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사]안정복의 동사강목

*영*
최초 등록일
2006.07.14
최종 저작일
2005.04
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조신시대 사학자 안정복의 동사강목에 대한 조사.

목차

1. 생애와 저술

2. 학문관과 역사관

3. 동사강목의 편찬
(1) 편찬 과정
(2) 체재
(3) 사실고증과 지리고증
(4) 사론

4. 사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1. 생애와 저술
안정복과 그의 대표적 저술인 동사강목은 일찍부터 학계에서 대체로 실학(實學)의 근대성이라는 개념틀에 의해 포괄되어 주목받아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안정복과 그의 역사인식을 당대의 사회상 속에서 학문관, 사회사상, 당파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이해하려는 연구가 늘어가고 있다.
생애
숙종 38년(1712)에 제천에서 안극의 아들로 탄생. ~ 정조 15년(1791) 별세.
현·숙종조 간의 치열했던 당쟁기에 정권에서 밀려난 남인 가정에서 탄생, 성장, 당쟁의 소강기라고 할 수 있는 영종 대의 탕평정치 하에서 학문과 저술에 몰두.
학문적·사상적으로 근기 남인(近畿南人)의 맥을 잇고, 사회적으로 향촌의 사족(士族)가문 출신.
영조 대에 조부 안서우가 노론의 배척으로 울산부사에서 파직되어 전라도 무주에 은거하다가 25세에 가문의 종통을 이어야 하는 부친 안극을 따라 고향인 경기 광주로 이사. 이러한 변화는 안정복이 학문적으로 정통론을 중시하게 된 개인적 배경을 이룸.
성리학으로의 침잠
안정복은 초기엔 유가적 관점을 넘어 박학다식함을 추구. 그의 위학기(爲學期)라고 할 수 있는 광주 시절엔 성리대전(性理大典)을 접하면서부터 성리학에 침잠. 그동안의 학문적 모색에 한계를 느끼고 이를 성리학을 통해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라고 이익에게 보낸 편지에서 밝히고 있음. 이무렵 치통도(治統圖)와 도통도(道統圖)를 만들어 고대 이래의 제왕의 계통과 역대 성현의 계통을 각각 정통(正統), 변통(變統), 무통(無統)을 중심으로 분류. 그리고 29세 때에는 하학지남을 저술할 만큼 성장.
실학적 학문의 기점
35세가 되어 안정복은 안산에 살던 이익을 스승으로 삼고 윤동규, 이병휴등과 교유. 40대 부터는 실학적 저술에 몰두하여 임관정요, 동사강목, 열조통기(列朝通紀)등의 왕성한 실학적 저술활동. 이익은 근기 남인 실학파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였는데, 그의 제자대에 이르면 경학(經學)과 역사학에 치중하는 우파와 서학에 경도되는 좌파로 나누어진다. 안정복은 이미 그의 성리학적 학풍에서도 볼 수 있듯이 우파로 분류.

참고 자료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 조동걸·한영우·박찬승 , 창작과비평사
『국역 동사강목』 , 안정복 , 민족문화추진회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자료후기(1)

*영*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 5페이지
    안정복(安定福)이 지은 동사강목(東史綱目)은 17세기 중기에 편찬된 한국사 ... 안정복동사강목은 그가 철학적인 사상을 담아 편찬한 점에서도 유명하며, ... 동사강목은 고려와 조선의 역사를 대체로 객관적인 시각에서 다루고 있으며,
  • 한글파일 고등학교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한국사 요약 정리 노트, 한국사 요약 내용, 한국사 서브노트 66페이지
    동사강목”(안정복, 고조선사~고려사, 삼한정통론) ? ... 재미 한족 연합 위원회(1941): 대한민국 임시 정부 후원 31 사회·경제적 ... “동사”(이종휘, 고구려사, 만주로 시야 확대) ?
  • 한글파일 해동역사(海東繹史)의 체제와 사적가치의 논의 8페이지
    이는 안정복의 『동사강목(東史綱目)』, 이긍익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발해는 안정복동사강목에 이르기까지 종래의 사서에서 삼국의 부속적인 국가로 ... 해동역사에서는 한국사와 한국문화의 전개를 한반도에 한정시키지 않았다.
  • 한글파일 한국사학사 발제, 안정복동사강목 7페이지
    한국사학사 - 오영교 교수님 2011.04.05. ... 신형식, 『한국사학사』, 삼영사, 1999. ... 실학의 학풍을 일으킨 學者 -안정복동사강목- 역사문화학과 0681015
  • 한글파일 한국사 탐구 3페이지
    조선 시대 실학자인 안정복이 저술한 역사책인 동사강목에서는 신라 건국에 관한 ... 한국사 탐구 ◆삼한시대의 저수지 축조 마한과 진한, 변한이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 조선때에 기록된 고려시대에 관한 역사서인 고려사에서는 왕건에 대하여 용맹스러운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사]안정복의 동사강목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