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자신이 겪어 본 적이 있거나, 일상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착시현상에 대해서 기술하고, 관련된 지각 및 감각 이론에 대해서 논하시오.

황장군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10.02
최종 저작일
2021.12
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자신이 겪어 본 적이 있거나, 일상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착시현상에 대해서 기술하고, 관련된 지각 및 감각 이론에 대해서 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본론 1
1. 착시의 사전적 정의
2. 착시현상을 활용한 다이어트 성공효과

Ⅲ. 결론 4

본문내용

Ⅰ. 서론
학점은행제를 하겠노라고 다짐한 순간부터 가장 고민되었던 것은 누구나 그러겠지만 전공을 선택하는 일이였다. 최근 몇 년간 오랜 직장생활을 해오며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해 살기위해 파고들었던 분야가 심리학이였기 때문에 내가 좋아하는 것과 내가 해야하는 것 사이에서 나름의 치열한 고민을 했던것같에. 결국 해야만 하는 것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지만, 그래서인지 심리학 수업은 더 귀하고 흥미로운 수업이 아닐수 없었다.
착시(Optical illusion 또는 Visual illusion)란 사전적 의미로 시각 이미지가 실제 사물의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것으로 우리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또는 인지조차 하지 못 할 정도로 익숙해져버린 개념이 되 버린 것 같다. 뭔가 특별하게 서술해보고 연구해 볼만한 착시현상이 없을까...그 이야기를 이제 시작해보려 한다.

Ⅱ. 본론
1. 착시의 사전적 정의
주변의 다른 정보의 영향으로 시각 자극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사물에 대한 시각적인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 착시이다. 중요한 착시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첫 번째는 사물의 이미지를 시각이 받아들이면서 시각 자체가 착각을 일으키는 생리적(물리적) 착시이다. 이것은 글자나 그림 자체가 구분하기 어려워서 혼동하기 쉽게 표현되어 있거나, 명암, 기울기, 색상, 움직임 등의 특정한 자극의 과도한 수용으로 인해 착각을 일으키는 착시 현상이다. 두 번째는 뇌가 눈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무의식적으로 추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적인 착시이다. 이것은 시각이 받아들인 정보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뇌가 착각을 일으키는 착시 현상이다.

참고 자료

《개정판 심리학의 이해》, 김정희 외 공저, 학지사, 서울, 2000, pp 83~84
David Eagleman (2001) Visual Illusions and Neurobiology. Nature Reviews Neuroscience. 2(12): 920-6. (pdf)
Gregory Richard (1997) Knowledge in perception and illusion. Phil. Trans. R. Soc. Lond. B 352:1121-1128. (pdf)
Purves D, Lotto B (2002) Why We See What We Do: An Empirical Theory of Vision. Sunderland, MA: Sinauer Associates.
Purves D, Lotto RB, Nundy S (2002) Why We See What We Do. American Scientist 90 (3): 236-242.
Purves D, Williams MS, Nundy S, Lotto RB (2004) Perceiving the intensity of light. Psychological Rev. Vol. 111: 142-158.
Renier, L., Laloyaux, C., Collignon, O., Tranduy, D., Vanlierde, A., Bruyer, R., De Volder, A.G. (2005). The Ponzo illusion using auditory substitution of vision in sighted and early blind subjects. Perception, 34, 857–867.
Renier, L., Bruyer, R., & De Volder, A. G. (2006). Vertical-horizontal illusion present for sighted but not early blind humans using auditory substitution of vis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68, 535–542.
Yang Z, Purves D (2003) A statistical explanation of visual space. Nature Neurosci 6: 632-640.
황장군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자신이 겪어 본 적이 있거나, 일상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착시현상에 대해서 기술하고, 관련된 지각 및 감각 이론에 대해서 논하시오.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