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교육학]조기 영어 교육에 있어서 청화식 교수법(The audio-lingual method)과 자연적 접근법(The natural approach)의 비교 연구

*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5.12.03
최종 저작일
2005.11
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조기 영어 교육에 있어서 청화식 교수법(The audio-lingual method)과 자연적 접근법(The natural approach)에 대한 참고 문헌을 통해 비교한 글입니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 내용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2.1 청화식 교수법 (The audio-lingual method)
2.2 자연적 접근법 (The natural approach)
2.3 ALM과 NA의 교수법 비교
2.4 조기 영어교육에서의 그림동화 사용

Ⅲ. 실험연구
3.1 실험목적
3.2 실험대상 및 기간
3.3 실험 방법
3.4 실제의 지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세계는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교류를 통하여 하나의 지구촌이 되었다. 인종과 언니가 다른 사람들과 교류를 하는 데에는 공통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이 언어는 영어로써 그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교육부는 조기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1981년 10월에 영어교육의 조기 실시를 위해서 초등학교 4학년부터 1주일에 1~2시간으로 되어있는 특별활동 시간에 영어수업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지금은 점점 시간을 확대하고 저학년으로 내려가고 있다.

1.2 연구의 목적
그림 동화를 통하여 조기영어 교육의 현장에서 청화식 교수법(The audio-lingual method)과 자연적 접근법(The natural approach)중에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즉 ALM과 NA를 각각의 편견 없이 두 실험 집단에게 공평하게 적용하여 그 실험결과를 분석함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알아보고자한다.
첫째, ALM과 NA 중 어느 교수법이 듣기와 말하기 능력 신장에 더욱 효과적인가?
둘째, ALM과 NA 중 어느 교수법이 어휘력 신장과 통사 능력 신장에 더욱 효과적인가?
셋째, ALM과 NA 각각의 교수법이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태도와 흥미변화에 어떤 효과를 주는가?

1.3 연구 내용 및 방법
문헌 연구로는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ALM과 NA의 이론과 방법들을 먼저 고찰해보았다. 실험 연구로는 위의 문헌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첫째, 대상은 공립 초등학교 4학년 중 실험반(NA) 1개반 45명, 비교반(ALM) 1개반 45명으로 2개의 반을 선정하였다. 시간 및 기간으로는 아침 자습시간을 이용하여 오전 8시 30분부터 오전 9시 30분간, 주 3회 실시하였다. 실험반은 월, 수, 금요일에 화, 목, 토에 실시하였다.
둘째, 지도방법으로는 실험반에서는 NA 교수법을 적용하여 듣기 능력에 주안점을 주었다. 구두표현의 부담을 줄여주는 표현전단계(preproduction stage)를 설정하고 전신반응법( total physical response)을 사용하여 입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낱말카드 게임을 다양하게 실시하였다.
비교반에서는 전통적으로 교수되고 있는 ALM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대화와 연습(dialogues and drills)이 중심이 되었고 대화는 반복과 암기를 위해 사용되어지고 정확한 발음과 강세, 리듬, 억양이 강조되었다. 대화가 암기된 후에는 그 대화 안에서 문법적인 형태(patterns)가 선택되고 다양한 문형연습(pattern practice)을 실시하였다.

참고 자료

김용래 (2005). 「교육심리」. 형설 출판사.
김진철 (1999). 「초등영어 교수법」. 학문사.
박춘식 (1990). 「아동문학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신용진 (1991). 「영어교수공학」. 한신 문화사.
이계순 (1998). 「영어교육」. 개문사.
정동빈 (2000). 「영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학문사.
한국교육개발원 (1996). 「초등학교 특활영어 배움책」. 아이세움.
이옥로 (1982). ꡒLAD와 조기 영어교육ꡓ「영어교육」. 제 23호. 한국영어교육학회.
이화자 (1990). ꡒ조기 영어 학습자를 위한 Whole Language Approach의 효과에 관한 연구ꡓ「영어교육」 제 40호. 한국영어교육학회.

Guiroa. A (1972). ꡒEmpath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ꡓ Language Learning 22 Brown. H.D (198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New Hersey: Prentice-HALL. Inc
Chomsky. N (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Cambridge, Mass the M.I.T press.
Fries. C.C (1945).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Foreign Language」.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Guiroa. A (1972). ꡒEmpath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ꡓ Language Learning 22.
Kranshen. S. D(1982).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Pergamon Press.
Lenneberg.E.H.(1972) 「Biological Foundations of Language」 New York.: John Willey.& Sons. Inc.
Rivers. W.M (1964). 「The Psychologist and the Foreign Language Teacher」.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____________(1968). 「Teaching Foreign-Language Skills」. Chicago and London: The
Susan Halliwell (2003). 「TEACHING ENGLISH IN THE PRIMARY SCHOOL CLASSROOM」. LONGMAN.
*지*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교육학]조기 영어 교육에 있어서 청화식 교수법(The audio-lingual method)과 자연적 접근법(The natural approach)의 비교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