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안 제시

LawjinK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10.24
최종 저작일
2021.06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안 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논의 2
1. 아동학대의 정의 2
2. 아동학대 방지 법안과 아동학대 현황 2
3. 선행연구 검토 및 한계성과 기존연구와의 차별성 7
4. 연구모형 9

III. 교육제도 분석 11
1. 대한민국의 아동학대예방교육제도 11
2. 국외의 아동학대예방교육제도 12
(1) 미국 12
(2) 스웨덴 14
3. 아동학대예방교육제도의 차이점과 대한민국 아동학대예방교육제도의 한계 15

IV. 시사점 및 해결방안 17

V. 결론 19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근래 연이어 아동학대가 발생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보도된 큰 사건들로는 정인이 사건, 인천 8살 여아 학대살해 사건, 인천 국공립 어린이집 집단 아동학대 사건 등 많은 사건들이 보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아동학대 방지를 위해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있으며 이는 2014년 칠곡 계모 아동학대 사망사건이후 국회에서 새로이 입법되었고 2014년에 공포, 실행되고 있으며 근래 아동학대 범죄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문제화됨에 따라 국회는 다시금 2021년 1월『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일부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나아가 아동학대예방센터 운영 등 제도적 측면에서도 아동학대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이러한 법적, 제도적 제재는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아동학대사례는 30,045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약 6000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며 실제로 2015년에서 2017년에도 해 년마다 약 평균 4,000건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아동학대 사례 외에 아동학대의 재학대 사례 건수도 늘어나고 있다. 2016년 기준 1,591건이던 재학대 사례 건수는 2019년 3,431건으로 약 2000건이 증가하였으며2 이를 통해 아동학대의 법적 제재, 형량 증가, 혹은 제도적 측면만 바뀐 것으로 아동학대 문제에 별다른 기여는 하고 있지 않다고 파악된다.
본 연구에 있어서 아동학대에 대한 법적 제재나 처벌 등은 그저 사후처리적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아동학대예방에 효용성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현재 아동학대 정책들과 법안들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국외의 사례들과 비교하여 아동학대를 사전에 예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논의
1. 아동학대의 정의
본 연구에 있어 대한민국에서 아동학대에 하여 법적, 사회적으로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정리해 보겠다. 우선, 아동이란 『아동복지법』 제 3조 제1호에 따르면 ‘18세 미만의 자’로 정의하고 있으며, 『아동복지법』 제 3조 제7호에 따르면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 자료

김경수. 2018.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대학원 법학석사 학위논문
김은정. 2015. 아동학대 현황과 예방정책. 『보건복지포럼』2015년 3월 통권 제223호. 31-43(12pages)
나경태. 2020. 아동학대범죄 현황과 근절을 위한 정책 방향. 『 이슈리프 』2020-08. 15-26(11pages)
박세경, 서문희, 강주희, 서영숙, 진미정, 노성향. 2005. OECD 국가와 한국의 아동보호체계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2005-14호
박언하. 2018. 한국의 아동학대예방 정책의 개선방안: 외국의 아동학대예방 정책분석을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제7권 제1호. 331-354(23pages)
배화옥. 2004. 아동학대 재발생의 유형과 요인에 대한 다변량 생존분석. 『한국아동복지학』 제18호. 63-83(21pages)
배화옥, 강지영. 2020. 아동학대 재발생 특성과 관련요인 연구: 일회재학대와 반복재학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69권 제3호. 145-171(27pages)
서은주, 박혜인. 1994. 아동학대의 발생현황과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 『科學論集(Journal of Living Science Research) 』 Vol.20 No.-[1994]. 11-26(16pages)
양영임, 우남희. 2005. 아동권리보호를 위한 외국의 아동정책연구. 『아동권리연구』제9권 제4호. 661-690(30pages)
윤혜미, 고미영, 장화정. 2013. 아동학대 재발방지를 위한 이야기 치료 기반의 가족치료 접근. 『한국가족복지학』 No.41. 55-86(32pages)
이경은, 김도희. 2019.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등에 관한 특례법 전후의 아동학대인식 변화에 대한 고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제19권 제9호. 629-636(8pages)
이세원. (2018). 한국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입법적·사법적 관점에서의 변화과정연구. 『보건사회연구』 Vol.38 No.3. 217-246(30pages)
이인곤. 2020. 아동학대범죄의 예방에 관한 한국적 실효성 확보방안: 선진외국프로그램 응용 및 발전적 도입방안 중심으로. 『법이론실무연구』 제8권 제2호. 125-167(43pages)
이인선·윤덕경·이미정·김소영·장화정·강지영. 2013.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부모교육제도화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이주희, 이양희. 2000. 아동 및 부모특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아동과 권리(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 Vol.4 No.2. 113-123(11pages)
정선영. 2016. 아동학대의심사례 발생율과 지역사회 특성의 관계. 『사회과학연구』제32집 제4호. 1-19(19pages)
홍미, 김효진. 2007. 아동학대 및 방임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Vol.128. 47-59(13pages)
Ingmar Angman, Marie Gustafsson. 2011. Combating child abuse and neglect in Sweden. Regionförbundent örebro.
Joan M. Blakey, Jeffry W. Thigpen. 2015. Play it safe!®: a school-based childhood physical an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Adolescent and Family Health.
http://cjtimecare.cjkids.or.kr/?module=file&act=procFileDownload&file_srl=3271&sid=e67d86b41811304e349c50e868ca412c&module_srl=164
KOSIS 국가통계포털. 2021. 범죄·안전 학대피해아동보호현황
https://kosis.kr/index/index.do
Child Welfare Information Gateway. 2021. Parent Education programs.
https://www.childwelfare.gov/topics/preventing/preventionprograms/parented/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LawjinK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안 제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