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중앙대학교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케이스스터디 갑상선절제술 간호진단2개

야옹야옹잼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3.09.28
최종 저작일
2023.04
16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중앙대학교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케이스스터디 갑상선절제술 간호진단2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병에 대한 기술(문헌고찰)
2. 진단검사
3. 수술개요
4. 수술준비과정
5. 수술과정
6. 간호과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갑상선의 기능
갑상샘은 목 앞 중앙에 위치하고 후두와 기관 앞에 붙어있는 양쪽으로 각각 한 개의 옆(lobe)가 있는 나비 모양의 내분비기관이다. 두 엽은 잘룩(isthmus)로 연결되어 있다. 갑상샘 호르몬을 분비하며 갑상샘 호르몬은 체온 유지와 신체 대사의 균형을 유지한다. 갑상샘 호르몬이 과 분비되는 갑상샘 기능 항진증은 체중감소, 빈맥 및 피로감과 불안감의 증상을 나타내고 갑상샘 호르몬의 생산이 줄어드는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만성피로, 식욕 부진, 변비, 추위 및 체중 증가의 증상을 나타낸다.

2) 정의
Benign neoplasms of thyroid gland(갑상샘의 양성 신생물)이란 가슴뼈 바로 위, 목 아래에 있는 작은 샘인 갑상샘 내에 형성되는 고체 또는 액체로 채워진 덩어리를 말한다.
갑상샘의 종양은 대부분(96%) 양성종양이다. 양성종양은 정상세포라고 할 수는 없지만, 세포들이 뭉쳐 있거나(결절) 조직액 등이 고여 물집(물혹)의 형태가 돼 있는 것이다. 이는 주변을 침범하지도 않고 다른 곳으로 퍼지지도 않지만 불편하거나 아픈 증상을 나타내고 크기가 커진다면 치료가 필요하다.
갑상선 결절은 가장 흔한 내분비 질환의 하나로 성인의 20~40%에서 발견되며 이 중 4~7%가 임상적으로 만져질 수 있다.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도 함께 증가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3~4배 더 잘 발생한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것은 양성인지 악성인지 진단하는 것이고 결절의 크기가 큰 경우 기관지 등 주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종양성 결절은 대부분 양성 결절이지만 이 중 4~25% 정도가 악성 결절로 발전할 수 있다.

3) 유형
Colloid nodules(콜로이드 결절)
정상적인 갑상샘 조직의 과증식으로 양성종양이며 암이 아니다. 크기가 커질 수는 있지만 갑상샘 밖으로 퍼지지는 않는다. 이는 가장 흔한 갑상선 결절의 유형이다.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2%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자료

Follicular Adenoma and 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2011. May).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228182/.
Konstantinos apostolopoulos. [KONSTANTINOS APOSTOLOPOULOS]. (2016, August 4). Thyroidectomy technique[Video].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i1y1RVagkfs
N 의학정보 갑상선 결절. (2017년 7월 27일). SNUH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39.
Thyroidectomy Procedure Guide-THUNDERBEAT Open Fine Jaw. OLYMPUS. https://www.olympusprofed.com/gs/thyroid/16100/.
Vikas Jain. (2016). Safe and Optimum Steps for Total / Hemi Thyroidectomy. Otolaryngology Open Access Journal. 1(2), 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윤정한. (2001) 갑상선 수술 중 반회후두신경 보존법. 대한내분비외과학회지. 1(2), 4.
이영돈. (2001). 갑상선 수술시 상후두신경의 외지(EBSLN)의 확인 및 보존 방법. 대한내분비외과학회지. 1(2), 3.
질환 관련 정보-갑상선 결절. (2017년 9월 28일). SNUH서울대학교병원. https://cancer.snuh.org/m/reservation/meddept/CIC/cancerBbsView.do?seq_no=87&searchWord=.
야옹야옹잼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중앙대학교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케이스스터디 갑상선절제술 간호진단2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