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다중멤버십 사례연구를 통한 아프리카 지역통합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연구

*유*
최초 등록일
2023.03.11
최종 저작일
2021.11
1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7,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석사과정 중 아프리카 정치경제 수업에서 제출한 최종 레포트로서 해당과목은 A+를 받았습니다.
국제관계, 아프리카지역분석, 정치경제, 비교정치 및 사례연구에 대해 궁금하실때 열람해보시면 좋은 레포트입니다.

아프리카 지역통합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해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다중멤버십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다루었습니다.

아프리카 지역분석 시 흔히 사용되는 범 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라는 이론적 토대를 기반하여 아프리카 대륙 내 다수 존재하고 있는 지역경제공동체의 역할과 이를 통한 아프리카연합의 지역통합을 위한 노력, 그리고 복수의 지역경제공동체에 속해 있는 '다중멤버십'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현재 아프리카 지역의 이슈인 아프리카대륙 자유무역협정(AfcFTA)에 대해서도 다루어져 있습니다.

각 근거로 활용된 자료들이 각주로 잘 정리되어 있고, 참고자료 또한 정리되어 있어 기타 연관된 자료를 추가로 찾아보시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결론부분은 저작자의 주관적인 견해이긴 하지만, 구매자님의 새로운 인사이트를 도출하는데 적극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1. 서론

2. 범 아프리주의와 아프리카 정치경제
1) 아프리카 지역경제공동체의 역할과 지역통합
2) 아프리카 지역경제공동체(RECs)와 다중멤버십

3.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다중멤버십 사례연구
1) 서아프리카 지역통합 과정
2) ECOWAS의 다중 멤버십 현황
3) ECOWAS 역내 교역량 변화와 분석

4. 결론-아프리카 지역통합의 한계와 가능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프리카에는 현재 AU산하에 공식적으로 8개, 그 외 7개로 총 15개의 지역경제공동체(이하 RECs, Regional Economic Community)가 존재한다. 아프리카에 있어 RECs는 아프리카의 경제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아프리카 경제공동체(이하 AEC, African Eoconomic Community)가 실현되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제도이기도 하다. RECs는 권역 내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아프리카 국가들 대부분은 2∼5개의 RECs에 가입되어 있는데, 그만큼 각 회원 국가들은 REC가 자국을 위한 경제장벽을 낮춰주어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이 8개의 RECs를 아우르는 역내 자유무역협정인 아프리카대륙 자유무역지대 협정(이하 AfCFTA,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greement)이 지난 2019년 5월 30일에 발효되었다. 이는 아프리카연합의 Agenda 2063 즉, 세계 속에서 아프리카의 자주적인 통합과 번영, 평화를 지향하며 향후 50년간 주요 의제를 담은 아프리카연합의 발전전략의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이는 아프리카의 사회 및 경제통합을 추구하는 아프리카경제공동체 구성을 위한 프로젝트이다. 지난 1991년 아부자조약(Abuja Treaty)에 따라 AEC 다시 말해, 아프리카에 현존하는 권역별 아프리카 지역경제공동체 8개를 하나로 묶어 공동시장을 추진하는 것이 모태가 되어 추진되었다. AfCFTA에는 아프리카 연합 55개국 회원국 중 에리트리아를 제외한 54개국이 가입되어 있고 아프리카 대륙의 12억명 인구가 참여하고 있다는 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1995년 WTO 출범 이후 역대 가장 큰 규모의 자유무역지대라는 점에서 아프리카의 역외 수출 구조에 변화를 주고, 기존 RECs의 경제통합 수준 차이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며 역내교역 확대를 통해 전반적인 아프리카의 산업 발전을 촉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 자료

김성수. 『현대아프리카의 이해』 (서울: 명인문화사, 2020).
김성수. 『새로운 패러다임의 비교정치』 (서울: 박영사, 2019).
이메뉴얼 월러스틴, 성백용 역. 『세계체제와 아프리카』 (파주: 창비, 2019).
김광수. “아프리카중심주의(Afrocentrism) 시각에서 바라본 범아프리카주의.” (2016).
서상현. “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AfCFTA)출범과 시사점.” 『POSRI 이슈리포트』 포스코경영연구원 (2019).
장윤정. 아프리카 지역통합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정재욱 외,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정의 발효 의미와 전망,” 『KIEP 세계경제 포커스』 Vol. 2 No. 17 (2019).
Desalegn D. Disassa. “Continental Free Trade Area of Africa: Challenges and Prospects” (2019).
Jagdish Bhagwati. ‘US Trade Policy: The Infatuation with FTAs’ Columbia Univerisy (1995).
Samuel O Oloruntoba, “ECOWAS and Regional Integration in West Africa: From State to Emerging Private Authority”, History Compass Vol.14 Issue 7 (2016).
Sylvanus Kwaku Afesorgobo and peter A. G. Van Bergeijk, “Measuring Multi Membership in Economic Integration and Its Trade Impact: A Comparative Study of ECOWAS and SADC”, South African Journal 82:4 (2014).
Vusi Gumede, “The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future of Regional Economic Communities”, Journal of Contemporary African Studies (2021).
AfDB, West Africa Economy Outlook (2019.
African Union, Regional Economic Communities(RECs),:https://au.int/en/organs/recs
ECDPM 웹사이트: https://ecdpm.org/talking-points/regional-organisations-africa-mapping-multiple-memberships/)
ECOWAS 웹사이트: https://www.ecowas.int/about-ecowas/basic-information/
*유*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다중멤버십 사례연구를 통한 아프리카 지역통합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