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사회복지사의 소진 완화 방안 연구 사회복지행정 관점에서

*경*
최초 등록일
2023.10.15
최종 저작일
2019.07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사회복지사의 소진 완화 방안 연구 사회복지행정 관점에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소진의 개념
2)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결론
1) 환경(제도적) 변화: 지역사회 옹호 활동
2) 조직적 맥락의 인력관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사(人事)가 만사(萬事)다.’라는 말이 있듯이 사람을 채용하고 관리하는 일은 조직의 성패를 좌우한다. 특히 사회복지는 휴먼서비스로 사람인 사회복지사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인 클라이언트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를 전달하기에 어느 조직에서 보다 인력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 현장에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복지 욕구 증대와 그에 따른 사회복지 서비스의 양적 확대로 인한 과중한 업무, 한정된 자원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아 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하는 업무 부담,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직접 전달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감정을 억제해야 하는 감정노동, 대인관계에서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 폭력과 같은 안전사각지대의 근무환경 등의 원인으로 사회복지사는 소진에 노출될 위험이 상당히 높다. 또한 저임금 ∙ 고노동 등에 따른 열악한 처우는 사회복지사들의 직업이탈이라는 문제로도 나타나고 있다(이명현, 2014).

사회복지사의 열악한 직무환경이 소진에 영향을 주며 소진은 다시 사회복지사의 질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안수진, 2014). 그리고 사회복지사는 소진으로 직무만족 저하, 우울 및 심리적 불안 등 심리적 문제와 이직의도 증가 등 조직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권순만 외, 2015).
국가인권위원(2013)의 ‘사회복지사 인권상황 실태조사’에서 사회복지사들이 보통수준의 감정 소진을 겪고 있으며 감정소진의 위험신호인 피로 신호가 64.5%, 녹초 신호 61.4%, 고갈 신호 46.4%로 나타나 소진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2013)가 실시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노동조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37.9%가 심리상담이 필요한 우울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2014)의 ‘사회복지사인력의 소진실태와 대책’ 연구에서 다수의 사회복지사가 소진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참고 자료

이명헌. (2014)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인권보호. 「사회복지법제연구」
안수진. (2014) 노인요양병원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협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순만 · 전순득 · 고재욱. 2015.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케어메니지먼트연구」
모지환,최성민,장신재, 2011,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13(2) 125-145
이영미,성규택. “한국 사회복지사의 소진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18(1) 25-60. 1991.
이은희,김경호, 2008. 사회복지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16(2) : 167-193. 이명신, 2004. 사회복지사의 소진 진행 모델「한국사회복지학회」 56(4);5-34
Maslach,C. and jackson,S.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du0t, journal of Ocupational Behaviour. 2:99-113
Freudenberger,H,J.,“Staff burnout”,journall of Social Issues, 30(1);159-165
Cherniss,C, 1980 Staff burnout: job stress in the human services London:Sage Publication,1981“Preventing burnout: from theory to Practive, 172*176
Faber,B ,1983 “Introduction: A Critical Perspective on burnout, In B.A. Faver(Ed.) Stress burnout in the human Service Professions .‘New York; Pergamon Press
Hackman,J,R.&Oldman.G.. 1976 Motivation through the des of work;test of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16:250-279
Maslach,C & ackson,S,E.m, 198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2nd ed) .Palo Alto, CA:Consulting Psygicalogists Press
*경*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사회복지사의 소진 완화 방안 연구 사회복지행정 관점에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