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문장완성 검사(SCT)

단지우유맨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3.12.26
최종 저작일
2023.12
1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문장완성 검사(SCT) 발표자료 정리
P16입니다

목차

Ⅰ. 문장완성 검사(SCT)의 정의 및 특징
1. 문장완성 검사(SCT)의 정의 및 역사적 배경
1) 문장완성 검사(SCT)의 정의 및 개요
2) 역사적 배경
2. 문장완성 검사(SCT)의 특징
3. 문장완성 검사(SCT)의 반응 유형
4. 문장완성 검사(SCT)의 실시 방법

Ⅱ. 문장완성검사(SCT)의 종류
1. Rotter의 문장완성 검사(RISB)
2. Sacks의 문장완성 검사(SSCT)
3. Rohde의 문장완성 검사(RSCM)
4. Loevinger의 문장완성 검사(WUSC)
5. 아동용 문장완성 검사
6. 인형문장완성 검사(PSCT)

Ⅲ. 문장완성 검사(SCT)의 해석
1. Sacks의 문장완성 검사(SSCT)의 해석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장완성 검사는 투사적인 방법을 이용한 검사로 내담자의 반응에 대한 검사자의 주관적 해석이 중요시 되는 검사이다. 이러한 투사적 기법의 검사는 검사자의 주관적 해석 기술에 의해 좌우되고, 또 뚜렷한 표준화도 이루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그 신뢰성이나 타당성에 대한 명확한 검증도 할 수 없는 검사라 하여 많은 심리학자들로부터 냉대를 받아왔다
(신동균, 1989).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사적인 검사는 검사 실시 방법이 제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인의 반응이 다양하게 표현되며, 이러한 반응의 다양성이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특성을 반영해 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박영숙, 2004)
모든 투사적 검사는 사실상 어떤 형태이건 피검자의 주관적 경험에 의해 ‘완성’시켜야 할 모호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기 마련이다. 로르샤하 검사와 주제통각 검사(TAT)가 모호한 형태의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여 투사를 유도한다면, 문장완성 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는 미완성된 언어(문장)를 제공하는 형태의 검사라고 할 수 있다.
문장완성 검사는 투사적 검사 중에서도 가장 간편하면서도 매우 유용한 검사 중 하나이다. 검사의 종류에 따라 문항수가 다르지만 대개 수행시간은 20∼30분 정도이며 자기보고식 검사이기 때문에 혼자서 수행할 수 있고 집단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검사 시작시 검사자는 “머릿속에 처음 떠오른 생각으로 뒤 문장을 가능하면 빨리 완성하십시오.” 라는 간단한 지시문만 제시하고, 피검자는 몇 개의 단어로 시작하는 불완전한 문장이 적혀있는 용지를 받아 그 문장들의 뒷부분을 이어서 채우면 되므로 실시가 간편하다.
구체적 문장완성 검사의 종류에 따라 내용은 다르지만 앞부분에 미리 제시된 불완전한 문장은 대체로 피검자 내면의 동기와 갈등, 중요한 인물들에 대한 정서적 태도, 그의 가치관 등이 투사될 수 있는 단서가 포함되어 있다. 검사의 목적이 어떤 특정한 감정이나 태도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 것이라면 그 목적에 맞는 문항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참고 자료

최정윤, (2011). 심리검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김명미, (1981). 정상집단과 부적응집단의 자아개념 검사 및 문장완성 검사 반응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인주, (1983). 문장완성검사의 임상적 활용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Cameron, D. E. (1938). Early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95, 567-578.
Fuller, G. B., Parmelee, W. M., & Carroll, J. L. (1982). Performance of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high school boys on the Rotter Incomplete Sentences Blank.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6, 506-510.
Gardner, J. (1967). The adjustment of drug addicts as measured by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Journal of Projective Techniques and Personality Assessment, 31,
Loevinger, J.(1979).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of ego development.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3, 281-311.
Payne, A. F.(1928). Sentence Completion. New York: New York Guidance Clinic.
Rohde, A. (1946). Explorations in Personality by the Sentence Completion Metho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0, 169-181.
Tendler, A. D. (1930). A Preliminary Report on a Test for Emotional Insigh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4, 123-136.
단지우유맨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문장완성 검사(SCT)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