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지반공학] 보강토 옹벽 보강재의 인발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영*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5.09.21
최종 저작일
2004.11
3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졸업논문입니다..내용은 조금 부실하지만, 논문양식에 맞춰 작성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및 배경
1.1 연구방법 및 범위

2. 보강재의 인발거동
2.1 보강재의 인발거동
2.2 인발실험에 의한 마찰력 평가

3. 지오그리드의 인발 시험
3.1 시험장치 및 내용
3.2 뒤채움재 흙 시료의 특성
3.3 보강재의 재원

4. 시험결과 및 분석
4.1 지오그리드 크기에 따른 인발저항 특성
4.2 최대인발력상태에서 지오그리드에 유발된 인발변위

5. 결론

참고문헌

부 록 A 물성치 시험

부 록 B 인발 시험

표목차
표 V.1 뒤채움재의 기본 물성치
표 V.2 지오그리드의 종류별 두께
표 V.3 지오그리드의 종류별 밀도
표 V.4 제품별 단위폭당 리브 개수
표 V.5 지오그리드의 크기에 따른 인발저항 특성

그림목차
그림 V.1 보강재의 내부마찰 원리
그림 V.2 인발저항 산정법의 비교
그림 V.3 인발시험장치의 모식도
그림 V.4 인발저항 시험기의 전경
그림 V.5 지오그리드의 인발변위 측정 위치도
그림 V.6 뒤채움재의 입도분포곡선
그림 V.7 선단인발변위-인발력 곡선
그림 V.7 클램프 변위와 지오그리드 절점의 변위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목적 및 배경

보강토 공법은 프랑스 건축가인 Henri Vidal(1966)이 해안에서 모래를 쌓을 때 솔잎을 중간에 포설하면 더욱 높고 안정되게 축조할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개발된 공법이다. Henri Vidal이 Terre Arme형태의 보강토 옹벽으로서 1966년 특허를 받은 이후 첫 번째 사용은 프랑스의 니이스 근교에서 시공되었으며, 그 이후로 보강토 공법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였다. 몇 가지 유형의 보강토 공법이 벽체, 성토부 및 현장 원지반 보강을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점차 강재, 토목섬유 및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보강재를 이용하게 되었다. 보강토 공법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종류는 크게 시이트형 보강재, 대상형 보강재, 그리드형 보강재 등의 3종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1980년대 초에 개발된 그리드 형태의 고강도 토목섬유인 지오그리드의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조삼덕 외 2인(1996)이 연구를 수행하여 발표하였으나, 사용되는 보강토 블록의 형태나 뒤채움재, 보강재 연결형태, 지오그리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거동을 할 개연성이 있다. 그러므로, 블록형태, 보강재와 전면벽의 연결형태, 보강재의 종류 등 보강토 옹벽의 장기적인 거동에 대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보강토 옹벽의 구성요소인 보강재와 뒤채움재 특성, 보강재의 인발거동, 강도 등에 따라 상이한 거동을 할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대한 분석 및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오그리드는 인장특성이 우수하므로 보강토 구조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강토 구조물은 흙/지오그리드 사이의 마찰특성에 의해 그 역학적 특성을 유지한다. 흙/지오그리드의 마찰특성은 하중조건, 지오그리드와 흙의 특성 등의 영향을 받는다. 흙 속에 묻혀 있는 보강재의 마찰 저항은 직접 전단 시험과 인발시험등을 통해 규명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 특성에 따른 인발 거동을 기술하였다.
2. 보강재의 인발 거동

2.1 보강재의 인발거동

지중에 부설된 토목섬유 보강재의 선단에 인발력이 가해지면, 그림 V.1과 같이 주변흙과 지오그리드의 길이 방향 부재에서의 마찰에 의한 저항력과 이에 직각으로 교차하게 되는 횡방향 부재에서의 수동저항력이 동시에 발휘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참고 자료

윤석호(2002), 다짐토내에 포설된 강성지오그리드의 인발저항특성, 인천대대학원
조삼덕, 김진만(1995), 토목섬유 보강토구조물의 합리적인 해석과 설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보고서, 95-GE-1101.
조삼덕(1999), 토목섬유 보강재의 내구성 평가 및 설계, 99년도 토목섬유 기술세 미나 논문집
한국지반 공학회 지반공학 시리즈6권 연약지반
한국지반 공학회 지반공학 시리즈9권 토목섬유
Alfaro, M.C., Miura, N and Bergado, D.T,(1995), Soil-Geogrid Reinforcement Interaction by Pullout and Dirrect Shear Tests,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Vol.18, No.2
Braja M. Das(2002), 토질역학, 구미서관
Braja M. Das(2003), 기초공학, 구미서관
Jewell, R.R., Milligan, G.W.E., Sarsby, R.W and Dubois, D,(1984), Interaction between Soil and Geogrids, Proc. of Symposium on Polymer Grid Reinforcement in Civil Engineering, London, England
NCMA(1997), Design Manual for Segmental Retaining Walls, 2nd Ed.
Mitchell, J.K and Villet, W.C.B(1987), Reinforcement of Earth Slopes and Embankments, National Cooperative Highway Research Program Report 290
Ochiai, H., Hayashi, S., Otani, J and Hirai, T(1992), Evaluation of Pull-Out Resistance of Geogrid Reinforced Soils, Proc. of Int. Symposium on Earth Reinforcement Practice, Kyushu, Japan
Oostveen, J.P., Mass, K.C and Hendrikse. C.S.H(1994), The Coefficient of Interaction for Geogrids in a Non-Cohesive Soil, 5th Int. Conf. on Geotextiles, Geomembranes and Related Products, Singapore, September

자료후기(2)

*영*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지반공학] 보강토 옹벽 보강재의 인발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