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A+ 보장!] 연세대 의대 의예과 1학년 General Biology 기말고사 대체 레포트

*남*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4.04.24
최종 저작일
2019.05
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Introduction

Ⅱ. WHY?

Ⅲ. HOW?
① 식물과 빛
② 동물과 빛
③ 인간과 빛

본문내용

Ⅰ Introduction

장편 소설 ‘새의 선물(은희경)’의 프롤로그 ‘열두 살 이후 나는 성장할 필요가 없었다.’에는 이러한 표현이 있다.
“창가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던 행운은 겨우 십여 분 동안만 유효했던 셈이었다.”

장편 연재소설 ‘비밀의 꽃(기준영)’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도 있다.
“커피를 주문하고 습관대로 창가 자리에 가 앉자 (후략)”

‘새의 선물(은희경)’과 ‘비밀의 꽃(기준영)’에 의하면 창가 자리에 앉는 것은 행운이자 습관이다. 창가 자리에 대한 선호는 한국 문학뿐만 아니라 외국 문학에서도 드러난다.

보들레르가 번역한 외국 단편 소설 ‘군중 속의 사람’의 주인공은 카페의 창가 자리에 앉는다.

이는 창가 자리에 대한 선호가 보편적임을 암시한다. 문학은 인간이 창조한 허구에 불과하다. 하지만 동시에 문학은 실제 현실을 충실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세계를 바라보는 도구의 역할도 수행한다.

500명의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실행한 Quartz & Survey Monkey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비행기의 창가 자리(window seat)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통로 자리(aisle seat)나 중간 자리(middle seat)를 선호하는 사람들보다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비행기를 타는 횟수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하지만 비행기를 자주 탈수록 창가 자리에 대한 선호도와 통로 자리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감소했다. 이러한 경향은 왜 나타나는 것일까? 창가 자리에 앉으면 다른 승객들이 화장실에 가려고 일어날 때마다 잠에서 깨지 않아도 되기 때문일까? 이러한 경향은 비행기뿐만 아니라 버스에서도 나타난다는 점에서 위와 같은 가설은 설득력이 없다. (7개 장소에서의 좌석 선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홍기원).

Ⅱ WHY?

인간이 빛에 이끌리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진화라는 도구가 필요하다. 인간은 고등한 동물이다.

참고 자료

7개 장소에서의 좌석 선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홍기원;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11, No.2, 159~171
Influence of serotonin on the immune response, J.C.Jackson, R.J.Cross, R.F.Walker, W.R.Markesbery, W.H.Brooks, and T.L.Roszman, Immunology, 1985 Mar, 54(3), 505-512
Light treatment for nonseasonal depression: speed, efficacy, and combined treatment; Daniel F. Kripke; Journals of Affective Disorders 49 (1994) 109 –117
Seasonal affective disorder: A clinical update, Westrin, A., Lam, R.W.,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19, 239-246 (2007)
Light promotes regeneration and functional recovery and alters the immune response after spinal cord injury; Kimberly R. Byrnes, Ronald W. Waynant, Ilko K. Ilev; 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 36; 171-185 (2005)
The power of movement in plants, Charles Darwin & Francis Darwin, John Murray, London, 1880
Concerning the performance of phototropic stimuli on the Avena coleoptile, Boysen & Jensen, Reports of the German Botanic Society, 1913
A growth substance and growth, Frits Went, Collections of Dutch Botanical Works, 1928
Biology; Campbell; 8th edition; Pearson; Chapter 39; 836~841
The involvement of a protein kinase in phototaxis and gravitaxin of Euglena gracilis; Daiker, V., Häder, DP., Richter, P.R. et al. Planta (2011) 233: 1055.
A blue-light-activated adenylyl cyclase mediates photoavoidance in Euglena gracilis,; Mineo Iseki; Nature 415, 1047-1051 (2002)
*남*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소개
現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9학번 의학과 4학년
前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심리학과 부전공
前 용인외대부고 12기 전체 수석 졸업 (자연과학과정)
전문분야
자연과학, 의/약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연세대학교 의학과 재학중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A+ 보장!] 연세대 의대 의예과 1학년 General Biology 기말고사 대체 레포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