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간호연구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관련 연구계획서

간호수수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10.21
최종 저작일
2022.04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간호연구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관련 연구계획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내용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

2.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내용(메타버스를 활용한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들의 간호불안과 감염예방환경이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019년 12월부터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는 다수의 원인미상 폐렴 환자가 발생하였고 신종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음을 공개하였다(Lu 등, 2020). 2020년 3월 11일 전세계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ronavirus Disease 2019, 이하 COVID-19) 대유행에 직면하게 되면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Pandemic을 선언한 이후(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2021년 5월 29일 현재 전세계 확진자 168,777,174명, 사망자는 3,507,474명에 이르고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1). 국내에서도 2020년 1월 20일 처음으로 COVID-19 확진 환자 발생 이후 현재 확진자 129,633명, 사망자 1,891명으로 집계되고 있다(KCDC, 2021).
COVID-19 확진자 발생이 지속되고 장기화가 되는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체감되는 신종감염병에 대한 공포는 커질 수 밖에 없다. COVID-19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확진환자를 간호하기 위하여 간호사들은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현장에 배치되거나 파견되어 환자 간호에 참여하고 있다(송명숙, 2021). 특히 신종감염병 대응의 최전선에서 직접적으로 환자를 간호하는 신종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는 신종감염병 노출 기회가 더 많기 때문에 신종감염병에 대한 두려움과 스트레스, 걱정은 크다고 할 수 있다(전경자, 최은숙, 2016). 신종감염병 대유행 시 간호사들이 느끼는 불안, 스트레스, 과도한 긴장감, 심리적 갈등 등은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 거부와 이직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이지연, 2018). 이는 추후 신종감염병 발생 시 해당 문제들이 더 가중될 우려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참고 자료

한국판 뉴딜 2.0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관계부처합동 대한민국 대전환 한국판 뉴딜(https://www.knewdeal.go.kr/)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 (1993).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표준화.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1, 505-511.
구효훈 (2017).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에 투입된 간호사 피로도 요인: 메르스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권민아 (2021).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행.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김은지 (2020). 병원간호사의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가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경기.
김유정 (2020).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김지영 (2017). 메르스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10), 185-196.
서상철 (2020). 개인보호구 지급 프로세스 개선방안.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안진선, 김연하, 김민주 (2015).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노출 예방행위 수행정도와 영향요인. 근관절건강학회지, 22(1), 40-47.
유혜라, 권보은, 장연수, 윤현경 (2005). SARS 환자간호 의도예측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5(6), 1063-1071.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04). 의료기관평가 지침서. http://www.koiha.kr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7). 한국의 환자안전문화 측정 . http://www.koiha.kr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9). 의료기관 인증제도. http://www.koiha.kr
이지연 (2018). 간호사의 신종 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조정아, 정소희, 소천, 난기남(1999). 직장인의 스트레스 양과 정신건강상태와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2(2) P.167-175.
차봉석, 장세진, 이명근, 박종구(1989). 산업장 근로자의 직업성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22(1) p.90-101.
의협신문 (2021). http://www.doctorsnews.co.kr
중앙방역대책본부·중앙사고수습본부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지차체용] 제1-1판
http://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7020000&bid=0019질병관리본부 (2017).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http://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7020000&bid=0019질병관리청 (2021). http://www.kdca.go.kr
한국질병관리본부(KCDC)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보도자료. http://ncov.mohw.go.kr/tcmBoardList.do?brdId=3
한국질병관리본부(KCDC) (2021). http://www.kdca.go.kr/
Zhang, Y. (2021). 코로나19 예방행위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건강신념모델(HBM)의 적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임유나(2021).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영향요인 :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논산 : 건양대학교 대학원.
공도안(2022). 메타버스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 콘텐츠 개발 :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 경의대학교 경영대학원.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Arthur, D. (1990).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es. Newcastle University
master’s thesis. London.
Han, E. O. & MOON, I. (2009). A model for protective behavior against the harmful effects of radi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medical centers.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34(3), 95-101.
Lee, D. H. (2020). ‘Seoul Metropolitan Area RO exceeded 2.23...1,200 corona patients could come'.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112611270558116#0DKU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4).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epidemic and pandemic prone acute respiratory diseases in health care, WHO interim guidelines.
http://www.who.int/csr/resources/publications/WHO_CDS_EPR_2007_6/en/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0). https://www.who.int/
간호수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간호연구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관련 연구계획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