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의학 원전 의학입문] 本草總括 본초총괄 의학입문 원문 및 해석

*성*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5.07.26
최종 저작일
2005.07
4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없음

본문내용

隨證用藥心法이라.
수증용약심법이라.
증상에 따라 약을 사용하는 마음법이다.
○外感四氣하야 頭痛엔 須用 川芎호대 如不愈어던 加各引經藥이니라
외감사기하야 두통엔 수용 천궁하되 여불유어던 가각인경약이니라.
외감 4기 두통에는 반드시 천궁을 사용하되 만약 낫지 않으면 각각 경락으로 인도하는 약을 가미한다.
: 太陽 川芎 陽明 白芷 少陽 柴胡 太陰 蒼朮 少陰 細辛 厥陰 吳萸니라.
태양 천궁 양명 백지 소양 시호 태음 창출 소음 세신 궐음 오수니라.
태양경은 천궁, 양명경 백지, 소양경 시호, 태음경 창출, 소음경 세신, 궐음경 오수유이다.
○巓頂痛엔 須用 藁本이오 去 川芎이니라.
전정통엔 수용 고본이오 거 천궁이니라.
머리 꼭대기 통증엔 고본을 사용하고 천궁을 제거한다.
○肢節痛엔 須用 羌活이니 去風濕에도 亦用이니라.
지절통엔 수용 강활이니 거풍습에도 역용이니라.
사지관절통에는 반드시 강활을 사용하니 풍습사를 제거함에도 또한 사용한다.
○腹痛엔 須用 芍藥호대 惡寒而痛이면 加 桂요 惡熱而痛이면 加黃栢이니라.
복통엔 수용 작약하되 오한이통이면 가 계요 오열이통이면 가황백이니라.
복통에는 반드시 작약을 사용하되 오한이면서 통증이 있으면 계지를 가미하고 열을 싫어하면서 통증이 있으면 황백을 가미한다.
○小腹痛엔 須用 靑皮니라.
소복통엔 수용 청피니라.
아랫배 통증에는 반드시 청피를 사용한다.
○脇痛에 往來潮熱커나 日晡潮熱엔 須用 柴胡니라.
협통에 왕래조열커나 일포조열엔 수용 시호니라.
옆구리 통증에 조수처럼 열이 왕래하거나 오후 3~5시에 조수열이 나면 반드시 시호를 사용한다.
○胃脘痛엔 須用 草豆蔲니라.
위완통에는 수용 초두구니라.
위완통에는 모름지기 초두구를 사용한다.
○腹脹엔 須用 厚朴 白芍이니라.
복창엔 수용 후박 백작이니라.
복부창만에는 모름지기 후박 백작약을 사용한다.
○腹中이 窄狹엔 須用 蒼朮이니라.
복중이 착협엔 수용 창출이니라.
窄(좁을, 닥치다 착; 穴-총10획; zhǎi)
배 속이 좁으면 모름지기 창출을 사용한다.
○肌熱과 及去痰엔 須用 黃芩이니라.
기열과 급거담엔 수용 황금이니라.
살갗의 열과 담을 제거함에는 모름지기 황금을 사용한다.
○胸中煩熱엔 須用 山梔니라.
흉중번열엔 수용 산치니라.
가슴속의 번열에는 모름직이 산치자를 사용한다.
○腹中實熱로 大便閉엔 須用 大黃 芒硝라.
복중실열로 대변폐엔 수용 대황 망초라.
배 속의 실열로 대변이 폐색함에는 모름직이 대황과 망초를 사용한다.
○小便黃엔 須用 黃栢호대, 數澁者면 加澤瀉니라.
소변황엔 수용 황백하되 수삽자면 가택사니라.
소변황색에는 모름직이 황백을 사용하되 소변을 자주보고 깔깔하면 택사를 가미한다.

참고 자료

의학입문

자료후기(1)

*성*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소개
튼살 흉터, 화상흉터, 팔자주름등 치료하는 후산한의원 원장, 한의사, 한방 피부과 전문의로 한문 번역에 장기가 있음
전문분야
인문/어학, 의/약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의학 원전 의학입문] 本草總括 본초총괄 의학입문 원문 및 해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