dawning era of polymer therapeutics”,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2003),
https://sci-hub.se/https://www.nature.com/articles/nrd1088
오은주, 양정아, 양승윤, 김진곤, 한세광, “단백질 의약품의 약물전달시스템”,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2007),
https://www.cheric.org/PDF/PST/PT18/PT18-5-0444.pdf(37) 이환규, “고분자 기반 약물전달체의 구조적 특성, 지질막 상호작용 및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분자모델링 연구”,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2014),
https://www.cheric.org/PDF/PST/PT25/PT25-6-0514.pdf
곽승화, “약물전달시스템의 최신 연구 동향”, BRIC(2019),
https://www.bioin.or.kr/board.do?cmd=view&bid=tech&num=291105
Mishra, P., Nayak, B., & Dey, R. K., “PEGylation in anti-cancer therapy: An overview”, As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2016),
https://sci-hub.se/https://doi.org/10.1016/j.ajps.2015.08.011
동아사이언스, “전문가들 화이자·모더나 백신 부작용 원인으로 PEG 성분 지목”,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42593
김유경, 이선민, 김단비, 노강민, 오근상, 조성훈, 최은표, 김규표, 허강무, “암 치료를 위한 Poly(ethylene glycol)-Doxorubicin/SPION 자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 특성분석”, Polymer(2018),
https://www.cheric.org/PDF/PK/PK42/PK42-6-1059.pdf
김현철,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DDS) 연구동향”,
https://www.bioin.or.kr/fileDown.do?seq=1866
위키피디아, “독소루비신”,
https://ko.wikipedia.org/wiki/%EB%8F%85%EC%86%8C%EB%A3%A8%EB%B9%84%EC%8B%A0
권익찬, “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 기술”,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2010),
https://www.cheric.org/PDF/NICE/NI28/NI28-2-0177.pdf
배진우, 박기동, “이중 리간드를 이용한 암 표적지향의 최근 연구동향”, Biomaterials Research(2012),
https://www.ksbm.or.kr/pub/16%20(3)%20112-115.pdf
김지선, 이정유, 오미화, 조성덕, 남윤성, “약물, 유전자, 진단성분의 생체 내 전달을 위한 마이셀 및 나노에멀젼”,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https://www.cheric.org/PDF/PST/PT23/PT23-2-0174.pdf
약사공론, “독소루비신 성분제제, 간질성 폐렴 이상반응 추가”,
https://www.kpanews.co.kr/academy/show.asp?search_cate=10&idx=539
RESEAT, “임상시험 중이거나 항암제로 사용되는 PEG 접합체”,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019&atchFileId=ed4f3a6951174c6a8d4ea41c9523adf9&fileSn=1&bbsId=
Bailon, P., Palleroni, A., Schaffer, C. A., Spence, C. L., Fung, W.-J., Porter, J. E., … Graves, M., “Rational Design of a Potent, Long-Lasting Form of Interferon: A 40 kDa Branched Polyethylene Glycol-Conjugated Interferon α-2a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Bioconjugate Chemistry(2001),
https://sci-hub.se/10.1021/bc000082g
PEDIAA,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Peginterferon Alfa 2A and 2B”,
https://pediaa.com/what-is-the-difference-between-peginterferon-alfa-2a-and-2b/Rajender Reddy, K., Modi, M. W., & Pedder, S., “Use of peginterferon alfa-2a (40 KD) (Pegasy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2002),
https://sci-hub.se/https://doi.org/10.1016/S0169-409X(02)00028-5
“Pegylation of Interferon Alfa: Structural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Seminars in Liver Disease(2003),
https://sci-hub.se/10.1055/s-2003-41635
Peter L. Turecek, Mary J. Bossard, Freddy Schoetens, Inge A. Ivens, “PEGylation of Biopharmaceuticals: A Review of Chemistry and Nonclinical Safety Information of Approved Drug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2016),
https://jpharmsci.org/article/S0022-3549(15)00130-6/pdf “Peginterferon Alfa-2b”,
https://www.pmda.go.jp/files/000223160.pdf
위키피디아, “Peginterferon alfa-2b”,
https://en.wikipedia.org/wiki/Peginterferon_alfa-2b
Michael J Grace, David Cutler, “Pegylating IFNs at His-34 improves the in vitro antiviral activity through the JAK/STAT pathway”, Antiviral Chemistry & Chemotherapy,https://www.intmedpress.com/servefile.cfm?suid=ec319bbb-559e-4120-ae98-db2aee5d0fe5
“Pancreatic islet xenotransplantation: Barriers and prospects”,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Cognate-versus-noncognate-interactions-with-donor-target-cells-Cognate-refers-to-a_fig1_10656969
류원석, 이성준, 최원규, 이상섭, 이지열, “PVA 겔(gel)”,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2002),
https://www.cheric.org/PDF/NICE/NI20/NI20-2-0143.pdf
오세행, 이진호, 임천수, “생체적합성 폴리비닐알콜계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101091575B1/ko
권순범, 이항렬, “다양한 성분을 함유한 하이드로겔의 상업적 이용”, 바이오산업연구(2019),
http://www.ejbb.org/archive/view_article?pid=jbb-7-0-12
위키피디아, “Polydimethylsiloxane”,
https://en.wikipedia.org/wiki/Polydimethylsiloxane
위키피디아, “Direct process”,
https://en.wikipedia.org/wiki/Direct_process
“The Müller-Rochow Synthesis of Chloromethylsilanes”,
https://chemiedidaktik.uni-wuppertal.de/fileadmin/Chemie/chemiedidaktik/disido/en/info/m_fact/mrochow.htm
Xylon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소개
회원 소개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시험자료, 공학/기술, 자연과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논문형식 A+] BINT MIND 동향 분석 8페이지
    BT-IT-NT 융합기술 생명공학기술(BT), 정보통신기술(IT), 나노기술 ... ,농산물 품종 개량 등 유전자 정보를 고부가가치 산업에 활용하기 위하여 생명공학 ... 나노 기술(NT)을 근간으로 하는 바이오 기술(BT)+정보통신 기술(IT)
  • 한글파일 DNA 추출 및 PCR 결과 확인 21페이지
    그는 초창기 생명공학 회사였던 시터스(Cetus)의 연구원이었으며 우연찮게 ... 펜토오스(5탄당으로, 리보오스 또는 디옥시리보오스)와 인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 실험보고서 Experiment Report 교과목명 일반 생물학의 이해 및
  • 한글파일 추출 (Extraction) 예비 7페이지
    화공 실험 REPORT 학과 : 응용 화학공학과 제목 : 카 페 인 추 출 ... 따라서 고혈압 환자는 커피를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 옆의 그림처럼 분자식으로 분자량 212.21의 화학물질이다.
  • 한글파일 화공기초실험-TG - DTA / DSC 19페이지
    화공생명공학기초실험Ⅰ (Basic Experiment Chemical & ... technique으로 알려진 EGA(Evolved Gas Analysis)기술은 고분자의 ... 일 실험 Main report) 제출일 200x. x. x 담당조교 x 조교님
  • 파워포인트파일 [바이오센서]바이오센서 (Bio Sensor) 21페이지
    농축산학 화학 화학 환경공학 환경공학 신약개발기술 유전체응용기술 천연물 ... 분리정제기술 생물학적 오염처리기술 유전자 치료 인공장기 개발 품종개량기술 생명공학 ... 생물컴퓨터, Nano robot, Rap on a chip, Nano machine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A+][레포트] 의생명공학에서의 고분자 응용 레포트 (고분자 공학)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