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정치학] 냉정초기 미국의 대소봉쇄 전략에 대한 고찰

*인*
최초 등록일
2004.10.31
최종 저작일
2004.09
2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무료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목차

서 론

본 론
1. 랭전의 기원과 개념
2. 전후 세계질서의 변동
1)유럽에서의 봉쇄정책 배경
2)아시아에서의 봉쇄정책 배경
3. 미국의 대소봉쇄 전략
1)Kennan의 봉쇄정책
2)트루만독트린과 봉쇄정책
3)마샬플랜(Marshall Plan) 과 봉쇄정책
4)북대서양조약기구(NATO)
5)NSC - 68
4. 봉쇄정책의 실현과 그 결과

결 론

본문내용

1945년 5월 초 히틀러(Adolf Hitler)의 독일이 련합국에 굴복하자,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미국과 소련에서는 평화에 대한 기쁨이 흘러넘쳤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량국간의 동재애까지 나타났다. 트루먼은 나치 독일 심장부에서의 미군과 소련군의 '랑데뷔'를 가능하게 한 두나라 간의 협력관계를 찬양했으며, 열광한 모스크바의 군중들은 소련 주재 미국 대사관 앞에서 환호했고 대사관의 발코니에는 성조기가 휘날리고 있었다.
그러나 량국관계의 이러한 밝은 모습의 이면에는 불안한 대립 내지는 상호의심이 깊이 뿌리박혀 있었다. 즉, 유럽 전쟁을 승리로 끝낸 그날에도 미․소 관계는 승리의 합창 속에 상호 대립의 불협화음이 섞여 있는 량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량국관계에서는 협력과 조화의 경향보다는 대립과 불신의 경향이 강화되어, 종전 후에는 마침내 양국 및 그들의 동맹국들이 동․서방진영으로 나뉘어 첨예하게 대립하는 랭전체제가 형성되었다.
이렇게 미․소 관계는 1945년 3~4월 이후 점차 악화되어 갔고, 해가 바뀌어 1946년이 되면서 더욱 급격히 나빠졌다. 양측은 1945년 가을부터 1947년 초까지 외무장관 회담을 통해 간헐적으로 생산적인 협상을 이루어내기도 했다. 그러나 트루먼은 특히 1946년 3월 있은 처칠의 유명한 ‘철의 장막’연설 이후 강경한 반(반)소련 정책을 추구하고자 했다. 이후 미국의 대외정책은 대소봉쇄정책을 주된 방향으로 나가게 된다.
랭전(Cold War)이라는 말은 원래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의 미국과 소련간의 대결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였다. 따라서 그것은 근본적으로 '유럽적인' 현상이었으나, 점차 범세계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참고 자료

1) 김진웅, 「냉전의 역사」, (비봉, 1999), p.19
2) 김진웅, 「현대미국외교사」, (아세아문화사, 1987), p.299
3) 김진웅,「냉전의 역사」, p.18
4) 江口朴郞, 坂本義和편, 「冷戰(政治的 考察)」 (東京, 1963), p.20 (논문: 박성심, 미국의 대유럽 외교정책(봉쇄정책을 중심으로), 고려대, 1987, p.11에서 재인용)
5) U. S. Senat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 Staff of the Committee and the Dept. of state. American Foreign Policy: Basic Documents. 1941-1949.(N.Y.:Arno Press, 1971), pp.1252-1253 (논문: 이종욱, 미국의 대외정책에 관한 연구(봉쇄정책을 중심으로), 국방대학원, 1993, p.25에서 재인용)
6) 김진웅, 「현대미국외교사」, p.320
7) A Doak Barnett, A New U.S Policy toward China. (Washington D.C. : Brookings Institution, 1971), p.33 (논문: 이종욱, 미국의 대외정책에 관한 연구(봉쇄정책을 중심으로), 국방대학원, 1993, p.29에서 재인용)
8) 박재규, 「냉전과 미국의 對아시아 정책」, (박영사, 1978), pp.101-102 (논문: 이종욱, 미국의 대외정책에 관한 연구(봉쇄정책을 중심으로), 국방대학원, 1993, p.30에서 재인용)
9) George Kennan, "The Sources of Soviet Conduct", in Norman D. Graebner,ed, The Cold War: Idelolgical Conflict or Power Struggle (Boston:D.C. Heath and Company, 1963), pp.29-38 (논문: 정일화, 미국의 봉쇄정책과 월남전에 관한 연구(탈이데올로기 과정을 중심으로), 단국대, 1997, p.28에서 재인용)
10) 김진웅, 「현대미국외교사」, pp.317-324
11) 김진웅, 「현대미국외교사」, p.327
12) 김진웅, 「현대미국외교사」, pp.340-343
13) 김진웅, 「냉전의 역사」, pp.60-63
14) Cecil V.Crabb.jr. Policy makers and Critics (New York, 1976), pp.98-99 (논문: 박성심, 미국의 대유럽 외교정책(봉쇄정책을 중심으로), 고려대, 1987, p.39에서 재인용)
15) Thomas Daterson편, Containment and the Cold War (New Park, 1973), pp.96-108 (논문: 박성심, 미국의 대유럽 외교정책(봉쇄정책을 중심으로), p.41에서 재인용)
16) Thomas Paterson편 Containment and the Cold War (Menro Park, 1973), pp.50-51 (논문: 박성심, 미국의 대유럽 외교정책(봉쇄정책을 중심으로), p.43에서 재인용)
17) 김정배외, 「미국현대외교사」, p.115

자료후기(1)

*인*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정치학] 냉정초기 미국의 대소봉쇄 전략에 대한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